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원양성대학의 언택트(Un-tact) 수업환경에 관한 신입생 인식 조사

        류미해(Mihae Ryu),정재은(Jaeeun Jeong)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언택트 방식을 기본으로 하는 대학 수업환경의 급격한 변화 요구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수업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업방식 제시에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예비교원을 양성하는 교원양성대학 역시 이러한 시대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함께 언택트 방식의 수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불가피한 수업 상황 변화에 따라 오프라인과 온라인 수업 환경 차이로 유발되는 교수자 및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별도의 정서가 유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서 변화는 교육만족도 및 교육의 질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의 예비교사들 중 대학 입학 후 대학 문화를 직접 접해 보지 못한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대학의 온라인 수업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S-사범대학 신입생과 C-교육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수업 실태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업진행 전반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수자와의 소통이나 학습자간의 소통 부재에 대한 요구, 대학 체계에 대한 사전 교육의 필요, 그리고 시설환경 등 콘텐츠에 접근하는 학습자별 환경 차이는 지속적인 고민과 지원이 필요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strong social need of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current COVID-19, teaching has to be occurred in a form of minimal contact in person.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esperately seek for substitutional suggestions for a place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simultaneously should examine its efficiency. This inevitable change, led by COVID-19, in traditional way of teaching, based on human contact, causes various different emotions in people, involved in educational process, which occurs in off-line/on-line. Emotions, caused by different teaching environment in off-line/on-line, affects satisfaction in educational efficiency and also in quality of teaching. This research is for the first year college students, who has not been experienced the college culture yet,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on on-line teaching environment. Research result is based on survey, which is for S-university, and C-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in class process in general is positive, however a few points-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with class peers, and efficient orientation on college system, and improvement on technical support and equipment-are need of attention to get better in quality of education.

      • KCI등재

        초·중등 교사의 음악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

        류미해(Mihae Ryu),정재은(Jaeeu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수업의 질적인 개선이나 향상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수업에 대한 연구수행이 활발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의 중요성과 현장에서의 교사역량강화를 위한 초중등 교사의 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한 시사점 도출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론적 고찰, 설문조사, 결과분석, 시사점도출의 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수행결과 교사들의 수업 전 학생들에 대한 인식정도는 전반적으로 초등 교사들이 중등 교사들에 비해 더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생 개개인에 대한 이해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음악능력 발현시기에 대한 초등이나 중등교사들의 인식은 음악교과에 대한 초, 중등 교과의 연계성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교과서의 제시 순서 및 시기에 대해 시사 하는 바가 있었다. 음악수업의 활동에서 가장자주하는 수업으로 초·중등 교사 모두 가창을 꼽았으며 창작 활동이 가장 낮은 빈도결과를 보였다. 음악 수업 후 학생의 학습능력 변화에 대해서는 초·중등 교사 대부분이 ‘자신의 수업이 학생의 수업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는데 긍정적인 답을 한 것으로 미루어 자신의 수업에 대해서 교사들 대부분이 긍정적이며 학생들의 수업 능력에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중등 음악교육 연계성에 대한 심화연구의 필요성과 현 음악교육과정에 대한 재정립을 통한 음악교육 위상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 qualitative study on ‘the class’ has been diversified for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aking the class better. This action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signed to comprehend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related to ‘the class’ they teach in the field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s. The purpose for the research is to re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acher education in the field and revalue the teacher training focused as followed; first, do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self-understanding of teachers, teacher understanding on students. Secondly, survey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music teachers from elementary to middle schools on the way of teacher understanding students in general and what they understand about students, on the subject of music for the class, and on characters of students’ music development. Thirdly, analyze the result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music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For summarizing the research, make a few suggestions on music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를 위한 교사 연수 모듈 개발

        전희옥(Jun Heeok),류미해(Ryu Mih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의 문화적 다양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학교 교과 수업을 설계•실행할 수 있는 교사 연수 모듈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실에서 교사가 모든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최대로 살릴 수 있는 수업 실천 역량을 증진하도록 돕는 데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의 내용으로 먼저 교사 연수 모듈 개발을 위한 논의로서,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의 필요성,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의 의미, 수업 설계에서 문화적 다양성 고려를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 등이 제시하였다. 둘째로, ‘자기 성찰의 관점에서’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며 수업 설계에서 중요한 고 려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 자신, 학습자, 교육과정•교과서, 교육 환경 등을 중심으로 교사 연수를 위한 모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실에서 교사가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수업’을 설계• 실행하기 위한 방향으로 수업 설계 요인별 특징을 파악하기, 기본 원리 정하기, 교수 전략 유형 탐색하기, 효과적인 교실 경영 방법 찾기 등이 제시되었다. Making teacher training modules for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have been studi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in culturally diverse classrooms foster skill of lesson plan and maximize learning potential of all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implication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and needs of teacher training for them were proposed. Secondly, teachers, learners,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s elements of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were reviewed. Thirdly, teacher training modules for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 were made in the viewpoint of self reflection, reflective thinking, problem solving. Fourthly, direction of lesson planning with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classrooms was presented. Cultural diversity consideration in lesson planning can mean reflection for learners as existence of cultural life, all learners, minority learners, and learner’s learning styles. How to train for teachers to make lesson planning in the viewpoint of cultural diversity? To respond this question, basically, it’s important to pu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to curriculum of teachers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