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드 스위칭에 관한 한국어 교육의 인식 제고

        량빈(梁彬),백승현(白承鉉)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79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코드 스위칭 현상을 어떻게 인식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코드 스위칭은 이중 또는 다중 언어 사용자, 한국어 학습자에게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언어 사용 현상이다. 기존의 한국어 교육 관련 논의에서 코드 스위칭을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언어 현상으로 보고 있는 반면 이중 또는 다중 언어 사용자 관련 연구에서는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도적인 언어 현상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코드 스위칭 현상을 목표어인 한국어의 능력이 모어 또는 공용어의 언어 능력보다 부족하여 일어나는 언어 사용으로 보기에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코드 스위칭을 제2언어 습득론 관점의 학습자 목표 언어 능력의 부족과 이중 언어학 관점의 의사소통 기능의 혼합체로 인식하는 타당성을 이론적 부분과 실용적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도록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recognize the code swit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de switching is a language usage phenomenon commonly found in bilingual or multilingual users. In the existing discussion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has been regarded as a linguistic phenomenon due to lack of Korean language ability, while the bi- or multilingual user-related studies have considered it as an intentional linguistic phenomenon to achieve a specific purpose. In keeping with this bi- or multilingual perspective, it is problematic that this phenomenon occurs due to insufficient target language ability, Korean than lack of a mother or official language capability.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code swit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mixture of the lack of target language ability and the communication function in bilingualism or multilingualism. The findings are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examined.

      • KCI등재

        언어경관 ‘백두산/장백산’의 사용 양상과 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

        량빈(梁彬)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연변 지역 언어경관 ‘백두산/장백산’의 사용 양상을 통하여 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언어경관은 ‘상표, 표지판 …’ 등과 같은 시각경관 뿐만 아니라 ‘관공서에서 사용하는 음성 서비스 …’ 등과 같은 음성경관과 ‘점자, 블록 …’ 등과 같은 촉각경관을 포함한 개념이다. 언어경관은 ‘정보 전달 표지’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언어사회에서 사용 되고 있는 여러 언어 사이의 관계, 힘(power) 등을 나타내는 기능도 하고 있다. 다언어사회의 언어경관 사용 양상 조사를 통하여 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을 분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연변 지역 화자들의 언어경관 ‘백두산/장백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통계 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검정하고 나아가 원인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하겠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factors and the use of Language Landscape "Baekdusan/Changbai Mountain" in the Yanbian area. Language landscape is not only the visual landscape, but also the concept including the voice landscape and the tactile landscape. We can analyze the influence of social factors on language use through analysis of language landscape usage patterns in multilingual society. Therefore, let us examine whether any social factors of the Yanbian bilingual speakers influence the use of the language landscape "Changbai Mountain / Baekdusan", which refers to the same geographical object.

      • KCI등재

        연변 조선족 언어 공동체의 언어 사용 사회적 요인 연구 - SNS 코드 스위칭을 중심으로

        량빈(梁彬)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0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7

        사회언어학 개념인 Speech community에 대하여 학계에서는 언어 공동체로 지칭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언어 공동체 범위의 설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많지만 모두 일정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가장 기본적 요인인 지역과 민족을 설정하여 연변 지역 조선족 언어공동체가 SNS 공간에서의 코드 스위칭 사용 양상을 통하여 언어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려고 한다. On the concept of social linguistics, Speech community is referred to in academia as a language community. Al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affecting the setting of the language community range in existing studies, there are all certain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ost basic factors, the region and ethnicity, are set up to analyze the social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language through the use of code switching in the SNS space.

      • KCI등재

        연변 지역의 헤드카피 언어 사용에 반영된 언어태도 연구

        량빈(Liang, Bin) 한국사회언어학회 2018 사회언어학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language attitudes toward Yanbian, Korean, and Chinese through the use of head - copy language in the Yanbian area. The Yanbian bilingual speaker mixes the dialects of North Hamgyong, Korean, and Chinese. In order to analyze the use of language in the Yanbian area,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language attitudes of Yanbia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ttitude’ is not only the evaluation and response of a speaker to a specific language, but a concrete action. The research on the language use patterns of the bilingual speakers in the Yanbian area can analyze the language attitudes for each language. Advertising language includes not only the function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ut also cultural awareness of society. The attitude of language, which is one of the human consciousness forms, is also included in the advertising language and the attitude of language can b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advertising language. In this paper, I will proceed with the SPSS chi-square test based on the usage of the head copy in the Yanbian area. If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I will describe what kind of language attitude is displayed for each language.

      • KCI등재

        연변 지역어에서의 대화 요청 행위 표현에 대한 고찰

        梁彬(Liang, Bin),趙宰亨(Cho, Chae-hyung)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69 No.-

        이 글의 목적은 연변 지역어의 대화 요청 행위 표현을 Wierzbicka(2003)에서 記述한 ‘자연 의미 메타언어(Nature Semantic Metalanguage)’ 를 이용하여 고찰하는 데에 있다. 연변 지역어는 ‘바일링구얼리즘(bilingualism)’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려면 어느 한 언어의 문화 요소만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함경북도 방언, 중국어, 한국어가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문화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 의미 메타언어(Nature Semantic Meta-language)’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NSM 방법론은 모든 문화에 자연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의미 원초소(semantic primitives)’를 이용하여 표현을 메타 언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4개의 표현 ‘허드레 치다’, ‘말 하자’, ‘커피를 마시자’, ‘까페에서 보자’ 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표현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자질을 근거로 메타언어적으로 기술하였고 나아가 여러 표현들 사이의 의미적 차이를 기술하였다. In this paper, we use Wierzbicka’s (2003) natural semantic metalanguage (NSM) to investigate request dialogs in the local Yanbian language. Speakers of Yanbian are all multilingual .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se dialog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lex cultural interaction of Yanbian , Chinese, and Korean in North Hamkyong province, rather than approach the dialogs only with cultural elements of a single language. We used NSM to carry out this work. NSM methodology metalinguistically describes the expression of semantic primitives, which are held to be inherent in all cultures. Using questionnaires, we extracted the four most frequently used expressions: /hʌ ð rɛ tʃi dɑ/ (허드레 치다, /mɑl ha zɑ/ (말 하자), /kʌ fi rl mɑ si zɑ/(커피를 마시자), and /kʼɑ fe ŋe sə vɔ zɑ/ (까페에서 보자). Based on the cultural qualities of the expressions studied, we describe them metalinguistically and analyze their semantic differences.

      • KCI등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용범,구려나,량빈,장람,김현정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16 Chinese universit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y the way, according to the 2016 standard, all of these universities are belong to '211 universities' or '985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the universities which offere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re mainly located in coastal areas adjacent to Korea. Seco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are mainly Chinese(96.1%, 147), and 84.3% (129) of them hold doctor’s degree. Especially, 51%(78)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Korea, and 33.3%(51)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Chin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professional distribution, the number of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Language is the largest, with a ratio of 33.3% (51). Followed by the professors of Modern Literature, with a ratio of 22.2% (34). Finally,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History, Philosophy) professional professors have a 15% ratio(23). Here we have some suggestions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have been proposed before. Firs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policy of the One Belt One Road’, expan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sciplin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s. Second,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e should expand the education curriculum too. In particular, is necessary to improved the teaching methods of profes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rean researchers with objective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ina at the present stage,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previous information.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대학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분석 대상으로 삼은 중국 대학은 2016년 기준으로 ‘211대학’(116개)과 ‘985대학’(39개)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 중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16개 대학(중국전매대학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들은 주로 한국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교수들은 주로 중국인(96.1%, 147명)이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는 84.3%(129명)에 이른다. 학위취득 국가로는 한국이 51.0%(78명)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경우는 33.3%(51명)였다. 교수진의 전공은 국어학이 33.3%(5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문학이 22.2%(34명), 고전문학과 기타(역사, 철학 등) 전공이 각각 15.0%(23명)로 나타났다.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으로는 ‘일대일로’라는 중국의 정책에 따른 한국어문학과의 확대 및 국제교류 활성화와 함께,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확대할 것을 제안해 보았으며, 특히 개별 교수자의 교수법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중국에 개설된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한국 연구자들에게 중국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