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논문 : 우리 시대가 "위험에 빠진 신체"에 대처하는 한 방식: 푸코의 『안전, 영토, 인구』를 중심으로

        도승연 ( Seung Youn Dh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1 도시인문학연구 Vol.3 No.2

        푸코의 콜레즈 드 프랑스(College) 강의록들이 영미권에서 속속 반역, 출판되면서 군력의 철학자 푸코가 가지는 학문적 위상 역시 권력과 지식의 연관 작용을 통해 전개되는 주체 형성의 계보학으로부터 근대 국가의 통치적 합리성과 관계된 새로운 차원의 권력의 대상과 그 효과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 방향의 중심축을 이동하고 있다고 보인다. 이 명시적 전환은 다음의 이론적 강조점들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인구를 대상으로 사목 권력이 전개되는 방식을 사유함으로써 영토에 기반을 둔 주권자 중심의 권력으로부터 안전장치를 통해 조절되는 권력의 ``경제적`` 인 효과에 집중할 수 있었다. 둘째, 권력의 작동을 통치로 이해함으로써 후기 존재미학으로의 전환이 가능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글에서는 일차적으로는 규율적 권력으로부터 통치성으로의 이행이라는 근대 국가의 권력의 전환과정을 주체의 계보학을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근대인의 욕망을 관리하려는 사목 권력 의 세속적 변용이 어떻게 생명과 삶을 전면적으로 관리하는 통치성의 효과로 이동하는지, 나아가 이러한 통치성의 효과가 우리의 신체를 주조하는 방식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적 현실이 다루는 신체의 등장에 주목함으로써 통치화의 방식과 효과를 추적하고 나아가 그 질서와 양식을 혼들려는 노력이 다름 아닌 현재에 대한 우리의 비판이며 나아가 우리의 삶과 생명, 신체에 대한 미학적이며 정치적 결단이라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After Foucault`s death, last Lectures at College de France have been published in English one after another. Along with it, Foucault, so called "Philosopher of Power", whose academic phase also seems to be moving from analysis of the Genealogy of the Subject mb governmental rationality related to the effect and object of new political atmosphere. This explicit shift leading the emphasis of the theory will be summarized by; First, by targeting of pastoral power which focuses on the population itself, Foucault`s power could be understood by more ``economical`` manner leaving from the deployment based on the territory of the sovereign power to the apparatus of security. Second, by understanding the power to govern the operation, it could be switched to the aesthetics of existenc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ill examine transition process of operation of power in the modern state from disciplinary power to govermentality, centering the genealogy of the Subject by Foucault. In particular, tracking of pastoral power planing which to manage desire of both modern men their lives, it will ask how secular transformation of pastoral power could go to the effect of technologies of government, and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se governing technologies could cast our body through specific form. Thus, focusing the emergence of the body covered by the attention of neoliberal reality, it would like to say that is the effective way of critical claims in the sense of operating of revealment of body for the our aesthetic and the political decision.

      • KCI등재

        안티-패션의 다양한 변주와 정치적 가능성에 대하여

        도승연(Dho, Seung-Yo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5

        현대인에게 패션은 더 이상 특정한 신분이나 계급에 관한 지시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의 욕구와 욕망, 원하는 바의 이미지를 타인에게 대상화시키면서 그 유동성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이해하는 시각적 재현의 활동으로서 간주되고 있다. 이렇듯 인간의 다양한 실존적 표현 방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패션은 플라톤주의로 대변되는 장구한 철학의 역사 속에서 가상, 변화, 이미지, 현상적인 차원으로 이해됨으로써 지금까지 철학의 연구 대상으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폄하되어 왔다. 하지만 실존의 기술, 자유와 의존,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 저항과 순응 등 인간 이해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실천의 장이 패션인 이상, 이것은 인간 이해를 위해 결코 간과될 수 없는 필수적인 분석의 주제가 되어야만 할 것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의복을 통해 드러난 의미가 단순히 사회적인 관습이나 실행의 소통을 위한 고정된 체계가 아니라는 것, 오히려 기존의 관습과 실행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이중적 코드를 가진 상징적 형식이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패션과 의복, 패션과 안티-패션의 의미를 보다 적극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때의 적극적 규명이란 기존의 복식사에서 이해하는 패션, 오뜨 뀌뜨르, 안티-패션의 한정적 의미를 넘어서 푸코 Foucault가 칸트Kant의 ‘계몽Enlightenment’의 개념을 해석하면서 보여주었던 방식-그것을 특정한 역사적 사건으로 파악하는 것을 거부하고 태도의 문제로 이해-을 적극 수용하여 이를 다시 기존의 패션과 안티-패션의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적용함을 의미한다. 나아가 패션이 디자인 영역의 산물이라면, 과연 디자인이라고 담론화될 수 있는 조건과 그렇지 않은 조건이 무엇인지, 그것의 절차, 대상, 의미를 디자인 효과라는 측면에서 검토함으로써 이를 안티-패션의 맥락에서 고찰할 것이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안티-패션이 특정한 양식에 대한 전적인 거부를 넘어서 오히려 다양한 형식들이 사라지고 순환되는 확장, 변주의 역량을 가진 긍정적인 정치적 공간을 함축하고 있음을 밝히려고 한다. Fashion in our times no longer was understood as a function of expression of class but as visual representation of cultural activities, which is objectifying one"s needs and desire to anyone else and taking own identity with its liquidity. However, even if fashion has been considered as various ways of human being"s existential expressions, it had been under-estimated as ‘disqualified’ theme in terms of which was referred as the level of phenomena, image, and change, speaking for Platonism in the long history of philosophy. Once fashion is seen as the field of practices surrounded of the human understanding, such as the technology of human existence, freedom and dependence, person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resistance, and compliance, this theme should be essentially analyzed than any academic areas. In this respect, central to this paper are two things: for one thing, I will see how the meaning through clothing is not fixed system for social norms and communication, rather symbolic form with dual code, which can resist existing common sense and practices. the other thing is to establish the meaning of relation of fashion/clothing and fashion/ anti-fashion with more positive perspective. The concept of positive perspective is referred in this context to make a closer look into the idea of anti-fashion with an attitude of ‘Enlightenment’-the way in which how Foucault interpreted Kant"s article “What is Enlightenment?”- beyond its limited meaning understood in the sphere of history of fashion. Furthermore, if it is true that fashion is the product of the Design, I will call attention to what conditions could make it possible to prevail specific fashion discourse in our social reality by reviewing its procedures, target and meanings in terms of design effect .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veil the implication of anti-fashion which could be functioned as the positive political capacity with circulating various formats as possible, beyond total denial of specific form.

      • KCI등재

        후기 푸코의 윤리적 문제설정에 있어서의 자유와 비판의 의미

        도승연(Dho Seung-yo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7 사회와 철학 Vol.0 No.13

        본 논문의 목적은 푸코의 윤리적인 문제설정이 그의 비판의 프로젝트 전체에 있어서 극점임을 드러내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이른바 ‘존재미학’이라고 할 수 있는 그의 후기 사상이 자유의 유지라고 하는 윤리학적 문제설정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가를 조망하려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주체의 해석학이라는 푸코의 계보학적 기획을 따라서 그의 후기의 관심사가 어떠한 의미에서 그의 사상사적 체계 안에서 보다 광범위하고 정제된 입장으로 이해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고, 윤리학적인 그리고 미학적인 영역으로 그가 전회를 꾀한 의도를 서구 문화의 주체화의 역사와 관련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리하여 적어도 그가 행하는 주체의 해석학이라는 계보학적 접근은 우리가 주체로서 형성되는 많은 방식들을 분석하는 다양한 측면들에 접근하기 위한 가능한 시도이고 또 그것이 그 한계를 시험하여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비판적 시도라는 점을 본 논문을 통해 주장하려고 한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how that Foucault’s ethical problematization is well fitted into his whole critical project but also to appreciate that his ethics as ‘aesthetic of existence’ can be read as a contribution to the maintenance of our freedom. In this respect, I will attempt to appreciate his intentions to make this turn toward ethical/aesthetical domains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of subjectivation in Western culture. Following Foucault’s genealogical project of the hermeneutics of the subject, I would like to show that his later concerns should be understood as more extended and refined perspective, at least, a possible approach to different aspects to analyze the many ways we are constituted as a subject and to transgress its limit. As a consequent, this dissertation will suggest that how Foucault’s later work can be fitted into the project which he had been pursuing throughout his intellectual inquiry, furthermore how it can be located as the culminating point of his critical philosophy.

      • KCI등재

        메타버스의 기술적 특징과 디지털 시민교육 : 가상-물리 세계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도승연(Seung-youn Dho)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다문화사회연구 Vol.16 No.1

        AI, 로봇,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경제, 노동, 환경 등 각각의 영역만이 아니라 인접 영역들과의 연결을 통해 사회 혁신의 속도와 강도가 과거보다 빠르고 강하게 전개하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그 영향력이 심대한 수준과 범위로 확산, 강화된다는 점에서 그 성과 못지 않게 그 부작용에 대한 균형적 접근이 그 어느 때보다 요청되는 시대이기도 하다. 역사적으로 모든 사회와 시대에 있어서 문명사적 전환의 기술적 적용은 격차를 발생시키고, 기술의 격차는 사회적 격차를 야기하지만 첨단 기술의 역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명쾌한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학기술이 첨단화될수록 디지털 시민성이 시대적으로 요청될 수밖에 없음을 산업혁명의 단계별 특징에 근거하여 검토할 것이다. 이후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급부상하고 있는 메타버스의 기술적 특징 중에서 ‘연결성’의 측면에 주목하면서 위험의 가능성을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시민교육의 기획과 운영에 관한 구체적 제언으로 연구를 마무리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I, robots, blockchain, and Metaverse’ is occurring not only in each area such as economics, labor, and environment, but also in connection with adjacent areas; as a result, the speed and intensity of social innovation is developing faster and stronger than in the past. However, as the influence of technology spreads and strengthens to a profound level and scope,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one in which a balanced approach to its side effects is requested more than ever, as much as its brilliant achievements. Historically, the technological application of the transition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causes a gap, and the gap in technology causes a social gap; however, a clear analysis and alternatives of the adverse effects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have not yet been presented. This study examines the argument that digital citizenship is inevitably required as science and technology become more advanced through the phased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intervention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 technology called Metaverse, rapidly emerging as par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ossibility of risk by focusing on the aspect of “connectivity” among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Finally, It will be concluded with specific suggestions o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열린사회를 향한 가정교육의 역할 -공감에 기반한 가정교육의 중요성과 홈스쿨링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도승연 ( Dho Seung-youn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의 거대한 위기를 거론하는 것도, 가정교육의 부재와 그로 인한 부작용을 열거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필자의 문제의식은 관용과 상호 존중을 겸비한 열린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공감적 태도를 겸비한 인간다움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 그러한 교육의 추동은 가정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학교 교육은 가정교육의 목적과 독립적인 것이 아니며 오히려 가정교육과 상보적인 차원에서 집단과 타자로 향한 공감적 가치가 실천, 강화되는 교육임을 밝힘으로써 그 보편적 가치를 부각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입시중심의 한국의 교육현실에서 인간다움의 가치를 추구하는 그 본래의 목적은 사라지고 가정교육은 급기야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계급유지를 위한 교육’으로 변질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계급 유지의 욕망과 입시 중심의 교육이 한 곳에서 만날 때, 가정교육의 부재와 학교교육의 이중의 위기가 진행될 때 등장할수 있는 한국적 홈스쿨링의 기형적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선제적으로 진단할 것이다. 나아가 홈스쿨링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공감을 강조하는 가정교육이야말로 한국 교육의 이중적 위기를 타개하고 열린사회를 나아갈 수 있는 느리지만 가장 근본적인 실천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either to mention the huge crisis of Korean education nor to enumerate the adverse effects and the lack of home education. Centering 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cultivating man with humanity, which could make the open society with attitude of tolerance and respect, this research will seek to claim that such training of content should be done through home education. In addition, it is said that schooling should not be considered independent with home education, rather which has highlighted the universal values of education itself by identifying with enhancing and training the value of compassion toward others complementing level of home education. However, the purpose of home education as searching for the humanity is gone, and even worse it is the fact that home education has been understood as the ‘one type of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home’, but also as the means for maintaining status of class one belongs. With the face of realities of educational crisis, I will preemptively diagnose the deformed possibility of home schooling when the desire of excessive competition for college entrance and maintaining the status of class one belongs meet in one place, when the process of dual crisis of schooling and lack of home education as well. Furthermore through critical examination of home schooling, this research will argue what home education emphasizes is compassion is the most fundamental but slow practice to overcome dual crisis of the Korean Education and to move forward open society indeed.

      • KCI등재

        푸코와 68혁명 : 사건이 아닌 경험, 신화가 아닌 비판으로서의 혁명

        도승연(Dho, Seungyo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6

        소외와 차이, 자율성을 전면에 내세운 68혁명에 대한 평가는 반세기를 넘어 정치학과 경제학, 역사와 철학 등 다양한 학제에서 지속적으로 검토되어왔고, 10년 단위로 추모와 맹공으로 재점화된 68혁명에 대한 뜨거운 논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68혁명에 대한 이러한 양가적 평가만큼이나 프랑스 철학자, 푸코에 대한 세간의 평가 역시 이와 유사하다. 68혁명 당시의 현장에서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가장 68혁명적인 문제의식을 자신의 연구 주제로 다루었을 뿐만 아니라 가장 강력한 혁명의 수혜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68혁명 의의를 냉정하게 비판해 온 학자가 바로 푸코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68혁명에 대한 양가적 평가를 다루는 것이 아니며 권위에 저항함으로써 미시적 차원의 권력의 작동을 보여주었던 68혁명의 자장아래 푸코의 당시의 경험이 그의 사상과 실존에서 어떻게 체화되고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기반으로 푸코가 68혁명이라는 사건을 신화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비판의 태도로 수용함으로써 드러내고자 했던 철학적 실천의 의미를 찾는 일이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푸코의 68혁명의 경험을 ‘철학적 실천’으로 재평가함으로써 68혁명의 비판적 계승자로서의 마땅한 자격이 있는 그의 새로운 얼굴을 가리키게 할 것이다. The evaluation of the 68 revolution, which put the emphasis on alienation, difference and autonomy in the foreground, has been continuously reviewed in various interdisciplinary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ics, history and philosophy for over half a century. And then, the heated debate over the 68 revolution that has been re-ignited by decades of memorial and onslaught has not yet come to an end. Like this ambivalent evaluation of the 68 revolution, the public’s one over French philosopher, Foucault is similar. Despite his absence at the time of the 68 Revolution on the spot, Foucault was the scholar who criticized the significance of 68 revolution in spite of receiving the most powerful benefits over revolution, treating the most 68-revolutionary questions as the main subject of 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address a ambivalent evaluation of the 68 revolution, but to review how Foucault’s experiences at that was embedded in his thought and existence under the magnetic field of the 68 revolution, which showed the operation of power at a microscopic level by resisting authority something to do. Based on this review, the study will find the meaning of his philosophical practice that Foucault sought to expose by accepting the 68 Revolution event not as a myth, but as a attitude of criticism. Thus, ultimately, it will reassess Foucault’s experience of the 68 revolution as a ‘philosophy practice’ and point to his new face, which is entitled to a critical successor to the 68 revolution.

      • KCI등재

        여성이 행복한 도시가 가지는 반여성적 장치와 효과들 : 푸코의 공간화된 사유를 중심으로 바라본 분당의 경우에 대하여

        도승연(Dho Seung-yo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0 No.18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발전’, ‘삶의 질’의 향상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현대의 도시 계획들이 그 기원에 있어서는 여성주의적인 특질들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도시라는 공간에서 거주하는 여성 주체의 경험적 차원으로 진입했을 때 반여성주의적 효과와 실천들을 야기시키는 장치들로 작동한다는 비판적 지점을 푸코의 계보학적 전략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다. 주체에 대한 푸코의 계보학적 이해가 시간보다는 공간화된 사유라는 전략을 통해 주장되어 왔다는 점에 기반하여 본 논의에서는 그 공간을 다시 도시라는 구체화된 거주의 공간으로 펼쳐 놓고 그 도시를 통치하는 장치가 어떻게 여성 주체의 경험을 형성하는지 분석할 것이며 이를 통해 도시가 가지는 통치의 장치-재화와 인구의 원활한 순환-들이 어떻게 잘 조절되고 운영되고 있는가를 묻기 보다는 그러한 장치들이 가지는 반여성주의적 효과와 실천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특히 재화와 인구의 원활한 순환을 통해 통치적 질서를 꾀하려고 했던 신도시의 경우 그 문제점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산층 거주 지역으로 이해되는 분당의 특수성을 통해 기존의 여성과 도시에 대한 관심 역시 단순히 물리적인 시설에 기반한 삶의 쾌적함이나 도시의 문화 산업적 가치를 넘어서 그 안에서 거주하는 여성 주체의 다양한 삶과 관계를 지향해야 한다는 사실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ntends to reveal that contemporary urban renovation projects carried out the sloga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r “quality of life enhancement” that presumedly bears feminist ideals could result in the dis-empowerment of women who live in the city. Utilizing Foucault's genealogical strategy, I attempt to analyze the way in which urban physical structure affect the identity formation of women through their daily experiences. Based on the idea that Foucault's understanding of subject is coherently supported in terms of spatializing thinking rather than temporalizing one, I will firstly question how some specific dispositions of urban structure could help to make strong her experience as particular form of feministic identity, and secondly review how dispositions of urban structure for governing could make it possible anti-feministic effects and practices with a critical perspective. Especially taking notice of the typical cas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Newtown -Bundang- which is led by the governmental will for the purpose of good circulation of nation's commodities and population, the matter of primary concerns to the city and feministic identity as well should be approached toward the possibility of making feministic identity based on various form of life and relationship in the urban structure beyond the face-values of convenience relying on physical facilities and profit from culture industry.

      • KCI등재

        푸코(Foucault)의 문제화 방식으로 스마트시티를 사유하기

        도승연(Dho Seung you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1

        본 연구는 환경지속성과 경제 활성화를 강조하는 스마트시티의 주류 담론과는거리를 두고 푸코(Foucault)의 문제화(problematization)의 방식에 기반을 두어 스마트시티의 출현과 실천이 신자유주의적 경제 질서와 통치성이 이끈 역사적 구성물임을 밝히고자 한다. 문제화의 방식으로 스마트시티를 사유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특정한 현상이 어떻게, 왜 그 시대의 문제가 되었는지에 관한 역사적조건을 탐구하는 문제화의 방식을 통해 자동관리체계로서의 스마트시티의 기능이아닌 그것의 주체와 전략, 권력의 효과를 집중적으로 다룰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스마트시티가 전제하는 핵심 기술들을 사회적 차원에서 문제화함으로써 해당 기술의 오남용의 문제가 아닌 그 내재적 특성에 의해서 스마트시티가 신자유주의질서에 기반을 둔 현대적 통치성의 수단이며 목표, 동시에 효과가 된다는 것을사실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과학기술 시대라는 강력한 자장 안에서 스마트시티가 우리의 사회적 현실과 실존의 조건이 될 때, 그것이 함축하는 위험이 기회의설파보다 비판적으로 다루어져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문제화의방식에 의한 스마트시티의 연구는 이를 사회적 문제로 대응하고 권력의 효과로반응함으로써 어떠한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한 오래된 질문을 새롭게 반복하게 할것이다. This study will be analyzed by Foucault s method of problematization, apart from main discourse on smart cities promis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conomic revitalization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such analysis, this intends to reveal that the emergence and practice of smart city is a historical component led by neoliberal economical order and governmentality. There are two effects gained from smart city by thinking problematically. Essential to the concept of problematization, which is concerned with how and why, at specific times and under particular circumstances, certain concept is are questioned, it will make the discourse on smart city to be focused in the social level of the subject, strategy, and the effect of power, not focusing on administration of city as an automated management system. Secondly, if the core technologies that are premised on smart city are brought to the social level not because of abuse of the technology but because of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it can be revealed that smart city is both a means and goal, and effect of governmentality based on neoliberal economical order. When our social reality and the conditions existence are constituted in the strong magnetic field of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hat the risks implied by the smart city should be treated much more critically. In this respect, This study of smart city based on the way of problematization will renew the old question about what kind of life to live by responding to social problems and reacting to the effect of power of it.

      • KCI등재

        4차 산업 혁명의 교육 매체적 혁신이 이끈 대면 교육의 역설적 필요성에 대하여

        도승연 ( Dho Seung-youn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9 No.-

        4차 산업혁명이 이끈 문명사적 변환은 단순히 산업과 경제 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후속세대의 고등 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대학의 책임과 역할이야말로 여타의 영역보다 긴급하고 근본적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4차 산업 혁명과 관계하는 한국 대학교육이 거대한 변화의 조짐은 교육 매체의 혁신의 기반하고 있으며 특히 무크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학점 인정제, 이러닝(E-learning)의 활성화, 가상현실에 기반한 실감교육, 블렌디드(Blended), 플립트 러닝(flipped learing)은 현대의 교육 매체적 혁신을 실제 대학 교육에 적용한 사례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교육 매체의 혁신이 4차 산업 혁명이 수반한 매우 효과적인 교육공학적 성과물이라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교육 매체의 혁신이 학습의 혁신을 자동적으로 수반하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적 측면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4차 산업 혁명 이후 강조되고 있는 교육 매체의 혁신이 교육 내용에 미친 긍정적 영향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후 가시적 성과의 이면에 존재하는 교수-학생간 관계의 변화, 학습의 궁극적 가치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교육 매체의 변화가 곧 교육 내용의 강화를 자동적으로 수반하는 것이 아님을 주장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주장은 교육 매체의 혁신이 이룬 그간의 성과를 축소하기 위함은 결코 아니며 그 성과를 최대화하고 성과 이면의 부수적 효과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조건들을 제안함으로써 교육 매체의 혁신과 더불어 강화되는 학습의 선순환을 이끄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기 위함이다. The great changes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brought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not been limited to just the industrial and the economic sectors. The responsibility and role of universities that must be in charge of higher education for the future generations are more urgent and fundamental than any other fields. There are great shift in education of university in Korea brought by the digital transformation to be represented as the form of “distance learning” following by association of educational media, such as the MOOC credit system and many digital devices for communicating. All of which may be some of the successful cases of applying for educational media to education systems in University. This research aims to claim that the educational effect should not be considered same a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dia itself, which is represented as distance learning. It is without saying that the approach of a distance learning has derived a considerable results and benefits in terms of its efficiency of delivering basic knowledge, reducing operating costs, and registering a large number of students at a one time. However, this could not decisively include the process by which two entities-professor and student and finally caring each other. With this respect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not to criticize of the media outcome, but lead a goal-oriented activity that properly uses the media outcomes and the effort to find its balance in education.

      • KCI등재

        푸코의 "철학적 훈련"과 지눌의 "수행적 실천"이 지향하는 실존 양상의 비판적 함축에 대하여

        도승연 ( Seung Youn Dho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지식과 권력의 복합체이자 성적 주체인 근대적 주체개념에서 벗어나 실존의 미학을 주장하는 푸코의 윤리적 논의를 기반으로 이와는 다른 맥락에서 수행과 실천을 통해 존재의 변화를 시도하는 한국의 선불교의 주창자 지눌의 주장을 비교함으로써 근대적 주체형성의 역사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주체화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도덕과 구분하여 이해하고 있는 푸코의 윤리적 분석의 범주들을 소개, 선불교의 윤리적 내용들에 적용, 분석할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비판철학과 종교라는 이질적인 지반에도 불구하고 푸코가 주장하는 ``철학적 훈련``과 지눌이 주장하는 ``수행적 실천``이 공유하고 있는 의미의 지평을 추적함으로써 한국 선불교가 지향하고 있는 구도의 정신에 주목하고 이것이 척박한 근대의 자기 관계의 주체 역사에 있어서 어떠한 대안적 가치를 함의하는지 비판 철학적 의의를 함께 드러내고자 한다. In this paper, based on the Foucaudian claims away from the concept of the modern subject produced by tight bond of power and knowledge, sexual discourses, towards aesthetic of existence, which is based on performance and practice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advocates of Ginul`s Zen Buddhism in Korea, By comparing with the claims of Ginul formation, I will elucidated the critical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the modern subject is distinctively shown the feasibility of a new principal. For this purpose, primarily by separating the morality, this paper examines Focaudian formation of four-fold ethical categories and understanding and then applied these categories to Ginul`s ethical content. Secondly, it makes it help to see Foucaudian claims of ``philosophical askesis ``and Ginul`s claim ``performative practice`` sharing same horizon of pursuing the spirit of sprituality in spite of their heterogeneous soils. By tracking the composition of the Korea-oriented spirit of Zen is to focus on their relationship as alternative value with the implication that the significance of philosophical criticism to be revealed in this harsh modern history of subjectiv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