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뮤지엄의 개방형수장고 해외사례 연구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에 대한 제언-

        도경민,정윤희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4

        This study researches the successful management cases of museum’s open storage in order to meet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museums for Kor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Center which is opened in 2008. The open storage’s objective is to share the humanistic valu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owner of the collection is all of us.’ A new attempt of museums is to rediscover the reason and value of the museum which is faced various challenges in 21st. century. Open storage of museums is primarily aimed at the active learning of the visitors, and in order to do so, the digitaliza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coll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s an essential condition. Kro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Center is now planning the two functions of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art works’ and ‘open storage’, and this is very similar of current open storage cases of other developed museums in oversea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and features of successful museum open storage and suggests appropriate suggestions and applications for Kor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by looking at the operation plan of Kor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본 연구는 2018년 개관을 앞둔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의 오픈에 앞서 21세기 뮤지엄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개방형 수장고를 해외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해보았다. 개방형 수장고는 ‘컬렉션의 진정한 주인은 대중’이라는 개념 하에 인류가 일궈온 인문학적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뮤지엄의 새로운 시도는 21세기 뮤지엄이 직면한 다양한 도전 속에 뮤지엄의 존재 이유와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개방형 수장고는 무엇보다 관람객의 주도적인 학습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이를 위해 컬렉션 정보의 디지털화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필수 조건으로 두고 있다.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의 경우 소장품을 수장하면서도 특수한 목적을 동시에 지닌 해외 오프 스토리지(off-storage)의 사례와 유사한 형태를 띄는데, 이에 ‘보존․복원’이라는 특수 기능과 소장품의 개방형 수장고를 동시에 겸하는 형태로 건립 계획 중이다. 본 연구는 해외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개방형 수장고의 사례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의 운영계획을 살펴봄으로써 본 센터에 적합한 제언들을 제시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

        도경민,김태형,이승만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2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을 연구의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을 통해 21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온라인을 통해 배포되었고 총 203부가 회수되었으나,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5부를 제외한 198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통해 유의수준 .05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립된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 동기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참여 동기의 하위 요인 중 즐거움만이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발달, 사교, 건강 체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스포츠 참여 동기와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참여 동기의 하위 요인 중 즐거움과 사교는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발달과 건강 체력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스포츠를 통한 장애인의 건강한 삶을 위한 개인적, 사회적 관점에서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기초적인 실증자료를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성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보이는 수장고(Visible Storage)에 대한 주요쟁점 분석과 시사점

        도경민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8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1 No.2

        2010년 전후 전 세계 뮤지엄들이 수장형 전시 시스템인 보이는 수장고, 개방형 수장고를 선보이고 있다. 국내 역시 국공립 뮤지엄을 중심으로 이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인데, 2017∼2018년 7곳이 문을 연 데 이어 2022년까지 총 12곳의 개방형 수장고가 선을 보인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의 인류학 뮤지엄(Museum of Anthropology)에서 시작한 보이는 수장고는 소장품의 손상 위험과 공공의 접근권 확대, 관람객 주도 학습과 뮤지엄의 교육적 역할 등의 여러 딜레마 속에 오랜 시간 답보상태에 있어 왔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디지털 기술 등의 발달로 그 동안의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또 다른 국면을 맞으며 뮤지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보이는 수장고 관련 지난 40년 동안의 해외 연구들을 분석하여 주요 쟁점의 변화와 최근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를 종합 분석하여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3가지 쟁점으로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에서 자기성찰(self-reflexive)로의 전이’, ‘전달하는 지식(informative knowledge)에서 소통하는 지식(communicating knowledge)으로의 전이’, ‘보이는 수장고(Visual Storage)의 보이는 것(Visuality)에 대한 우려’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동향에 비추어 국내의 보이는 수장고가 지향해야할 방향성을 집어보았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도경민,이희영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4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paternal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750 moth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who live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Parenting Efficacy Scale by An(2001), Parenting Stress Scale by Kim and Kang(1999) and Choi(2016) and Generative Paternal Role Scale by Lee et al.(1999).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es(Stepwise, Hierarchy).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that paternal involv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nd its effects differ depending upon sub-factor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That is, paternal involvement was not effective in daily hassle which is one of the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but was effective in maternal parenting role burden which is another factor of parenting stress.. Moderating effect was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level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That is, in high maternal parenting easiness, when paternal involvement was high, maternal parenting role burden was low; however, in low maternal parenting easiness, when paternal involvement was high, maternal parenting role burden was high. Next, moderating effect of paternal involvement was significant only in parenting easiness factor of sub-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In other words, in high maternal parenting easiness, when paternal involvement was high, maternal parenting role burden was low; however, in low maternal parenting easiness, when paternal involvement was high, maternal parenting role burden was high.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erms of considering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aternal involvement simultaneously and providing new perspective on paternal involvement.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유치원 5곳과 어린이집 2곳에 재원중인 영유아의 어머니 750명이었다. 안지영(2001)이 번안하고 수정한 양육효능감 척도, 김기현과 강희경(1999)이 개발한 것을 최세실(2016)이 수정하고 보완한 양육스트레스 척도와 이영환 등(1999)이 개발한 생산적 아버지 역할 척도가 자료 수집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적률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조절효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요소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요소 중의 하나인 일상적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다른 하위 요소인 어머니의 역할 부담감에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조절 효과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수월성이 높을 경우에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정도가 높을 때 어머니의 역할 부담감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어머니의 양육수월성이 낮은 경우에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으면, 어머니의 역할 부담감이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조절효과는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하위 요소(양육 자신감과 양육 수월성) 중 양육 수월성에서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 수월성이 높은 경우에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을 때 어머니의 역할 부담감이 낮은 반면, 어머니의 양육 수월성이 낮은 경우에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으면 어머니의 역할 부담감이 오히려 높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였고,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