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 잎 70% 에탄올 추출물의 단회와 14일 반복투여 독성시험의 안전성 평가

        홍충의(Chung-Oui Hong),서문영(Young Seomun),구윤창(Yun-Chang Koo),남미현(Mi-Hyun Nam),이현아(Hyun Ah Lee),김지훈(Ji-Hoon Kim),왕증(Wang-Zeng),양성용(Sung Yong Yang),이성희(Sung-Hee Lee),노수환(Su Hwan No),이광원(Kwang-W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생강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며 열, 복통, 타박상, 출혈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식물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생강나무 잎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생강나무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암수 각 군당 5마리씩 5000(단회투여 독성시험), 0, 500, 1000, 2000(14일 반복투여 독성시험) ㎎/㎏의 용량으로 단회경구투여와 14일 반복경구투여를 실시하여 15일간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조직병리, 혈액학적 및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시험기간 중 사망동물은 암수 모든 시험군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일반증상, 체중변화, 조직병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투여와 관련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생강나무의 단회투여 독성은 5000 ㎎/㎏ 용량을 상회하며, 14일 반복투여의 최고용량인 2000 ㎎/㎏ 용량에서도 아무런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최대무독성량은 이 농도를 상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생강나무는 안전한 소재로서 식재료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Lindera obtusiloba Blume (LO),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Japan and China,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a popular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fever, abdominal pain, bruise and extra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oxicities of the single and 14-day repeated doses in Sprague-Dawley rats orally administrated with LO at doses of 0, 500, 1000, 2000 (14-day repeated toxicity test) and 5000 (single toxicity test) mg (dry weight)/㎏ of body weight/da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change, food intake, water consumption, or organ weight among different dose groups. Also we observed no death and abnormal clinical sign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etween the groups orally administered LO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hematological test or serum biochemical values. There were no evidences of histopathological alteration as well as abnormal gross finding mediated by single and 14 days treatments with LO.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the oral application of LO was considered to be more than 2000 mg/kg in rats under the conditions employ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