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형외과 수술에서 외과적 손 씻기의 효과

        장호진(Ho-Jin Chang),남준호(Jun-Ho Nam),김동영(Dong-Young Kim),김희수(Hee-Soo Kim),박성현(Sung-Hyun Park),이상욱(Sang-Wook Lee),김태훈(Tae-Hoon Kim),조명래(Myung-Rae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목적: 두 가지 소독액을 사용하여 균 감소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2011년 8월 2일부터 9월 2일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 내원한 총 3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Povidone iodine (3.75%) 단독으로 소독한 군과 povidone iodine (3.75%) 사용 후 Softa-Man®을 추가한 군으로 나누어 손 씻기 전, 손 씻기 후, 수술 후에 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소독약의 종류에 따라 그람양성구균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34) 그람양성간균의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p=0.838). 손 씻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균 양성비가 감소하였고(p=0.000) 120초 이상에서 저명한 감소를 보였다. Povidone iodine만을 사용할때 300초 이후부터는 그람양성구균의 양성률이 오히려 높아졌다(p=0.014). 수술 시간은 균감소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사용된 소독약제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143). 결론: Povidone iodine만 사용한 경우 균 양성률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면 4분에서 5분 사이의 손 씻기 시간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두 가지 제재를 같이 사용한 경우는 적어도 2분 이상의 손 씻기 시간이 필요하다. Purpose: Two antiseptic solut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effect on bacterial growth inhibit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ho visited Daegu Catholic Medical Center from August 2, 2011 to September 2, 2011. Bacterial culture was performed at the pre-scrub, post-scrub, and postopera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use of povidone iodine (3.75%) and povidone iodine with Softa-Man<SUP>®</SUP> as antiseptic agents at the surgical. Results: Comparison between the antiseptic solu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presence of gram positive cocci (p=0.034),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presence of gram positive bacilli (p=0.838). As the scrub time increased, the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decreased (p=0.000), and decreased significantly at more than 120 seconds. However,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increased significantly at more than 300 seconds in cases with povidone iodine only (p=0.014). Glove wearing ti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antiseptic solutions (p=0.143). Conclusion: Considering the positive detection ratio of bacteria when using povidone iodine only, the appropriate scrub time should be between 4 and 5 minutes. When using both antiseptics, at least 2 minutes of scrub time is needed.

      • KCI등재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의 변화

        최원기(Won-kee Choi),남준호(Jun-Ho Nam),전충무(Chung-Mu Jun),최승철(Seung Cheol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의 변화를 분석하고, 술 후 무릎 기능에 대한 체질량 지수의 영향과 체질량 지수 증가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술자 1인에 의해 시행된 100예의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하여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25 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1년 후의 환자의 체질량 지수와 Knee Score와 Function Score로 구성된 Knee Society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1년 후, 체질량 지수는 34예(34%)에서 감소 혹은 유지되었으며, 66예(66%)에서 증가되었다.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이 되는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예(28%)에서 발생하였다. 5% 이상의 체질량 지수가 증가된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였다. 나이와 술 전의 낮의 Function Score가 술 후 1년의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환자 인자였다. 나이가 1년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odds ratio)는 0.905이었으며,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1점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는 0.902이었다. 즉, 술 전 나이가 젊을수록,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낮을수록 술 후 체질량 지수가 5% 이상 증가할 위험성이 높았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의 환자에게서 일어나며, 해당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다.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를 보이는 환자 요인은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가진 환자였다. 그러므로, 술자들은 술 후 환자들에게 체질량 지수가 증가되지 않도록,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 환자를 특히 중점적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ody mass index (BMI) and the effects of BMI on the knee function and risk factors for an increase in BMI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Asians.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00 cases of TKA performed by one surgeon. Obesity was defined as BMI ≥25 kg/m². The BMI and Knee Society Score, consisting of the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were measured on the day before surgery and one year after surgery. Results: The BMI decreased or was maintained in 34 cases (34%) and increased in 66 cases (66%) one year after surgery. An increase in BMI of 5% or more was considered a clin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MI and occurred in 28 cases (28%). The patients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knee function score. The age and preoperative function sco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As the age increased by one year, the odds ratio at which the BMI would increase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5. Moreover, as the preoperative function score increased by one point, the odds ratio that the BMI would increase by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2. In other words, a younger preoperative age and a lower preoperative function score mean a higher risk of a more than 5% postoperative increase in BMI. Conclusion: The BMI increased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in 28% of the TKA patients examined. They had a lower functional score. The risk factors for a more than 5% increase in BMI after TKA were young age and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Therefore, surgeons should educate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ho are young or have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so that the patient’s BMI would not increase after surgery.

      • 만성 외측 발목 불안정에서 변형 Brostrm 술식 후 스포츠로의 복귀에 관한 문헌 고찰

        이동영 ( Dong Yeong Lee ),남준호 ( Jun Ho Nam ),이효열 ( Hyo Yeol Lee ) 국군의무사령부 2019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50 No.1

        Objectives; The time of return to play after modified Brostrm operation remains uncertai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published studies regarding the return to play after modified Brostrm oper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Methods; Several electronic databases were queried for articles published until June 2019 that evaluated outcomes of return to play after modified Brostrm operation in patient with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Only clinical studies written in English were included. Data searches, extraction, analysis, and quality assessmen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chrane Collaboration guidelines, and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various outcome values such as clinical scoring, complication, and return to play timeline data. Results; Five studies were included. Due to insufficient data description, a quantitative analysis has not performed. The preset study revealed the modified Brostrm operation has demonstrated favorable clinical outcomes and low complication rate. Related to return to play, the mean length of time was expected return to comparative sports play at approximately 14 weeks. Conclusion; The modified Brostrm operation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providing a stable ankle and expected return to comparative sports play or training at approximately 14 weeks. This finding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because the data involved were extracted from only a few studies and high heterogeneity of included studies.

      • 신규 제초제 후보물질 MRC-04 (Methiozolin 유도체)의 토양대사 및 토양광분해 특성 연구

        임종수(Jong-Soo Lim),황기환(Ki-Hwan Hwang),김성헌(Sung-Hun Kim),남준호(Jun-Ho Nam),조남규(Nam-Gyu Cho),구석진(Suk-Jin Koo) 한국잡초학회 2021 한국잡초학회 별책(학술대회 초록집) Vol.41 No.1

        MRC-04 (5-(((2,6-difluorobenzyl)oxy)methyl)-5-methyl-3-(o-tolyl)-4,5-dihydroisoxazole)는 잔디 제초제인 methiozolin의 유도체로 다양한 논잡초에 활성을 보이며, 특히 ALS 저항성 피를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 후보물질이다. 본 연구는 MRC-04의 토양대사 및 광분해 반감기를 산출하고, 생성되는 대사체를 구조 동정하여 환경 중 동태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양대사와 광분해 연구를 위해 <sup>14</sup>C로 표지된 MRC-04가 이용되었고, 토양대사 실험은 호기, 호기담수 및 혐기조건에서 진행되었으며, 모든 조건에서 mass balance는 90.2%-103.3%였다. 호기조건과 호기 담수조건에서 MRC-04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최종 120일, 60일에 각각 처리량 대비 23.6%, 11.7%가 검출되었으며, 반감기는 63.0일과 17.9일로 산출되었다. 반면 혐기조건에서는 처리 후 120일에 MRC-04의 분해율이 7.4%로 매우 낮아 반감기를 산출할 수 없었다. MRC-04가 완전히 분해되어 생성되는 <sup>14</sup>CO<sub>2</sub>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호기, 호기담수와 혐기조건에서 최종 120일, 60일, 120일에 각각 처리량 대비 24.1 %, 30.9%, 13.7%가 검출되었다. 비추출성 잔류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호기, 호기담수 및 혐기조건에서 최종 120일, 60일, 120일에 각각 처리량 대비 35.9%, 11.6%, 15.3%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모든 조건에서 <sup>14</sup>C-휘발성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주요 대사체는 호기담수 조건에서만 3개가 검출되었는데, 각각의 화학구조는 2,6-difluorobenzoic acid, 4-((2,6-di-fluorobenz.yl)oxy)-3-hydroxy-3-methyl-1-(o-tolyl)butan-1-one과 1-((2,6-difluorobenzyl)oxy)propan-2-o|이었다 토양 광분해는 2종의 토양(양토, 사양토)을 이용하여 광조건과 암조건에서 각각 진행되었으며, 모든 조건에서 mass balance는 94.7-107.7%였다 광조건에서 MRC-04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최종 16일에 양토, 사양토에서 각각 처리량 대비 91.2, 93.8%이었으며, 반감기는 각각 140.2일, 91.8일로 산출되었다. 주요 대사체는 모든 토양에서 생성되지 않았다. <sup>14</sup>CO<sub>2</sub>는 최종 16일에 양토, 사양토에서 각각 처리량 대비 0.4, 1.2%가 생성되었으며, <sup>14</sup>C-휘발성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위도 별 여름철 자연광에 의한 예상 반감기를 산출한 결과 양토, 사양토에서 각각 271.0-286.2일, 177.4-187.4일이었다. 암조건에서는 MRC-04가 최종 16일까지도 분해되지 않았고, <sup>14</sup>CO<sub>2</sub>는 처리량 대비 0.1 % 미만이 생성되었으며, 주요 대사체와 <sup>14</sup>C-휘발성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MRC-04는 토양 중 호기성 미생물과 광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는데, 일반 호기조건에서의 미생물과 광에 의해서는 주요 대사체와 휘발성 물질이 생성되지 않고 최종 분해산물인 이산화탄소로 완전 분해되는 반면, 호기담수 조건에서만 미생물에 의해 주요 대사체가 생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볼 때, MRC-04는 토양 환경에 노출되어도 빠르게 분해되어 잔류에 의한 환경 영향은 낮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