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특성, 팀 멘탈 모델, 팀 효과성 관계 분석

        남영옥,유병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이 연구는 대학의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상황에서 팀 구성원 특성인 집단효능감, 과업 상호의존성이 팀 멘탈 모델(TMM)을 매개로 팀 효과성인 팀 학습 성과, 팀 활동 만족도, 개별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K대 대학생 244명(협동학습 집단 182명, 협력학습 집단 62명)으로 7주간의 팀 활동 종료 후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3단계 매개회귀분석, One-way MANOVA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집단 효능감, 과업 상호의존성, TMM-팀, TMM-과제가 팀 활동 만족도를 예측하였으며, 팀 멘탈 모델이 팀 구성원의 특성과 만족도를 매개하고 있었다. 협력학습 집단에서만 집단 효능감이 TMM-과제를 매개로 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효한 결과값을 살펴보면 협력학습 집단의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팀효과성 하위요인에 대한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협력학습 집단의 개별 학습성과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F=15.133, p< .05). 상기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 효능감과 과업 상호의존성은 팀 멘탈 모델의 선행 요인이며, 팀 멘탈 모델을 매개로 팀 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별 학습성과의 향상에는 협동학습보다 협력학습이 더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팀 활동 학습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남영옥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ddicted to the internet, internet game and cybersex and how their psychosocial traits affected their internet-related addiction. Firstly, 58.0% of the surveyed students were addicted to internet. 15.1% had internet game addiction and 7.7% had cybersex addiction. Second, those who were more impulsive, aggressive and depressed were more likely to be hooked on the internet and internet game, and those who were more aggressive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cybersex. Third, Internet addiction was more likely to happen among the students whose parents didn't fare well with each other, whose parents had a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who were more strictly controlled by their parents. Fourth, those who were more impacted by their friends in relation to the internet and less supported by their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be hooked on the internet. The students who were more affected by their friends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internet game. And those who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friends and less satisfied to school life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cybersex.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인터넷 관련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854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중독의 경우, 조사대상자의 55.0%는 초기중독, 3.0%는 중증중독으로 나타나 전체 58.0%가 인터넷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중독은 15.1%가 고위험중독으로 나타났으며, 음란물중독의 경우 3.4%는 경미한 중독, 2.6%는 중등도 중독, 1.7%는 중증중독으로 나타나 전체 7.7%가 인터넷 음란물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를 보면, 공격성이 높을수록 중학생들이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충동성과 우울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환경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에서는 부모의 부부관계가 나쁠수록,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통제가 심할수록 중학생들은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부모의 양육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인터넷 중독과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환경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에서는 친구의 영향력이 높을수록 중학생들이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교사지지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학교만족도가 낮을수록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탄력성과 영향요인

        남영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te of adolescents with soci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their social resilience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1 adolescents who used 15 social welfare centers. Afte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emplo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43.0% of the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were socially resilient. Second, the adolescents of single-parent families were more socially resilient when they had a more smooth communication with parents, when their peer group was more prosocial and when they were better supported by other adults. Third, as for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the social resilience of the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prosocial characteristic of the peer group had the largest impact on that, followed by backing of other adult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들 중 사회적 탄력성을 나타내는 청소년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이들의 사회적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이들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15개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22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정 청소년들 중 43.0%가 사회적 탄력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정 청소년들은 부모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수록, 또래집단의 특성이 친사회적일수록, 다른 성인의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탄력성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은 또래집단의 친사회적 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다른 성인의 지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순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일반청소년과 시설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비교

        남영옥,이상준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difference there is in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home-reared adolescents and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and to grasp which effects these adolescents' social support has on adaptation to school. To do th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analyzed materials in 228 home-reared adolescents and 242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school students. First, the home-reared elementary-school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compared to institutionalized elementary-school students. Second, the institutionalized middle-school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friend's support compared to home-reared middle-school students. Third, as for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and middle-school students,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perception on teacher's support compared to home-reared adolescents. Fourth, the adaptation to school was indicated to be performed better by home-reared female students than institutionalized female students, and by home-reared elementary-school students than institutionalized elementary-school students. Fifth, in case of home-reared adolescents, th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friend'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led to showing the higher level in adjustment to school. And, in case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 higher perception on care-giver's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led to showing the higher level in adjustment to school. 본 연구는 일반청소년들과 시설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청소년 228명, 시설청소년 242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초등학생들이 시설초등학생들에 비해 양육자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중학생들이 일반중학생들에 비해 친구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중학생들에서 시설청소년들이 일반청소년들에 비해 교사지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으로 일반청소년들과 시설청소년들 간에 학교적응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서는 일반여학생들이 시설여학생들에 비해서, 그리고 일반초등학생들이 시설초등학생들에 비해서 학교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청소년들은 양육자지지와 친구지지, 교사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그리고 시설청소년들은 양육자지지와 교사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사이버 섹스 중독과 사이버 음란물 접촉 및 성행동과의 관계

        남영옥,이상준 한국청소년학회 2002 청소년학연구 Vol.9 No.3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close look at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addiction to cyber-sex, their exposure to cyber obscenitie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sexual behavior, etc, to make an analysis of their relationship and to determine there lationship between cyber sex addiction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tions. A survey with 169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its subjects shows that 0.7 percent of them are badly addicted to cyber-sex and that about 7 percent of them a rein the inception of addiction. The research indicates that 50.2 percent of them turn out to be exposed to obscenities, while 9 percent of them engage in distributing obscenities and enjoying chatting related to obscenity. The survey also reveals that 4.7 percent of them are involved in sex transactions, and that 6.6 percent of them have ever demanded sex, that 15 percent of them commit self-abuse and that 9 percent of them make love with persons whom they contact on the Internet.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turned out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adolescents` cyber-sex addiction.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사이버섹스 중독의 수준과 사이버음란물 접촉 및 성행동의 실태를 면밀히 알아보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며, 나아가 사이버섹스 중독의 심리사회적 변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169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 청소년의 7.6%가 사이버섹스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0.7%는 심각한 사이버섹스의 `중증중독` 상태에 있고, 6.9%는 `초기중독`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사이버음란물 접촉과 성행동 실태를 보면, 청소년의 과반수가 사이버상에서 한번 이상 음란물을 접속해 본 경험이 있으며, 약 15%는 상습적으로 음란물접속을 하고, 약 9%는 음란물 유포와 음란채팅을 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4.『%가 청소년 성매매 경험이 있으며, 6.6%는 이성 상대에게 성관계를 요구하고, 약15%는 인터넷 사용 중에 자위행위를 하고, 약 9%는 사이버 상에서 만난 이성 상대와 실제 성행위를 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남학생일수록 그 빈도가 현격히 늘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청소년의 사이버섹스 중독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보다 `성별` 과 `학교급`이었으며, 9개 심리사회적 변인 중에서는 `부부관계`와 `친구관계` 등의 변인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년이 높아질수록 남학생일수록 사이버섹스 중독이 더욱 심화되며, 부모, 친구 등과의 관계가 원만한 청소년일수록 사이버섹스 중독이 약화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청소년가출의 가족역동적 요인에 관한 연구

        남영옥 가톨릭상지전문대학 1997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청소년 가출행동에 가족역동 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하여 청소년 가출을 가족역동적 관점에서 살펴본 후, 가정의 심리적 환경을 가출행동과 관련된 가족역동 변인으로 선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청소년 가출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청소년 가출의 원인은 복합적인 것이지만 주요 원인은 부적절한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성원간의 정서적 유대의 단절, 부모-자녀간의 대화의 빈곤, 가정에 대한 불만족, 가족 문화의 부재 등 가족기능의 약화 내지는 붕괴로 인한 것임이 본 연구를 통해 지적되었다. 청소년 가출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관한 청소년 설문조사에서 가정의 화목이 2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가정, 학교, 개인, 사회환경의 종합적인 노력이 15.3%, 사회환경의 개선이 14.5%를 차지하였다. 이것을 볼 때 안정되고 화목한 가정환경을 위한 노력이 청소년 가출예방의 최우선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내의 스트레스를 극소화시키고 문제가정에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와 더불어 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을 행복하고 건강하게 양육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그만큼 자녀들의 가출문제도 예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은 채 가출청소년이 자신들의 가정으로 돌아가게 될 경우 가출은 되풀이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한편 미국의 경우 26초에 한 명 꼴로 가출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대책의 일환으로 가출청소년에게 사회복귀의 기회를 부여하는 '커브넌트 하우스(Covenant House, 聖約의 집)'가 있다. 커브넌트 하우스는 뉴욕 최대의 청소년 대상 수용시설로 미국 전역에 광범위한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연간 약 1만 3천명의 청소년이 이 곳에서 새로운 삶을 꿈꾸며 재활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커브넌트 하우스가 다른 보호기관과 다른 점은 일시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버려지고 가출한 청소년에게 사회복귀를 가능토록 해주는 것이 최종 목적이다. 우리나라도 커브넌트 하우스처럼 가출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책이 다양하게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커브넌트 하우스와 같은 보호시설이 아무리 훌륭하고 가출청소년의 재활의지를 북돋을 수 있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다 할지라도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청소년 가출은 증가할 것이다. 즉 가정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면 가정의 붕괴로 인한 가출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 가출의 예방을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가정에서 따뜻한 정서적 지지와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부모-자녀간의 명료한 대화와 은화한 가정분위기를 바탕으로 가족의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족복지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시니어의 정보윤리의식 비교: 성별, 연령, 교육수준 중심으로

        남영옥,오미자,박수미 한국인터넷윤리학회 2022 The Digital Ethics(디지털 윤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가 인식하는 정보윤리의식에 대해 성별, 연령별, 학력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이후 교육의 필요성이나 교육과정의 내용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의 50~80대 시니어를 대상으로 온라인 구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전국의 시니어 1,122명이 응답을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1,08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니어의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정보윤리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정보윤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정보윤리위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보윤리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시니어가 가진 정보윤리의식이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시니어 특성에 맞는 정보윤리 인식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이혼가정 여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남영옥,이상준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of the influence of the divorce of parents on adolescent social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2 adolescents whose parents were divorced used social welfare center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divorce of the parents had an impact on their social adjustment through a secondhand path by being linked to living standard, parent-child communication process and adolescents' self-esteem. At the same time, that affected social adjustment through the path of living standard and their self-esteem. And that affected social adjustment through the path of self-esteem. The divorce of the parents exerted a firsthand influence on social adjustment before the path variables weren't considered, but that no longer affected it when the path variables were taken into account. 본 연구는 이혼가정 여부가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청소년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이르는 경로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사회복지기관을 이용하는 이혼가정의 청소년 자녀 20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변수가 투입되기 전의 이혼가정 여부는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혼가정 여부는 다양한 경로변수인 가정의 경제적 수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혼가정이라는 가족구조 자체가 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수준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존중감을 경로로 하여, 또는 경제적 수준과 자아존중감을 경로로 하여 간접적으로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이혼가정 여부는 자아존중감을 거치는 경로로도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변수가 투입되기 전 이혼가정 여부가 청소년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경로변수들이 투입되었을 때에는 그 영향력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