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두류의 침지 및 cooking 시간 단축을 위한 감마선의 이용

        남상명,김조운,변명우,권중호 한국농화학회 1992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5 No.4

        가공조리에 앞서 수화, cooking 특성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한 두류의 물리적성질을 개선할 목적으로 감마선을 이용하였다. 시료는 검정콩을 대상으로 Co-60 감마선을 2.5∼20 kGy까지 조사한 후 실온에서 저장하면서 수분 흡수 및 cooking 특성을 시험하였다. 수분흡수양상은 침지온도와 조사선량 증가로 수분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감소되었으며, 20 ℃ 수침시 2.5∼10 kGy의 조사군은 비조사군에 비해 1∼3시간의 침지시간 단축과 10∼20%의 수화능력 증가효과를 가져왔다. 수분흡수 속도상수는 침지온도와 조사선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활성화 에너지값과 Z값은 비조사군에 비해 조사군이 낮은 값을 보였다. Cooking 속도에 있어서 조리 완료시간은 조사선량의 증가와 더불어 비조사군에 비해 30∼60% 정도 단축되었으며 조리속도 상수에 있어서도 조사군이 더 높은 값을 보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검정콩의 침지 및 cooking시간 단축은 조사후 실온에서 1년간 저장된 시료에서도 그 효과가 뚜렷하였다.

      • KCI등재

        중국 고령친화형 HMR 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요구도

        남상명,홍완수,Nam, Sang-Myung,Hong, Wan-Soo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1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6 No.5

        This study analyzed consumer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elderly-friendly HMR products in China. In developing the products, items needed to be improved, types and packages of the necessary products, additional improvements and food preferenc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Chinese consumers, these was analyzed as well.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70 elderly people,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program. Items related to product quality safety, such as "marks of origin by ingredient", "rich nutrients", "expansion of letter size of packaging", "rich nutrients" and "clear manufacturing date and expiration date", were required to develop HMR products. The types of products that should be developed were porridge and noodles, and the packaging types that should be developed were eco-friendly packaging and recycled packaging. In addition, "low-calorie HMR", "development of various seasonings", "use of eco-friendly food ingredients" and "HMR to digest easily" should be improved. The demand for product improvement and food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oral health. The results were intended to prepare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when developing elderly-friendly HMR.

      • KCI등재후보

        4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지표가 혈중지질수준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남상명,서영주,박혜숙,장문희,서주희,김병미,하은희 대한비만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7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고지혈증과 비만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비만 지표 중 체질량지수(BMI)와 체지방량(%)을 사 용한 결과를 비교하여 한국인에게 적합한 비만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서울지역 E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수진한 40세 이상의 남녀 중 연구에 동의 한 1121명(남자 420명, 여자 701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를 비만기준으로 한 경우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비만을 동반한 군보다 비만을 동 반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량(%)을 비만기준으로 한 경우, 비만을 동반한 고지혈증군에 서 복부비만과 상체비만이 주로 나타났으며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한 비만 고지혈증군에 비해 2배 가까이 높게 분류되었다.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고지혈증군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동맥경화지수(AI),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고지혈증군에 비해 비만을 동반한 고지혈증 군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보정교차비는 두 기준 모두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고지혈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동맥경화지수(AI),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총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비만 을 동반하지 않은 고지혈증군에 비해 비만을 동반한 고지혈증군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 복부비만이 고지혈증의 위 험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한국인의 고지혈증을 진단하는 비만지표로는 체지방량(%)을 이용하는 것이 비만특성을 잘 반영하며, 비만 은 고지혈증의 위험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임신 기간의 가사노동과 생활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남상명,하은희,서영주,김병미,서주희,유재홍,박혜숙,김영주,정최경희,임옥룡 한국모자보건학회 2007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1 No.1

        Objectives: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house chores and stress during pregnancy in a pregnant women's cohort. Methods:We constructed a pregnant women's cohort between 2001 and 2006 and surveyed 5,192 women who visited the hospital during their 35th gestational week,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 finally obtained 3,467 women for our analysis.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e preform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ouse chores and perceived stress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The higher stress of pregnant women was associated with the lower educational level, lower income, ex-smoking habit, passiv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coffee intake, and more taking care of children in univariate the analyse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intensity of house chores was a significantly related factor of prenatal stress (n=359, OR=2.19, 95% CI:1.51~3.18). There was an increased risk of stress among women who work at home during pregnancy with strong house chores (n=273, ORs=2.35, 95% CI: 1.53, 3.61), comparing with those with weak house chores. In case of women who get a job, house chores were not asociated with the risk of stress (n=253, ORs=1.50, 95% CI: 0.73~3.07) and house chores after adjustment for the possible confounding factors such as maternal age, maternal education, paternal education, income, passive smoking, alcohol drinking, remedy, nutrient, vomit, bleeding, general condition, present illness. However, in further analysis, the risk of stress (ORs=4.09, 95% CI: 1.29~12.94)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women who have a job with strong house chores plus physical labor than for those with weak house chores plus physical labor. Conclusions:We found that house chor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prenatal stress in pregnant women. The physical labor of a pregnant woman such as a house chore need to be reduced to decrease the level of the stress of pregnant woman in a pregnancy period. To decrease the level of stress and the strength of the house chores, the social welfare system on paternity leave and childcare facilities, and sharing the house chores might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 행동특성과 초등학생의 식습관에 관한 연구

        남상명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8 No.6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ting habits of high(4th,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al behavior characteristics(affection, rational guidance, overprotect and neglect).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and demographic variables, eating habits and food frequency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In this investigation, the subjects were 396 boys and 337 girls in Chungu city in Korea, 50.1% of the mothers was in the age from 35 to 39 years and 57.8% of the mother had and occup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PSS PS packag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correlation among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the frequency, x�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Eating habit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but was not affected by the levels of mother's education and income. Parental behavior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ildren's snacks habits(p<0.05, p<0.01), but have no connection with dietary habits and the eating out. The survey revealed higher percentage of the children who had taken affectionate, reasonable and positively reinforced child care, answered they enjoy meals and the other groups answered they did not. Also frequency of having soup, green vegetables, fruits, dairy product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ffective, reasonable rearing attitude, but negative relationship with neglective rearing attitude. And the survey showed children were reared in overprotect had chocolate, candy and the lije in large quantities.

      • KCI등재

        고지방 식이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두충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남상명(Sang-Myung Nam),함승시(Seung-Shi Ham),오덕환(Deog-Hwan Oh),정명은(Myung-Eun Jung),강일준(Il-Jun Kang),정차권(Cha-Kwo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두충 에탄올 추출물이 생체내 지질대사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식이에 두충 추출물을 투여(CE)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HDL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동맥경화 지수 역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이 대조군(C)에 비해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HTR은 55%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CL)를 투여한 결과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으나 HDL과 HTR은 크게 감소되어 통계적 유의성(p<0.05)을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군(CL)의 동맥경화지수(AI)는 대조군(C)에 비해 3.6배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에 두충추출물(CLE)을 투여했을 때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수는 고지방식이군(CL)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식이군(CL)의 중성지방 함량과 인지질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두충 추출물 투여(CLE)로 중성지방은 CL군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으며(p<0.05) 인지질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지질대사에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인지질은 대조군보다 22%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CL) 투여시 간의 총지질, 콜레스테롤, HDL, 중성 지방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CL)에 의해 GST활성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나 catalase와 SOD활성은 대조군(C)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충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CE및 CLE군의 GST와 catalase활성은 각각 C와 CL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on extract on the serum and hepatic lipid statu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male Sprague Dawley (SD) rats were given high fat diets and Eucommia ulmoides olivon ethanol extracts for 6 weeks.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sisting the control (C), Eucommia ulmoides olivon extract fed group (CE), high fat diet group (CL) and the extract and high fat fed group (CLE). Eucommia ulmoides olivon ethanol extract lowered total cholesterol, but increased H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of the serum compared to the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HTR) was increased by 55% (p<0.05). High fat diet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cholesterol contents, but decreased HDL-cholesterol level and HTR (p<0.05). Atherogenic index (AI) of CL group was increased by almost four times of the control (p<0.05). Triglycerides (TG) and phospholipids were also increased by high fat diet. Eucommia ulmoides olivon ethanol extract decreased the levels of TG (p<0.05) and phospholipids (p<0.05). Although liver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cluding glutathione sulfur transferase (GST),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were decreased by high fat diet, those were stimulated by the administration of Eucommia ulmoides olivon ethanol extract.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흰쥐의 혈청 및 간지질 저하에 미치는 쑥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남상명(Sang-Myung Nam),함승시(Seung-Shi Ham),오덕환(Duk-Hwan Oh),강일준(Il-Jun Kang),이상영(Sang-Young Lee),정차권(Cha-Kwo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2

        쑥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식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산야채에 속한다. 특히 쑥은 감기, 복통, 소화효가, 지혈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한 쓴맛을 지니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쑥(Artemisia iwayomogi Kitamura)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고(50㎎/㎏ body Wt.) 실험식이는 6주 동안 SD계 rat에 공급하였으며 쑥 추출물의 간과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지방 식이군은 10%의 lard, 1%의 콜레스테롤 및 0.25%의 sodium cholate를 공급하였다. 쑥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며 25%의 중성지방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 및 쑥 추출물 투여군의 동맥경화지수와 HTR은 고지방식이군보다 다소 낮았으며 인지질 함량은 쑥 추출물 투여로 약간 증가하였다. 간에서의 총 지질 함량은 쑥 추출물 투여군이 정상식이군에 비해 40% 감소하였다. 또한 고지방식이 및 쑥 추출물 투여군의 총 지질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28% 감소되어 쑥 추출물이 간에서의 지질대사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 및 쑥 추출물 투여군에서 30% 증가되었다. 간의 저장성 지방인 중성 지방 함량은 쑥 추출물 투여군은 정상식이군에 비해 20% 감소되었으며, 고지방식이 및 쑥 추출물 투여군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중성지방 함량이 22% 감소되었다. 간의 인지질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쑥 추출물 투여군은 2배 이상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br/>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쑥 에탄올 추출물은 간과 혈청 중성지방 및 지질의 억제작용이 있어 고혈압, 비만 및 뇌졸증 등의 순환기질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Artemisia iwayomogi(A. iwayomogi) is a major edible vegetable in Korea. A. iwayomogi containing a strong bitter taste, particularly, is known to manifest an effect on cough, abdominal pain, indigestion and bleeding. In this experiment, ethanol extract of A. iwayomogi(50㎎/㎏ body weight) was fed to growing male Sprague-Dawley rats for four weeks in order to examine the lipid lowering effect of A. iwayomogi in the liver and serum. High fat diet included 10% lard,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he administration of A. iwayomogi extract decreased serum cholesterol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the same time, serum triglyceride(TG) was decreased to 25%. Although atherogenic index and HTR tended to decrease, phospholipid level in the serum was shown to increase by A. iwayomogi administration. At the same token, total liver lipids were decreased to 40%. The group fed both high fat and ethanol extract showed 28% decrease of liver lipids compared with the group fed only high fat diet. On the other hand, HDL cholesterol level of high fat and extract fed group was increased to 30% compared with the non-extract-fed control. Liver TG also was decreased to about 21% in the extract fed groups. Liver phospholipids, particularly, exceeded more than double of the level of high fat control.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A iwayomogi exert a strong hypocholesterolemic and hypolipidemic effect which may lead to the protection from hypertention, obesity, stroke and many other circulatory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