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불면의 침 치료 무작위 대조군 최신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 분석

        나지영,박장경,윤영진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22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35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effect of acupuncture for insomnia in climacteric syndrome. Methods: Researchers searched data through 5 online databases up to December 2021. The data was limited to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udies on patients diagnosed with insomnia in climacteric syndrome. Results: 8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6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Chinese, in China. 2 were published in English. Intervention of treatment group were composed of simple acupuncture. Intervention of control group were made up with Estazolam, Alprazolam, Lorazepam and sham-acupuncture. Outcome measurements were Total effective rat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Kupperman index, Menopause Quality of Life scales (Men-QoL), the level of hormones (E2, FSH, LH) etc. In all outcome measurements, treatment group were more effective than control group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Acupunture therapy is effective for treating insomnia in climacteric syndrom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is most frequently used for sleep assessment indicator. 神門 (HT7)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oint for treatment group. However because insomnia in climacteric syndrome is easy to recur, additional long-term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헤어샵의 서비스 스케이프가 관계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나지영,나명석 한국미용학회 2023 한국미용학회지 Vol.29 No.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 landscap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hair shop, to determine whether these components affect relationship continuance intention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hair shop services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ustomized servic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7.0 program with 541 questionnaires, and all empirical analyses were verifie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rvice landscape according to the usage status of hair shops, the main services received at hair sho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esthetics and newness, and scalp and hair care was the highest in both factors. When it comes to the reasons for choosing a hair shop, good atmosphere and facilities were higher for aesthetics and newness, and good technology was higher for convenience. The reason for using a hair shop was higher for stress relief than for aesthetics, indicating that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visit a shop with good facilities and a good atmosphere for scalp and hair health, personal relaxation, and stress relief than for simple hairstyling.

      • KCI등재
      • KCI등재

        A Corpus Analysis of the Preposition of in Korean College Matriculants’ Writing

        나지영,Yoo Isaiah Wonho 한국영어교육학회 2015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70 No.3

        This paper investigated the use of of,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preposition, in essays written by 416 matriculants at a Korean university. The learner corpus consisting of these essays contained 1,250 tokens of of, and these tokens were first analyz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i.e., integrative, separative, idiomatic, and others, adapted from Lindstromberg’s (2010) categorization of the functions of of. To ascertain what types of errors were made regarding of, the 46 tokens of of identified as errors were further categorized as addition, misordering, misformation, or wrong position. Of these four categories, addi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type of error (31 of the 46 tokens), while wrong preposition and misformation accounted for ten and three tokens, respectively. No tokens of misordering were found, however. Also noteworthy is the finding that, albeit occurring mostly in simple constructions and basic functions, of was used accurately in over 95% of all the tokens found in the learner corpus.

      • KCI등재

        영상 매체를 통한 ‘진짜-가짜 대결’ 밈(meme)의 전승 양상

        나지영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In this study, the prototypical structure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and its various transmission aspects are analyzed.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one of the most socially and culturally successful meme. In chapter 2, the prototypical structure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analyzed through the folktale <Did’t you know the penis of the mouse?>. Folktales have been stored in the brain for many years in a form that enables long-term memory as they have been passed from mouth to mouth. Folktales, which are still carried through various media, are in themselves ‘successful’ memes. Therefore, folktales are the best data for revealing the true nature of cultural genes stored in people’s brains. The important feature that appears in the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people’s hidden desire on real’. And the fact that the real kicked out by the fake regains its position is a key feature in the prototypical structure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n chapter 3, various transmission aspects of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are analyzed focusing on visual media. Visual media is the ‘replication tool’ of a meme that is most effectively used in modern society. Text delivered through visual media such as TV can clearly show how cultural genes from folktales are preserved and passed down in modern culture. This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found in lots of various media text such as the movie <Masquerade>(2012), and the TV show <Hidden Singer>. As a result, the ‘real vs. fake confrontation’ meme is able to confirm that the fake i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structure where the real and the fake coexist together, and the fake is gradually regenerated as a new real.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수많은 밈(meme, 문화적 유전자) 가운데가장 성공적이라 할 수 있는 ‘진짜-가짜 대결’ 밈에 주목하여, 그 원형적 구조를 밝히고 다양한 전승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민담 <쥐 좆도 모른다>를 분석하여 ‘진짜-가짜 대결’ 밈의 원형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밈일수록 충실도가 뛰어난 ‘장기기억’을 만들어내는데, 현재까지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승되고 있는 민담은 그 자체로 ‘성공적인’ 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민담은 사람들의 뇌 속에 저장되어 있는 밈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최적의 자료가 된다. 분석 결과, ‘진짜-가짜 대결’ 밈에서 나타나는중요한 특징은 ‘자신들이 원하는 모습을 보여준 가짜를 진짜로 믿는 주변 사람들의숨겨진 소망 내지 욕망’이었다. 또한 가짜에 의해 쫓겨난 진짜가 자신의 자리를 되찾는 것이 ‘진짜-가짜 대결’ 밈의 원형적 구조에 나타나는 핵심적 특징이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영상매체를 통해 전승되는 ‘진짜-가짜 대결’ 밈의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영상 매체’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밈의‘복제 도구’이다. 오늘날 가장 효과적인 밈의 전달 수단인 영상 매체를 통해 보존되고 있는 밈은 높은 생존가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그만큼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미칠 수 있는 ‘강력한 심리적 매력’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 매체를 통해 전파되는 다양한 텍스트 가운데서도 한국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와 TV 프로그램 <히든싱어>에 주목하여 ‘진짜-가짜 대결’ 밈의 전승 양상을 살펴보았다. 민담 <쥐 좆도 모른다>에서 확인된 ‘진짜-가짜 대결’ 밈은 진짜가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큰 축으로 하였으나, 영화 <광해>에서 발견되는 ‘진짜-가짜 대결’ 밈은진짜 보다도 더욱 성장한 가짜가 ‘새로운 진짜’가 되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히든싱어>에는 ‘진짜-가짜 대결’ 밈의 다양한 양상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그것은 진짜가수가 우승하기를 바라는 소망과 가짜 가수가 새로운 우승자로 태어나기를 바라는소망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진짜가 자신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도 하고, 가짜가 새로운 진짜로 거듭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진짜-가짜 대결’ 밈은 진짜가 자신의 자리를 되찾아 가는 원형적 구조에서 점차나아가 가짜가 새로운 진짜로 거듭나며, 진짜와 가짜가 함께 상생하는 구조로까지변이되어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가 비대면 서비스의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만족, 자기 효능감 매개변수와 연령 조절변수 중심으로-

        나지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5

        The demand for non-contact service has increased a lo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generalization of social distancing to prevent COVID-19 spread during the pandemic. This study analyzed mediator and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non-contact service were identified. The result showed that digital literac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non-contact service. In particula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non-contact service.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base of non-contact service by verifying whethe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played important mediator variables in the 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non-contact service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시국으로 인한 감염 방지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반화되면서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가 크게 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비대면 서비스 지속사용의도 간의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는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 효능감과 만족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지속사용의도의 사이에 매개역할을 했다. 본 연구에서는 만족과 자기효능감이 디지털 리터러시와 비대면 서비스 지속사용의도 사이의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비대면 서비스 저변 확대에 기여하는 데 있다.

      • KCI등재후보

        민담 속 ‘젊은 과부’ 캐릭터의‘존재적 속성’과 서사적 의미

        나지영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4

        이 글에서는 ‘젊은 과부’가 등장하는 다양한 민담들을 검토하면서 젊은 과부 캐릭터가 지니는 ‘존재적 속성’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젊은 과부 캐릭터의 서사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먼저 2절에서는 젊은 과부의 존재적 속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시아버지-과부 며느리’ 관계 중심의 <며느리의 모함과 회초리>, <며느리의 오해와 도둑의 증언>, <며느리의 유혹과 모함> 등을 살펴보았다. 시아버지와의 관계가 중심이 되고 있는 이야기에서는 특히 사회 규범의 강력한 영향력과 억압된 욕망의 갈등이 첨예하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절에서 논의 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으로 자신의 억압된 욕망을 표출한 과부 며느리들은 시아버지의 도덕적 완결성 앞에서 무너지면서 사회적 비난과 처벌을 받게 되고, 오히려 자신의 욕망을 일절 표현하지 않았던 과부 며느리만이 ‘재가’에 성공한다는 것이다. 둘째, 민담 속 ‘젊은 과부’는 억압된 자신의 욕망을 스스로 꺼내 보였다가는 사회적 질타와 처벌을 면하기 어려운 존재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스스로는 자신의 욕망을 말할 수 없고 누군가가 먼저 자신의 감춰진 욕망이 드러날 수 있도록 움직여 주기를기다리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야기의 논리상 ‘젊은 과부’는 억압된 욕망을 감추지못하고 그대로 표출시켰다가는 오히려 자신이 진정 소망하는 것을 이룰 수 없다는아이러니를 간직한 캐릭터이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젊은 과부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존재적 속성이 어떠한 서사적 의미를 갖는지 보다 면밀히 살폈다. 이를 위해 ‘노총각-과부’ 관계 중심의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 가르쳐 준 과부>를 살펴보았다. 3절에서 논의 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젊은 과부’는 ‘젊음’과 ‘부(富)’로 상징되는 ‘수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지만 그 가능성을 먼저 실현시키려고 움직일 수는 없는 존재이다. 따라서 ‘젊은 과부’ 캐릭터가 주체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먼저 움직일 수 있는 자’ 와의 만남이 필연적이다. ‘스스로는 결핍을 채울 수 없지만 먼저 움직일 수 있는 자’ 와 ‘결핍을 채울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먼저 움직일 수는 없는 자’와의 만남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둘째,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 가르쳐 준 과부>에서 젊은 과부가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을 가르쳐주는 대목은 노총각이 과부를새로운 판에 ‘자발적으로’ 동참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젊은 과부는 노총각이 마련한 판을 끝까지 따라가 보면서 감춰져 있던 욕망을 작품 전면으로 서서히 드러낸다. 젊은 과부는 어떠한 수치심이나 거부감 없이 서서히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러자 억압되었던 욕망은 더 이상 감춰야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반드시 성취시켜야 할 소중한 소망이 되었다. 셋째, 사회적으로 금기시 되거나 규범에 어긋나는 개인의 욕망, 사회의 규범과 개인의 욕망이 갈등하고 충돌하는 지점에서 ‘목격자’의 등장은 개인의 억압된 욕망이 더욱 억압되고 좌절되느냐 또는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느냐의 기로에 놓이게 만든다. <노총각에게 장가가는 법 가르쳐 준 과부>에서 노총각과 젊은 과부의 성교 장면을 목격한 ‘옹기장수’ 는 감시자나 처벌자가 되지 않고, 동조자 내지 승인자가 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젊은 과부의 변화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istential attributes and narrative meaning of ‘young widow’ character in folktale. In chapter 2, <Daughter-in-law’s slander and a cane>, <Daughter-in-law’s misunderstanding and testimony>, <Daughter-in-law’s seduction and slander> are examined. Those folktales ar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in-law’ and ‘widowed daughter-in-law’. ‘Father-in-law’ character represents a ‘sound social norm’. The following are some findings. First, widowed daughter-in-law who expressed her oppressed desire eagerly always failed to get remarried. ‘Remarry’ is what widowed daughter-in-law’s truly wish for. Ironically, widowed daughter-in-law who didn’t expressed her oppressed desire at all only succeed in remarry. On the contrary, widowed daughter-in-law who expressed her oppressed desire eagerly had to be accused and punished by social morality. Second, ‘young widow’ character in folktale cannot show her desire by herself. She is a ‘unmovable being’ who has to wait someone to give her a chance to express her desire. If ‘young widow’ character shows her oppressed desire and tries to achieve it, she has to confront the severe moral standard, and ends up fail. In chapter 3, <A widow teaching how to get married> is examined. This folktale i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bachelor’ and ‘young widow’. The following are some findings. First, ‘young widow’ has lots of possibility and potential power which are shown as ‘wealth’ in the text. On the other hand, ‘old bachelor’ always describes as poor man. Even though ‘young widow’ has lots of possibility and potential power, she cannot try to achieve her desire by herself. In order to achieve her true goal, ‘young widow’ character needs to meet a ‘movable being’. ‘Old bachelor’ is the character who can move first and express one’s desire. When these two beings are met, fundamental lack of each character can be fulfilled. Second, the ‘process of teaching how to get married’ in <A widow teaching how to get married> is the process of ‘young widow’s change. Before she involved the process initiated by the old bachelor, she hid her desire and couldn't express it. She couldn't try to achieve her true desire. However, after slowly and carefully getting involved the process, she finally admitted her hidden desire, and tried to achieve it. Third, when the social norm and personal desire are collided, appearance of witness is the turning point. In <A widow teaching how to get married>, ‘a pottery dealer’ who witnessed the coitus between ‘young widow’ and ‘old bachelor’ became the ‘approver’ not the ‘surveillant’. If ‘a pottery dealer’ became the ‘surveillan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widow’ and ‘old bachelor’ would confront the severe social morality. However, in this folktake, appearance of witness helped the ‘young widow’ to achieve her oppressed desire. The main reason is that the change of ‘young widow’. When ‘young widow’ also can express her desire freely, and became the active agent of her own behavior, the witness can be the ‘approver’ easily.

      • KCI등재

        수학과 평가의 특성과 문항개발 - 고등학교 학업성취도평가를 중심으로 -

        나지영,정순영 한국수학교육학회 1998 수학교육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characteristic of the assessment of high school math and to introduce an algorithm for school teachers to perform the achievement tests for math in classrooms. Moreover, we introduce a system of objectives which will be appropriate for math in the situation of Korea and illustrate our approach via `96 High School Achievement Test held by Korea National Board of Educational Evaluation.

      • KCI등재

        문학치료학 기초서사 연역적 체계의 층위 문제와 확장 방향 연구

        나지영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5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blem of layering and expansion of the deductive system of the fundamental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damental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are examined.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fundamental epic is that it is the first passage that connects the client's epic wit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 fundamental epic is a concept that is not affected by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in text.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the fundamental epic i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the 'attribute required' in four realm. The premise that four realm of the fundamental epic are the basis of all epic is based on the fundamental epic concep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upplement the fundamental epic deductive system based on this premise. In chapter 3, two layers of the fundamental epic deductive system divided into existential and relational aspects are examined. Considering that the fundamental epic contains both the existential and relational aspects, the deductive system of the existing theory and the newly proposed system. are compared and explored. In chapter 4,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four existing fundamental epics and the newly proposed ‘sibling epic’, and ‘social epic’ are explored. This article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deductive system of the fundamental epic that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n recent year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entral point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fundamental epic deductive system. In order for the center point to be firmly establishe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accumulate the results of actual epic analysis. 이 글은 문학치료학 기초서사 연역적 체계의 층위 문제와 확장 방향을 연구한 것이다. 먼저 2절에서는 서사 차원의 개념으로서 기초서사가 갖는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기초서사의 첫 번째 특성은 내담자의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를 ‘서사’ 치원에서 연결하는 첫 번째 통로라는 것이다. 두 번째 특성은 기초서사는 텍스트 상의 관계 설정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세 번째 특성은 기초서사가 영역별로 ‘요구되는 속성’의 획득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네 가지 기초서사 영역이 모든 서사의 근간이라는 전제가 기초서사 개념을 구축한 밑바탕에 깔려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기초서사 연역적 체계를 확장하고 보완해 나가는 것이 우선은 필요하다. 3절에서는 기초서사 연역적 체계의 두 가지 층위를 존재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기초서사 안에 서사의 존재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다고 보면서, 기존에 마련되어 있던 기초서사의 연역적 체계와 새롭게 제안된 서사의 체계가 어느 지점에서 연계될 수 있는 지 탐색하였다. 4절에서는 기초서사 영역 확장의 문제를 살펴보면서, 기존의 네 가지 기초서사와 새롭게 제안된 형제서사, 사회서사와의 연계 지점을 탐색해 보았다. 이 글은 최근에 활발히 논의가 되고 있는 기초서사의 연역적 체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기초서사 연역적 체계를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에서의 구심점을 마련하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구심점이 튼튼하게 마련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실제적인 작품서사 분석과 자기서사 진단의 예시일 것이다. 작품서사와 자기서사를 분석한 결과가 많이 축적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동서양 공예이론 비교 : 아르누보운동과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을 중심으로

        나지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arison of the art & craft theory defined by the Art Nouveau movement and Mr. Yanagi Muneyoshi, japanese philosopher. The ultimat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basic arguments to define the development perspective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craft. Even though there are quite many papers on Mr. Yanagi's theory, a study based on the comparative approach trying to compare Mr. Yanagi's theory with others developed in the same period was rare.The art & craft theories by both, Art Nouveau mouvement and Mr. Yanagi, were based on the medieval gothic art. But the artists following Mr. Yanagi's theory didn't succeed to realize a wholly coherent system by the absence of the organic view of the world. Through this study, the diversification of discussions, for which the studies on historical aspects are indispensable, was stressed in searching for the development perspective of the contemporary Korean art & craft. 본 논문은 아르누보운동과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을 중심으로 19~20세기 초에 발전된 동서양의 공예론을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런 작업을 통해서 한국현대공예의 발전방향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적인 논의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그간 야나기 무네요시의 저작에 관해서는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으나, 본 논문에서와 같은 접근방법으로 분석된 예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야나기 무네요시의 시각을 좀 더 객관화함으로서 한국 공예의 모태에 대한 시각을 정립하기 위해 비교연구를 시도했다.아르누보 운동과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은 모두 중세고딕 예술을 준거로 하고 있다는 데에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들 양자는 유기적인 체계를 구축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내놓았다. 아르누보 계열의 작가들이 다양한 가능성을 추구해가는 과정에서 일관된 체계를 구축하기에 이른 반면,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에 바탕한 작가들은 전체적인 지향 부재, 개별적인 분야 천착으로 유기적인 체계를 구축해 내는데에 성공하지 못했다. 본 논문을 통해서 한국 현대공예의 발전방향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문제에 대한 탐색과 동시에 역사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논의의 다양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