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병입된 생수 상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과 정보요구에 대한 연구: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나종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 No.1

        As consumers’ concern for well-being increase, the sales of bottled water has been growing at a fast rate recently. At the same time, the question of whether consumers are making decisions about bottled water consumption on adequate and accurate information remains unanswered.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U.S. consumers’ knowledge and perception about bottled water in respect to information provided on bottled water labels.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s are making decisions when purchasing bottled water on less than adequate information

      • KCI등재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 활용 현황과 고도화 방안

        나종연,이진명,구혜경,김효정,남영운 한국소비자원 2024 消費者問題硏究 Vol.55 No.1

        빅데이터 활용 능력이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 항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정부·민간에서 소비자 관련 개선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나 현재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는 행정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며,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가치를 극대화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행정의 효율성과 성과 개선을 위해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는 고도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비자 공공 빅데이터의 유형과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에서 보유 및 관리하는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는 것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실태를 파악하였고, 문헌고찰, 실무자 심층면접, 브레인스토밍, 전문가 자문을 통해 빅데이터 활용 고도화를 위한 제안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토하였다. 소비자분야 공공 빅데이터를 보다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관련 정책을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내부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과 한국소비자원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체계화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기관의 DB를 상호 연계하기 위한 법적 근거 확립 및 표준화 가이드라인 마련도 필요하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빅데이터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데이터 생산자와 수요자 등 협력 가능한 이해관계자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소비자 빅데이터의 헤게모니를 가지고 실질적인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확고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소비자분야 맞춤형 데이터 어젠다를 구축하는 하향식 접근과 소비자 빅데이터 활용 협의체를 구축하는 상향식 접근을 병행하고, 데이터 기반 문화에 대한 리더십과 지원, 데이터 자산에 대한 가치 인정 및 기술 투자 등 데이터 활용 조직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bility to utilize big data is emerging as an important element to increase national competitiveness. Based on consumer big data analysis,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can improve consumer-related services. However, currently consumer big data is only meaningful as a statistical object and is not maximizing the actual value of the dat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big data use in the consumer sector and to propose advanced measures to increase the use of public big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policy and administration. The status of big data utilization was i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consumer big data and the status of public data held and manag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and expert consultation, we derived suggestions for advancing the use of big data and reviewed their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In order to advance consumer-related policies through the use of public big data in the consumer field, the data existing within the Fair Trade Commission must be integrated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in an analyzable form, and the database managed by the Consumer Agency must be systematized and its quality improved to increase usabilit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and prepare standardization guidelines to interconnect the databases of various organizations. In addition,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sumer big data, the Fair Trade Commission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must clearly define stakeholders who can cooperate, such as data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consumer field, and solidify their role as a practical control tower with the hegemony of consumer big data. Based on this, a top-down approach to establish a data agenda tailored to the consumer sector and a bottom-up approach to establish a consultative body for utilizing consumer big data must be taken in parallel.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pread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utilizes data, including leadership and support for a data-based cultur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data assets, and investment in technology.

      • 기업의 소비자교육 사례를 통해 살펴본 소비자교육에서의 기업의 역할

        나종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2 No.2

        As the emphasis on the corporate citizenship increases more attention is being drawn to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ir role in serving the society. This paper looks a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rporates in promoting consumer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consumer sovereignty in the market place,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effective consumer education contents and consumer eduacation programs is important, and as a citizen of the society, corporate can play important role in the due process as a partner with consumer, consumer groups and government. Various cases that illustrates the roles the corporate can play as a partner of consumer education are provided and their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스마트 캠퍼스 문헌고찰을 통한 프레임워크 개발 및주요 이슈 분석

        나종연,이진명,이화옥,조은빛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4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new paradigm in higher education is required. Accordingly, establishing a smart campu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universities worldwide. This study aims to discuss key issues and to provide useful academ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smart campus by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recent literatures on smart campus by four research perspectives; 1) learning/knowledge-centric approach, 2) technology-centric approach, 3) integrated approach, and 4) user-centric approach, then developed smart campus framework. Smart campus user criteria contained members of university as well as local community and business stockholders. Smart campus framework presented specific service areas each belongs to smart education, smart life and smart administration domains and motivating factors of using smart campus. Moreover, by considering key issues and problems rais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smart campus.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대학교육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스마트 캠퍼스 구축은 전 세계적으로 대학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캠퍼스 관련 문헌들을 고찰함으로써 주요 이슈들을 논의하고, 스마트 캠퍼스의 체계적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나아가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캠퍼스에 관한 국내외 최근 연구들을 1) 학습 및 지식 중심의 접근, 2) 기술 중심의 접근, 3) 통합적 접근, 4) 이용자 중심의 접근의 네 가지 연구 관점별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캠퍼스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스마트 캠퍼스 이용자 범주에는 직접적 이용자인 학내 구성원뿐만 아니라 간접적 이용자로서 지역사회 및 비즈니스 이해관계자까지 포함되었으며, 스마트 캠퍼스 프레임워크에는 스마트 교육, 스마트 생활, 스마트 행정의 세 영역에 포괄되는 세부 활동영역과 스마트 캠퍼스 동기 요인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기되는 주요 이슈와 문제점들을 고찰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스마트 캠퍼스 추진을 위해 요구되는 대응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 수립을 위한 소고

        나종연,배순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4

        광복 70주년,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점검하면서 통일에 대한 논의도 다시 확산되고 있다. 통일이 언 제,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질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통 일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해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정책에 있어서도 통일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지 못 할 경우 소비자안전, 거래, 교육, 정보, 피해구제 등 소비생활 전 영역에서 시장 및 사회적 불안정기간이 장기화 될 수 있고, 소비격차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은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의 통합적 개념 틀 도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그 결과 주요 내 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경제의 체제 및 규모, 시장의 발달단계 등 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남한과 북한 소비환경 및 소비자역량의 이질성을 고려해서 각각에게 맞는 소비자정책을 수 립하는 동시에, 남북한 소비자정책을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 정책 방향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둘째, 통일에 대 한 대비는 통일 이전 남북한 변화단계, 통일을 추진하고 통일을 수행하는 단계, 통일 이후 하나의 사회적 공동체 가 되는 통일의 완성 단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계별로 정책 목표를 수립하고, 달성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셋 째,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은 남한 소비자, 북한 소비자 및 북한 이탈주민은 물론 통일 한국의 소비자 등 다양한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각각의 수요자에 대한 정책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접근이 요구된다. 넷째, 단계와 수요자를 고려하되 보다 상위 차원의 소비자정책 지향점에 호응하는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의 수립이 요구된다.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a long time desire for Korea as a nation. While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n and how the unification between may take place, careful simulations and preparation for unifi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to minimize both economic and social cost of unification. Although the situation is not perfectly parallel, the case of German unification sheds some insight for Korea. Studies suggest that one of the most serious detriment of integration of two germanies was that people from East Germany were not prepared for their role as consumers, which implies that consumer policy is also a very important area that needs careful preparation for future unific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re are several important points to consider when planning consumer policy for unification. First, because the level of development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s different, the policy approach should differ accordingly. Second, consumer policy should be planned in steps that incorporates before, during and after of unification. Third, policy makers need to be aware that stakeholders of policy are different groups: South Korean consumers, North Korean consumers, defectors from North Korea and eventually consumers from unified Korea. Their different contexts and needs need to be considered. A composite framework for consumer policy planning for unification was suggested based on these arguments.

      • KCI등재후보

        소비자보호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융합 콘텐츠 이용

        나종연 한국정보법학회 2009 정보법학 Vol.13 No.2

        시장과 정보통신 기술 환경이 융합화되면서 소비자들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경험은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이익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기술의 발달을 법, 제도, 사회가 따라가지 못하는 사이에 소비자들의 주권이 충분한 수준으로 보호되지 못하는 공백이 생길 수도 있다는 점에서, 변화하는 환경에서 소비자들이 새롭게 경험하는 소비자 문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기술과 정책의 발전 방향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융합환경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융합환경에서의 디지털콘텐츠의 제공과 이용현황을 이해하고, 융합환경에서 소비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경험하는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통해 소비자보호를 위해 고려가 요구되는 쟁점들을 도출해 보았다. 디지털 융합 콘텐츠 이용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융합환경에서 융합되는 소비자의 역할에 주목해야 한다. 융합의 환경은 본질적으로 다차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융합콘텐츠의 소비에 있어서 소비자는 시청자, 콘텐츠이용자, 구매자, 가입자 등의 다양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규제기구 간에 유기적인 협조가 요구되고, 소비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규제의 틀을 넘어서는 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in IT and media services,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are offered to consumers. These new experiences provide consumers many new benefits but at the same time create new problems for them. If legal and societal regulations fall behind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onsumer rights and sovereignty may be undermined. In this respect, analyzing the impact of technology development from consumer protection perspective is useful in making sure that the technology development is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for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1) the concept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environment’, 2) the current status of convergent services provided and their usage by consumers, and 3) consumer protection issues that are raised as convergent environment develops. The major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as in convergent environment, the roles of consumer are converging, too. Consumers play the roles of viewer, user, consumer(purchaser) and subscriber at the same time when they use digital convergent content and thus a comprehensive approach is needed in provision of consumer protection in convergent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