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교육연구 학회지 논문의 분석과 종합: 1998-2007년

        나승일,김강호 한국직업교육학회 2008 職業 敎育 硏究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synthesiz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1998-2007). The 264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which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had published from 1998 to 2007. The coding system for analysis included the aspects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such as author, focused-institutes and populations, statistical techniques used, topics of vocational education, and key wor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e result of review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with the research before 1998, literature-based review papers had decreased while survey research tended to increase sharply. (2)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had expanded on more various focused-institutes and populations over the last 10 years. (3) In the survey research, more various and inferential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o explore the new information. (4) Research subjects for academic and practical recognition of vocational education had emphasized. (5) In comparison with the research before 1998, the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during the last 10 years showed a little growth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ractical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better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including making an effort to build vocational pedagogy as a discipline,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in doing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using various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data and explore new information, studying diverse areas and themes on vocational education, and editing the Journal as a specialized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직업교육학회가 창간호부터 1997년도 이전에 발행한 ‘직업교육연구’ 학회지 논문을 분석하고 종합한 선행연구(나승일, 1998)의 후속연구로, 1998년부터 2007년 사이에 발행된 직업교육연구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었다. 1998년에서 2007년 사이에 발행된 직업교육연구지에 게재된 논문은 총 264편이었다. 이러한 논문들은 연구진이 마련한 논문의 분석틀에 따라 발표자, 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분석, 연구주제 영역, 주제어를 코딩하여 분석항목별로 해당 논문의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의 연구유형이 1997년 이전과 비교하여 문헌연구는 감소한 반면 조사연구는 급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최근 10년 동안 직업교육연구 대상의 폭이 확대되었다. 셋째, 조사연구 논문의 자료 분석은 다양한 정보 탐색에 적합한 추리통계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많았다. 넷째, 직업교육의 학문적·실천적 재인식을 위한 연구주제가 강조되었다. 다섯째, 최근 10년 동안 직업교육연구 논문은 과거(1982-1997년)에 비해 연구의 양적·질적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교육학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한 노력, 다양한 연구방법의 활용, 자료 분석 및 새로운 정보 탐색을 위한 다양한 통계방법의 활용, 직업교육 탐구주제 영역의 다양화 및 학문중심의 전문학회지로서의 직업교육연구 편집을 위한 개선점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에 적합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방안

        나승일,김종우,김주이,김기용,박종훈,박미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004 職業 敎育 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for instruction in the five selected junior colle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proposed based on the most frequent ways and kinds of using ICT, the level of using ICT by professor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objectives in the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s. Second, six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relevant to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s were developed: presentation-based lecture instruction, presentation-based experiment·practice instruction, off-line discussion-based instruction, on-line discussion-based instruction, group production-based instruction, and personal production-based instruction models. Third, each model consisted of the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steps, the essential activities, and the use ways of ICT by the introduction, body, and summary of an instruction. Fourth, worksheets and exemplary lesson plans for application were developed.

      • KCI등재

        국가직업능력표준 실용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나승일,김주섭,김주일,정연앙,구자길,김강호,문세연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일-교육훈련-자격이 연계될 수 있도록 노동부의 국가직업능력표준을 국가차원에서 개발·운영·관리될 수 있는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고찰 및 내용분석,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 및 공청회를 실시하였다. 국가직업능력표준 제도화는 표준의 실용화를 제고할 수 있도록 관련용어 정의, 총괄기구, 표준개발 및 승인, 표준 활용에 관한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사항이 규정되도록 관계 법령을 정비하는 것이다. 표준 제도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이 관계 법령에 명시되도록 해야 한다. ① 표준 제도화를 위해 직업, 직업능력, 직무, 표준 등을 관련법에 정의해야 한다. ② 국가직업능력표준 관련 부처 및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국가직업능력표준 사업 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표준사업에 대한 자문과 심의를 담당할 수 있는 위원회를 구축한다. ③ 다양한 산업분야 단체가 표준개발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표준의 수준 설정을 통해 직종 내 수직적 경력개발을 촉진하며, 개발된 표준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현장적합성을 승인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④ 국가직업능력표준은 산업현장에서는 인력을 채용하고 관리하는 기준으로, 교육훈련에서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과목 및 교재를 개발하며 현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자격체계와는 표준의 자격화, 새로운 자격설계, 자격의 출제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기술자격법,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 산업인력공단법 등 관계 법령을 개정하거나 국가직업능력표준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가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추진과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stitutionalization that NOS(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 was developed, operated and managed for linking with work, training and qualifi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s, contents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and experts council and a public hearing were executed. The institutionalization is the legislation consolidation to regulate details related infra construction as follow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NOS. ① It should be defined occupation, occupational competency, job, standards and so forth on the related laws. ② A organization which take exclusive charge with and a council which consult and deliberate on NOS project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stakeholder and government organization. ③ It should be supported that various industrial parties including SHRDC are the main body for development of NOS, promoted vertical career development by occupation through establishing level of NOS, and established system that manage continually and approve practical application of NOS. ④ It should be supported that NOS is used as a criterion for recruiting and managing workforce, a criterion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raining, having qualification for itself, designing for new qualification, and a criterion for setting questions for a qualifying examination. To improve utilization of NOS, It need to be consolidated the related laws includ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and Workers'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t or to be enacted a special law on NOS.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action plan according to the stage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political proposal for effective actualization of action plan.

      • KCI등재후보

        ISD를 적용한 전문대학의 모듈식 교재개발 모형 연구

        나승일,이용환,이해선,김준영,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del of modular textbooks applied ISD in community colle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s. At first, the changing movement of community college, ISD theory,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he modular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Secondly, the survey was accomplished to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and professors on the textbooks. At la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conceptual model of modular textbooks applied ISD in community college was developed. This model with the survey results was actually applied to the textbook of civil engineering in andong science college. In the middle of this study, a panel of expert committee was held several times. 학습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다른 모듈과의 관계를 제시한다.학습목표 : 모듈의 학습목표를 관찰가능한 행위동사를 사용하여 제시한다.

      • KCI등재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나승일,정철영,구자억,박행모,장호순,김진구,마상진,조단비,문세연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이 연구는 교육혁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농촌지역 교육혁신 성공요소를 도출하고, 농촌의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추진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고찰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 성공요소는 마을공부방 운영 등 26개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농촌지역 교육혁신모형을 개발하여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농촌지역 유형별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의 비전은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실현으로 살고 싶은 농촌지역 구현" 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도시수준의 교육기회 제공, 농촌형 수월성 교육 추구, 지역 인적자원개발로 설정하였다. 농촌지역 유형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는 발전 농촌지역은 마을 공부방 운영 및 학습도우미 지원, 중간수준 농촌지역은 교육환경 개선, 장학금 지원 및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저개발 농촌지역은 기존 지원 유지, 적극적 학습 지원 및 교원의 근무여건 개선, 도농복합 농촌지역에서는 교통편의 제공, 학습기회 개선 및 학부모의 교육참여 유도 등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농촌지역 유형별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단계별 로드맵과 이를 적용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rive success factors and explore actions plan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of rural areas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experts council were executed. As a result, 26 success factors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of rural area were derived.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of rural area including goals and strategies to identify action plan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by types of rural areas. The vision of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was making the place pleasant to live in by doing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goals of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were to provide urban-leve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ursue rural-customized education for excellency and to develope local human resources.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core tasks corresponding to each rural area: additiona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village study-rooms and support for learning assistant system for highly-developed rural areas;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provision of scholarship and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middle-developed rural areas; maintenance of existing support, active learning-support and improvement of teachers' working conditions for lowly-developed rural areas; provision of traffic convenience, improvement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promotion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for urban-rural complex areas.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roadmap according to action plan divided by types of rural areas, and political proposal for effective actualization of that.

      • KCI등재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나승일,김기용,문세연,민상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persons concerned with five government ministries such a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mall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e hundred six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were invited in conferences and workshops, interviewed, and surveyed. These results were synthesized to develop model and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and were verified by the panels of expert committee. First, in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 some specific plans need to be re-established according to the launch of new administration. And, MOU should be performed, interaction among government ministries, education office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each ministry and school should be specialized their program. Second, the major needs were; to design for enhanc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is program; to differentiate each ministry's specialized domain for developing the customized human resources; to develop and perform the specialized program in each school; and to grant greater autonomy to each school. Third, thirty thre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were identified in management systems, specialized directions, and specialized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teachers, students, finances, equipments and instruments,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Forth, suggestions for realizing the these strategies were presente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eed to play a role as a mediator and supporter the institutions or persons who participate this program;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need to strengthe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all of member in each schools should be endeavor to gain expected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에 참여하는 5개 지원 부처(국방부, 농림수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청, 특허청)와 지원 대상 특성화고 106개교, 시도교육청 관계자를 대상으로 부처협의회, 워크숍,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활성화 모형 및 과제를 개발하고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검토받았다. 첫째,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에 대한 추진성과와 문제점 분석 결과, 체결한 MOU를 준수하고, 사업주체간 교류를 강화하며, 특성화 분야와 프로그램을 차별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운영 활성화를 위한 주된 요구사항으로는 사업운영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부처별로 특성화 분야별 인력양성을 강화하고, 단위학교에서는 차별화된 특성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것이 요구되었다. 이 외에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재정운영 등에 대한 자율성을 강화하고, 지원 부처와 시도교육청에서 교원, 산학협력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줄 것이 요구되었다. 셋째, 운영 활성화를 위하여 사업운영 체계, 특성화 방향, 특성화 교육영역(교육과정, 교원, 학생, 재정, 시설/기자재, 산학협력)의 활성화 영역별로 2~5개씩 총 33개 추진과제가 도출되었으며, 사업주체인 정부부처, 지원 대상 특성화고 및 시도교육청의 추진과제가 도출되었다. 넷째, 활성화 추진을 위한 제언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조정 및 행정적 지원 역할을 수행하고, 지원 부처에서는 효과적인 사업운영을 위한 체계를 마련하며, 시도교육청에서는 관련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지원 대상 특성화고에서는 모든 교직원이 합심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 교과목 연계형 학습공동체 구축 모형 개발

        나승일,이무영,김진실,이응구,임창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model for building the Learning Community in Linked Courses of Colle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steps. At first, the concept, characteristics, types, research trends of leaning community, especially learning community in linked courses and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model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to establish the conceptual model for building the Learning Community in Linked Courses of College . Secondly, the building model was actually applied on informationa & communication department in doowon technical college. Third, developed model for building the Learning Community in Linked Courses of College was verifi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and several panel of expert committee.

      • KCI등재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performance level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agricultural teachers on professional competencie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418 agricultural teachers by the cluster sampling drawn from the sampled 21 vocational agriculture high school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hich consisted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scale including 14 domains based on Performance-Based Teacher Education Modules.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scale consisted of 5-point Likert-type 132 items for them to rate the importance and also to indicate the present performance level.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e sample and 244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data clean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ample same as that of population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formula. Agricultural teachers perceived important on all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particularly more important on instructional planning, guidance, assisting students in improving their basic skills, professional role and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management than the others. The perceived present performance levels of agricultural teachers on most professional competencies were above average below high but program plann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school-community relations, and teaching adults were below average. Agricultural teachers had the high educational needs on the all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a different level of educational needs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gender, terminal educational level, teaching experience, path of entering teaching profession, and posi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시대변화에 따른 농업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수행수준과 그에 다른 교육요구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군집 표집에 의해 21개 농업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418명의 농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성과중심교사교육모듈(Performance-Based Teacher Education Modules)의 14개 영역, 총 132개 전문성에 대해 농업교사 입장에서의 중요성 인식 수준과 현재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수준을 5점 리커트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 분석에 비록 244부가 사용되었지만 일반적 특성이 전체 모집단과 유사하였고, 각 전문성에 대한 농업교사의 교육요구는 보리치(Borich)의 요구도 계산공식이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 14가지 전문성 영역 가운데, 우리나라 농업교사에게 중요한 전문성 영역은 수업/교수 계획, 생활지도, 기본능력 지도, 전문적 역할과 개발, 수업/교수 관리 영역 등이다. ② 농업교사들의 14가지 전문성 영역에 대한 실제 수행능력 수준은 대체로 높지 않은 보통 수준인데, 특히 프로그램 기획, 개발 및 평가,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성인교육 전문성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 수준이다. ③ 농업교사들은 14가지 전문성 영역 전체에 대해 높은 교육요구를 지니고 있다. ④ 농업교사들은 성별, 학력, 교직경력, 교직진입경로, 지위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전문성 영역별 교육요구 수준이 다르다.

      • KCI등재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나승일,정철영,김진모,안강현,김강호,전승환,민상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model for farmers. The education program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model's element, investigation of farmers' growth phase, analysis of farmers' needs. The result was as follows. ① The education program model was consist of model name, goals, target population, contents, method and other considerations(the number of persons, time, period. evaluation). ② The farmers' growth phase was divided by farming scale, farming years. According to analysis of farmer's needs, differentiation of contents was needed by farmers' characteristics. ③ The education program model was developed through concrete statement according to model's elements. Through expert committee, developed models were verified as a standard framework that help farmer educator to develop a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었다.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모델은 모델의 구성요소 도출, 작목별 농업인의 성장단계 및 교육영역 도출, 작목별 농업인의 교육요구 구명 등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내용분석, 조사연구, 전문가 인터뷰, 전문가 협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인 교육프로그램 모델의 구성요소는 모델 명칭, 교육목표,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방법, 고려사항(교육인원, 교육시기, 교육기간, 집체교육 합숙여부, 교육평가, 선호내용, 프로그램 운영시 참고사항) 등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교육대상 및 교육내용의 차별화를 위해 농업인의 성장단계를 20개 작목에 따라 영농규모 혹은 영농경력을 준거로 구분하였다. 또한, 작목별 농업인의 교육요구를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시기 및 기간, 교육인원, 합숙여부, 교육평가에 따라 구명하였다. 셋째, 농업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로서 작목별로 20개, 공통영역 4개를 개발하였다. 교육프로그램 모델에는 교육목표,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방법, 고려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진술함으로서 프로그램 개발자에게 일반적이고 표준화된 틀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