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麗末鮮初 중국 북방문화의 유입과 剝地粉青沙器 편년연구

        나상철 동악미술사학회 2023 東岳美術史學 Vol.- No.34

        분청사기에 관해서는 선학들의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박지분청은 면 상감기법으로부터고안 발전된 것이라는 견해와 조화기법과 박지기법이 중국 자주요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는 언급만이 있었다. 박지기법을 중국 척화기법과 비교해 본 결과 박지기법은 기법상 내몽고와 요녕지역의 장식기법과 유사하였다. 그리고, 문양의 소재와 표현양식은 요대, 금대, 서하 자기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200-300여 년이라는 사용 시간의 차이로 볼 때 박지분청은 요대, 금대, 서하 자기의 직접적 영향이 아닌 이들 자기문화의 영향이 남아있는 원대 자기와 그 연관성이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박지분청과 중국 북방계 자기의 연관성은 여말선초 시기 중국 북방지역과의 무역과 귀화인의유입에 따른 사회적 변화와 새로운 문물의 유입에 의한 영향으로 보았다. 이외에도, 박지분청이 상감분청과 기종과 문양을 공유하고 있어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주장하였다. 중국 元明 교체기 조선에는 많은 사회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박지분청사기는 도자사적 관점에서 이들 사회변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기이며 또 이러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할 수 있다. There have been lots of studies on Buncheong Ware, but there weren’t many studies 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Previous studies 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have just suggested that it was designed and advanced from Inlaid on Face, and both Incised and Sgraffito were linked with Cizhou-yao(磁州窯) of China. After comparing Sgraffito of China with that of Korea, Sgraffito, used in the 15th century of Joseon Dynasty, is similar to that in inner Mongolia(內蒙古) and in Liaoning province(遼寧省), and it is also found that both the materials of patterns and the expression have the similarity with the ware in Liao(遼), Jin(金), and Western Xia(西夏) of China. However, given the difference in usage time of 200 to 300 years, it can be said that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was not directly influenced by Liao(遼), Jin(金), and Western Xia(西夏). but influenced by the remaining Yuan Dynasty ceramics cultures. This relationship betwee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and the Northern Chinese ceramic was attributed to the trade with northern China and the influx of naturalized people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which led to the introduction of procelain and a series of social changes. It was argued that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and Inlaid Buncheong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due to the same pattern and model of them. There were many social changes in Joseon during the during the late Yuan and early Ming periods. In addition, Buncheong Ware with Sgraffito is an important porcelain that can give a glimpse of these social changes from a ceramic history perspective, so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is respect.

      • KCI등재

        Visible‐light‐mediated synthesis of 3‐arylsulfonylated thioflavones using an in situ activation strategy

        나상철,이안나 대한화학회 202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4 No.11

        We have developed a visible‐light‐mediated synthesis of 3‐arylsulfonylated thioflavones using an in situ‐activation strategy. The reaction proceeds through a one‐pot, three‐component pathway, without the need for sensitive or harsh reaction conditions. Organic photocatalysts were employed to generate aryl radicals more efficiently from aryl diazonium salts generated in situ. This method enables the synthesis of 3‐arylsulfonylated thioflavones from aryl amines and methylthiolated alkynones, utilizing potassium metabisulfite as an inexpensive source of sulfur dioxide. The resulting products were obtained under mild reaction conditions. This approach provides an efficient alternative pathway for synthesizing thioflavone derivatives, which are prevalent among various bioactive compounds.

      • KCI등재

        高麗時代 중원지역 寺院 출토 茶器와 茶 文化

        나상철 호서고고학회 2024 호서고고학 Vol.- No.59

        중원지역은 현재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하고 남한강 주변의 일부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그리고 중원지역의 중심에는 이 지역을 하나로 묶어주는 남한강이 흐르고 있다. 특히, 고려 시대에 남한강은 교통로와 조운로로써 중요한 기능을 하였 다. 따라서 남한강 유역과 그 주변 지역에는 많은 사원이 자리하고 있었다. 이들 사원은 종교적 기능뿐만 아니라 정치적, 공공적, 오락적 기능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차 문화는 사원이 이러한 여러 가지 기능과 역할을 할 때 자연스럽게 함께 향유 되었다. 중원지역의 차 문화는 남한강이라는 교통로와 고려 왕실 과의 연관성으로 인해 다른 지역보다 차 문화의 수용과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당나라의 자다법이 사용되었으나, 고려 중기 이후에는 송나라의 점다법이 애용되면서 차 문화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차 문화의 변천은 중원지역 사원 에서 출토된 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원지역 사원에서 출토 되는 다구로는 청자잔, 청자주자, 청자잔탁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중국 자기제 다구도 다수 발견된다. 특히, 건요계 흑유완의 출토는 중원지역에서 점다법이 애용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이다. 이러한 중원지역 차 문화의 발전과 변화는 남한강이라는 교통로를 통해 중국의 문화가 신속히 유입되고 고려 왕실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결과로 여겨진다. The Jungwon region currently centers around Chungcheongbuk-do, and includes parts of Gyeonggi-do and Gangwon-do around the Namhan River. At the heart of the Jungwon region is the Namhan River, which unites the area. Particularl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Namhan River served as a major transportation and shipping route. Many temples were situated along the river and in its vicinity, which played various roles including religious, political, public, and recreational functions. As these temples performed these diverse roles, the tea culture in the Jungwon region naturally flourished alongside. However, the tea culture in the Jungwon region evolved more rapidly compared to other areas, due to its connection with the Namhan River as a transportation route and it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court. Initially, the Tang Dynasty’s “zha” tea preparation method was used, but from the mid-Goryeo period, the Song Dynasty’s “dian” tea preparation method was adopted, marking a significant shift in tea culture. This transition in tea culture can be confirmed through ceramics excavated from temples in the Jungwon region. The tea utensils founded in this region include celadon cups, celadon teapots, and celadon tea dishes, as well as numerous Chinese-made ceramics. Notably, the discovery of black-glazed bowls from the Jian kilns provides important evidence of the prevalence of the "dian" tea preparation method in the Jungwon region.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ea culture in the Jungwon region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swift influx of Chinese culture through the Namhan River and it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court.

      • KCI등재

        청주 思惱寺址 출토 석제 茶磨와 高麗時代 茶 文化

        나상철,서지민 불교미술사학회 2024 불교미술사학 Vol.38 No.-

        청주 사뇌사지에서는 많고 다양한 불교 공예품과 생활 용구가 출토되었다. 사뇌사지 유구는 전쟁과 같은 긴급상황에서 조성한 매납유구로 판단되며 조성연대의 하한을 1256년으로 상정하였다. 사뇌사지에서 출토된 맷돌은 차 맷돌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한국 차 맷돌은 두 가지 양식으로 나누었다. Ⅰ양식은 중국 다마와 유사하여 Ⅱ양식보다 선행한 고식의 양식으로 추정하였고, Ⅱ양식에서 보이는 반구형의 상부석, 가구의 다리를 표현한 하부석, 3개 다리로 제작된 하부석 바닥 등은 고려의 독창적 양식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차 맷돌의 존재를 통해 늦어도 1256년 고려 시대에는 점다법을 사용한 차 문화를 향유했음을 알 수 있다. 또 사뇌사지에서 출토된 다구는 고려 시대 사원의 여러 가지 기능 중 다점의 역할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물질 자료라 할 수 있다. At the Saneosa Temple Site in Cheongju, numerous and diverse Buddhist artifacts and everyday tools have been unearthed. The site is considered to be a burial site created in emergency situations, like during the war. And the construction is estimated to be no later than 1256. The millstone excavated from Saneosa have been identified as a tea millstone. There are types of tea millstones in Korea. The type I style is similar to Chinese tea millstone and is considered an earlier and more traditional style than type II. Type II is regarded as a unique style of Goryeo with the hemispherical upper stone, lower stone resembling furniture legs, and the base of the lower stone with three legs. The presence of such tea millstones indicates that by at least 1256 during the Goryeo period, tea culture using the grinding method was enjoyed. Furthermore, the tea utensils excavated from the Saneosa Temple Site serve as material evidence directly demonstrating the role of tea points among the various functions of Goryeo period temples.

      • KCI등재후보

        6·25전쟁기 UN군 의무후송 헬리콥터 활동 연구

        나상철 조선대학교 군사학연구소 2022 군사발전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6·25전쟁기 미군이 새로운 전력화 자산으로 헬리콥터를 도입하는 과정과 그것 이 전장에서 운용된 양상을 의료 목적용 항공후송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그 군사 사적 의미 도출을 시도한 것이다. 미군은 한반도의 산악과 열악한 교통 인프라로 전쟁 수행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특히 전선에서 발생한 부상자를 적시에 후송할 수 없는 위협에 직면하였다. 이에 미군은 지형 마 찰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헬리콥터를 도입하였다. 당시 회전익 항공기의 기계적 발전은 초기 단계였으며 육군은 공군이 분리된 이후 소수의 기체만 보유했으므로 사 상자 후송을 위해 해상구조가 임무인 타군 헬리콥터의 지원을 받았다. 이후 육군은 회전익 항공기의 의료적 가치를 이해하고 자체적인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 비록 기체 수가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헬리콥터로 구성된 부대를 창설하여 발전시켜 나갔다. 당시 헬리콥터 자체 성능은 초기 단계의 것임을 감안 하여도 전장에서 원활히 기동성을 발휘하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통신장비나 조명장치가 열악하거나 배터리 출력이 부족 한 문제 그리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충분히 방호 받지 못하는 엔진의 내구성 문제 등이 있었고 또한 기 계획된 전력화 자산이 아닌 만큼 수리 부속도 항시 부족할 따름이었다. 그러나 조종사와 구조팀은 심대히 비행이 제한되는 환경이 아닌 한, 때로는 적의 대공 사격 위협도 돌파하며 부상자를 후송하기 위한 비행을 기꺼이 수행하였고 이들의 헌신으로 후송된 부상자의 사망률은 급감하여 제2차 세계대전의 절반 수준을 달성하였다. 이것은 헬리콥터의 물리적 전력을 초월하는 정신적 가치였으며 이들이 결합 된 한반도 전장은 다음 세대의 군사의료혁신을 추동하는 반석이 되었다.

      • KCI등재

        Different Set Processes for Bipolar Resistance Switching in a Ta/TaOx/Pt Thin Film

        나상철,Min Chul Chun,김재준,강보수 한국물리학회 2014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5 No.7

        We observed two different set processes, gradual and avalanche, for the resistance switching (RS)of a Ta/TaOx/Pt thin-film device. The gradual and the avalanche set processes could be controlledby adjusting the external reset voltage. From the current-voltage curves and the effectivethickness of the insulator layer, we demonstrated that the resistance states leading to gradual andavalanche set processes were dominated by interface-limited and bulk-limited conduction mechanisms,respectively. A possible model with different effective insulator thicknesses is proposed basedon conducting channel formation due to oxygen vacancies.

      • KCI등재

        한국전쟁기 공산군의 유엔군 포로 관리와 성격

        나상철 육군군사연구소 2019 군사연구 Vol.- No.148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nagement of the UN POWs of the Communist Army during the Korean War from the military histor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US POWs. The North Korean army had not established a prisoner policy until just before the invasion. Therefore, many Korean soldiers and Smith Special Forces, who were prisoners of war in battle with the North Korean army, were killed or forced to march to the last part of the North Korean army, the Yalu River, which is the rear of North Korea army. In the process, many of the prisoners died due to lack of nutrition and physical strength. This situation continued even after March 1951, w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prisoner management was transferred to the Chinese army involved in the war. The confusion of the North Korean prisoners' policy continued until the last moment of the repatriation of prisoners under the armistice agreement. Before historical-reconstructing the management of the prisoners of the Communist Army, Chapter II of this paper diagnoses the reliability of the prisoners announced by the Communist Army. In this chapter, we will confirm that the North Korean military has accepted the international Red Cross agreement very selectively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prisoners is reduced and concealed. Chapter III reconstructs the reality of prisoner camps. The main contents are march, daily life, interrogation and propaganda, and Indoctrination(political learning). We’ll see how they created collective memory, which is represented by death, for prisoners. In the last chapter, Chapter IV, I intend to make the above-mentioned things conceptualized and visualized to indirectly experience the prisoner camp and improve understanding of it. 본 연구는 軍事史적 관점에서 한국전쟁기 공산군의 유엔군 포로 관리에 대해 미군 포로를 중심으로 하여 고찰 한 것이다. 북한군은 남침을 개시하기 직전까지 포로 정책을 수립하지 못한 상태였다. 때문에 국군과 스미스 특수부대는 북한군과의 조우로 전쟁포로가 되어 다수가 사살되거나 북한군의 최후방인 압록강을 향한 가혹한 행군을 감수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포로들은 영양 부족과 체력 저하로 인해 다수가 사망하였다. 이것은 중공군 개입 후 1951년 3월경 포로 관리 책임이 중공군으로 이전된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포로 송환의 순간에 이르기까지 단지 정전협정의 기조에 따라 처우의 개선과 퇴보는 반복되었다. 공산군의 포로 관리를 재구성하기에 앞서, 본고의 Ⅱ장에서는 공산 측이 발표한 포로 현황의 신뢰성 여부를 진단한다. 이 장에서는 북한군이 국제적십자협정을 매우 선택적으로 수용하였고, 그 결과 포로의 수가 감소, 은폐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Ⅲ장과 Ⅳ에서는 포로수용소의 실상을 재구성한다. 주요내용은 행군, 일상생활, 심문과 선전, 정치학습으로 각각이 어떻게 포로들에게 ‘죽음’으로 대변되는 집단기억을 야기 시켰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장인 Ⅴ장에서는 본문을 정리하고 공산군의 포로 관리와 포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