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농업생산과 먹거리보장의 가능성

        김흥주(Hung-Ju kim),이승호(Seungho Lee)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7 기후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to analyze the macrotrend of North Korea’s food supply and demand; to confirm the food security situation in North Korea in various respects; and to seek the sustainable ways of agricultural production as a prerequisite for food security in North Korea. In particular, analyzing North Korea’s weather observation data, which has hardly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we investigated how North Korea’s agriculture had been affected by various natural disasters (flood, drought, soil loss etc.) caused by unusual weather. The results show the fact that the agricultural security systems of North Korea is vulnerable to both drought and flood due to extreme precipitation chang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negative impacts on North Korea’s agricultural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North Korea’s agri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dissolution of collectivization), increase the amount of agricultural materials, enhance soil fertility and develop agricultural machines. Most of all, this research reveals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points for food security in North Korea, it needs the systematic strategi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 KCI등재

        친환경 무상급식 정책만족도 특성과 영향요인 분석

        김흥주(Hung Ju Kim),미마 니시야마(Nishiyama Mima),정혜경(Hye Kyeong Chung) 한국농촌사회학회 2015 農村社會 Vol.25 No.1

        이 연구는 친환경 무상급식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태도, 지지, 평가와 이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무상급식 논란이 가중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 수준은 어떠한가? 정책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배경이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복지태도나 정치성향, 정책수혜여부는 정책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무상급식을 지지하는 집단과 반대하는 집단의 성격은 어떠한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들을 풀어가기 위해, 2015년 3월 전국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남녀 1,352명에 관한 면접 조사결과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무상급식 정책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32.2%로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 25.5%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 무상급식을 지지하지 않은 집단은 대체로 연령이 많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소득이 낮은 계층이었다. 셋째, 전체 국민의 2/3 정도가 어떤 방식으로든 보편주의 무상급식을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그 방식에 있어서 전면적 실시보다는 단계적 실시를 선호하였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도 정치성향이나 가치지향에 따른 정책만족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적 수혜 집단과 무상급식 이슈를 구체적으로 인지하는 집단에서 정책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여섯째, 정책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는 경제적 수혜집단이었으며, 다음으로 복지태도, 정치성향, 정책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 순서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 친환경 무상급식의 확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잠재적 수혜 계층인 20대 학생이나 미혼 집단에게 정책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었다. 또한 무상급식과 같은 보편적 복지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진보적 정치성향과 가치지향을 사회 전체적으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보수적 권력정치에 맞서는 의미에서 진보적 생활정치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ublic understanding, attitude, support and evaluation in relation to pro-environmental and free school meals as well as factors to influence all those matters. At this time when controversies over the free school meals are only growing, how are levels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in connection with the policy? How much is policy satisfaction subject to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nd socioeconomic position? How do welfare attitude, political tendency and political benefit-receiving affect policy satisfaction? What characteristics do separate a group to support the free school meals from the other group to oppose the meals? In order to work on those inquirie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a total of 1,300 male and female adults at age of 19 and older residing anywhere in South Korea as of March of 2015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interview samples.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32.2% of the responses turned out to be content with the pro-environmental and free school meals policy, and the figure was higher than this 25.5% that was not satisfied with the policy. Second, the group that did not approve the pro-environmental and free school meals was reported to be older in age, to have lower levels of education and to be included in these classes of low incomes. Third, the study confirmed that approximately 2/3 of the entire public had an opinion on how universal free school meals should be carried out by any means. However, in terms of how to perform the meals, the people preferred a stepwise method to an overall one. Fourth, the study observed that greater differences in policy satisfaction were made by either political tendency or value orientation than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 socioeconomic position. Fifth, the economic benefit-receiving group as well as the other group that had detailed understanding on the free school meals issue came up with a higher level of policy satisfaction. Sixth, as for a variable of the most critical effect on policy satisfaction, it appeared to be the economic benefit-receiving group which was followed by welfare attitude, political tendency and the policy-relevant interest and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uggested that in order to expand the pro-environmental and free school meals, most of all, either these students in their twenties or an unmarried group that are potential benefit-receiving classes should be encouraged to know the necessity and effects of the policy. In addition, the study also argued that both of progressive political tendency and value orientation need to spread across the society for promotion of any universal welfare such as free school meals.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now believes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universal welfare, activation of progressive life politics to fight against conservative power politics must be secured.

      • KCI등재후보

        먹거리 대안체계와 공공급식

        김흥주(kim Hung 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급식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면서, 새롭게 설계될 공공급식의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공공급식을 통한 대안체계의 구축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공공급식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유럽의 여러도시 사례들처럼 대안적이지도, 창조적이지도, 혁신적이지도 않았다. 무엇보다도 공공과 지역, 그리고 균형 잡힌 영양 관점이 배태되어 있지 않았으며, 겨우 빈곤층에게 한 끼 식사를 제공하는 구호 차원에 머무르고 있었다. 이 때문에 공공급식을 통해 먹거리 대안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제도적으로, 실천적으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였다. 첫째, 정책적으로 공공급식을 통해 사회통합을 이루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지금처럼 시혜나 자선차원의 선별적 식품 제공(food charity)이 아니라 보편인권을 보장하는 먹거리 제공(food security)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실천적 차원에서 공공급식의 필요성과 제도화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공공급식은 지속가능한 먹거리 대안체계를 만들어내는데 최적의 정책 수단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조금만 노력하면 합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셋째, 공공조달의 제도적 강제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차원의 식재료 조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급식이 소모적 차원의 복지가 아니라 이를 통해 지역사회를 재구조화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인식이 필요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public plate in Seoul, and propose the principles and criteria of the public plate to be newly designed. In particular, it intend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an alternative food system through public plate.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public plate program in Seoul, compared to other cases in European cities, it was neither alternative, nor creative, nor innovative. Above all, the program failed to include the publicness and locality, and balanced nutrition aspects. It just reached the point of providing one meal to the poor in the character of charity. In this sense, to establish an alternative food system through public plate,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approach in terms of policy, system, and practice. First, in terms of policy, it is needed to actively find a plan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public plat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turn the current selective food charity in the dimension of dispensation into the food system to guarantee universal human rights. Secondly, in terms of practice, it is first required to achieve public consensus on the necessity and systemization of public plate. Since public plate is one of the best policy means to make a sustainable alternative food system, a little more effort can lead into social consensus. Thir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food material procurement system through the institutional compulsion of public procurement. To do that, it is important for local residents to recognize public plate as a way of restructuring their local community, not as a sort of consuming welfare.

      • KCI등재

        사회양극화 시대, 농촌의 가족문제와 정책방향

        김흥주(Kim Hung-Ju)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1

          이 논문은 사회양극화 때문에 점차 심화되고 있는 농민의 가족문제 실태와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논의 결과 다음 네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우리 농가는 산업화라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일시에 해체된 것이 아니라, 국가와 자본의 농업지배 과정에서 ‘생산체계의 붕괴, 농가경제의 궁핍, 소유자원을 총 동원하는 생계유지 전략, 가족 재생산체계의 약화’ 순으로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둘째, 생산체계가 붕괴되어 농가 빈곤이 심화되고 있으며, 인구고령화 때문에 사회부양력이 약화되고 있다. 셋째, 농민의 가족문제는 농가의 가구구성과 관계의 해체, 여성의 과중한 농업노동과 부앙부담, 자녀의 불균형 사회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넷째, 농가는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으며, 정부 대책도 계획 차원에 머무르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노인, 여성,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별 복지접근과 더불어 농가를 단위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농촌형 복지체제의 구상이 시급하다.   The paper aims to analyse family problems of peasant households which are getting worse by the influences of social polarization Findings of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apse of peasant households in Korea was not abrupt resulting from external sudden impacts of industrialization, but gradual, getting through each one of the following consecutive phases at a time : the collapse of production system, impoverishment of peasant households, subsistence strategies exhausting all kinds of owned resources, and finally the weakening of family reproduction system Secondly, the poverty of peasant households are getting severe as a result of the collapse of production system, while at the same time the capacities of social support being undermined by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aged people. Thirdly, the fraying of household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the excessive amounts of agricultural labor and care work imposed on women, and the unbalanced socialization of children can be characterized as the core ingredients of the family problems of the peasant in Korea. Fourth, peasant households have not been focused upon by any welfare policies, neither been given adequate attentions from the government except but superficial plans. Therefore, badly needed is a peasant-oriented welfare system in which not only fine-tuned welfare programs targeted respectively for the aged, women, and the youth(each having its own problems) but also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household-based welfare services can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친환경농업 생산조직과 생산자의 특성 및 대안 가능성

        김흥주(Kim Hung-J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社會科學硏究 Vol.24 No.1

        이 연구는 최근 강화되고 있는 농업의 세계화와 글로벌 푸드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농산물체계(alternative agro-food system)의 가능성을 국내 유일의 생산자 생활협동조합인 ‘풀무생활협동조합’의 조직특성과 생산자 성격을 분석하면서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우리는 다음 세 가지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생산자가 개별화되어 있으면 개인 차원에서는 생산이윤을 확보할 수 없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상호 규율체계와 지지체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이른바 ‘친환경농업의 관행농업화’가 나타날 수 있다. 둘째, 어느 정도 조직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생산자 조직도 대안성(alterity) 수준은 매우 낮았다. 생산자의 의식변화와 사회체계의 전환이 수반되어야 대안농산물체계의 구축은 가능하다. 셋째, 소비자의 조직화가 뒷받침되어야 대안체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외국의 대안농업운동 사례는 소비자가 바뀌어야 생산체계가 바뀐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친환경농업이 대안농업으로, 생협운동이 대안농산물체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단단한 조직화를 전제로 ‘소비자의 생산, 생산자의 소비’를 통해한 단계 높은 차원의 연대를 구축해야 한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agro-food system as a response to globalization of agriculture and global food system which are nowadays gaining momentum, by analysing the 'Pulmu Life Cooperative', the only producers' life cooperative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its organizational features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leads us to three suggestions. First, it is impossible for each producer, as an individual, to secure producer's profit. At a societal level, so-called 'conventionalization' of eco-agriculture can be materialized because a system of mutual regulations and supports have yet to be formed. Second, even in those producers' organizations whose level of organization is relatively high, the level of alterity is found to be quite low. Establishment of an alternative agro-food system will be possible only when it is accompanied by changes in producers' consciousness and entire social structure. Third, the consumers have to be organized before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agro-food system come to materialize. Overseas cases show that consumers have to be changed in order to make a change in production system. In a nutshell, to proceed from eco-agriculture to alternative agriculture, from life cooperative movement to alternative agro-food system, we have to build, on a basis of solid organization, a higher level of solidarity by way of "consumers' production and producers' consumption".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

        안윤숙(An Yun Sook),김흥주(Kim Hung Ju)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최근 들어 한국의 복지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지역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유는 세가지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국가와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에 혁신적으로 대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둘째,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을 증대시켜 자원이 지역에서 선(善)순환하는 지역순환의 복지체제를 만들어간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다중 이해관계자들의 협동과 호혜를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publicness)을 실천한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 중에서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중심의 사회복지실천에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공익적 경제활동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공동체 돌봄 활동을 통해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확보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안산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의료서비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펼치고 있었다. 지역자활센터가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되면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역량이 강화되고, 탈(脫)빈곤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생협은 조합의 이익을 주민과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협동의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울림두레생협은 주민의 참여와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복지체계를 만들고 있었다. 한살림 생협은 조합원들을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공동체를 만들고 있었다. 일본의 복지클럽 생협은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케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경제가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과제가 남아 있었다. 무엇보다도 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 시민사회의 연대,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사회적경제가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의 참여로 시작되고, 연대와 파트너십으로 완성된다. 여기에 실질적인 지방분권, 신뢰와 호혜의 가치, 시민사회의 성숙, 살아있는 지역조직, 실천가의 적극적인 사회행동이 기반이 되어야 지속가능해진다. Recently, Korea’s welfare environment has changed dramatically,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economy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irs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innovative coping with problems that the nation and market cannot solve. Second, by increasing social jobs and income in the region, creating a community welfare system in which local resources are positively circulated. Third,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practic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and reciprocity of multiple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d cases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cused on ‘social’ value rather than economic value. This is to find out how useful the social economy is for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ocial cooperatives realiz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rough public economic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aring activities. Italy’s social cooperatives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securing the universal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e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in Ansan was carrying out a community welfare movement to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medical services. As the local self-support center was transformed into a social cooperative, the capacity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strengthened and the possibility of deserting poverty was increasing. The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practicing social care based on the value of cooperation that wanted to share the interests of the union with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he Ulim-Dure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building a welfare system in which the region was center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social capital. The HanSalim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effectively organizing its members to create a caring communit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region. Japan’s welfare club, the association, was conducting community care centered on villag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were still some practical tasks for the social economy to be situated as a center of community welfare. For example, political will, solidarity of civil society, and strengthening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which is supported by a social economy, begins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s completed by solidarity and partnership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welfare system based social economy, the real decentralization, the value of trust and reciprocity, the maturity of civic consciousness, the active social behavior in the community are necessary.

      • KCI등재

        농업시민권을 통한 식량주권 실현

        이해진(Hae-Jin Lee),김선업(Sun?Up Kim),김흥주(Hung?Ju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9 No.1

        최근 신자유주의 기업식량체제에 도전하는 식량주권 운동이 대안농식품운동의 핵심 주제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식량주권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란 문제를 제기하고, 농민들의 사회생태적 관계와 실천에 주목해서 식량주권 실현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농업, 먹거리, 소비자, 환경과의 관계와 변화에 대한 농민들의 태도, 역량, 책임, 실천을 가리키는 농업시민권 개념을 활용해서 친환경농업 생산자를 대상으로 경험적 분석을 시도했다. 크게 생산방식, 사회적 관계 및 정체성, 사회정치적 차원으로 범주화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친환경농업 생산자들의 농업시민권의 차이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친환경농업 실천수준이 높은 유기농 농민들, 소비자와의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농민들, 다른 생산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농민들, 농민으로서의 자긍심과 농업 농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농민들, 사회정치적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농민들이 농업시민권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에서도 특히, 친환경 농민들 간의 연대와 농(農)정체성의 강화가 농업시민권을 형성하는데 다른 요인들보다 중요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식량주권 운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연대와 책임의 사회생태적 관계와 성찰적 농업시민권을 강화시키는 주체형성 전략과 실천들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안농식품체계와 먹거리정치의 주체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 전략을 진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concerns over the neoliberal corporate food regime are increasing, food sovereignty movement is becoming a main theme of alternative agrifood movements. Given that circumstance, this article aims to address how to build food sovereignty in South Korea. Taking into account the role of farmers as a subject in changing the current food regime and realizing food sovereignty, th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he social ecological relationships and practices of agricultural producers. Using the emerging concept of agrarian citizenship, which is referred to as agricultural producers attitudes, capacities, responsibilities, and practices in relations with agriculture, food, consumers and ecology to ensure agroecological food sovereignty, the paper implements empirical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ers. Examining variables classified with farming practices, social relations, and socio-political catego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ifferences and formation of agrarian citizenship.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organic farmers who conduct small scale eco-friendly farming, farmers who are closely connected with food consumers, farmers who closely cooperate with other farmers, farmers who have enhanced self esteem and identity as agricultural producers, and farmers who are very active in social and political engagement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agrarian citizenship. Among these factors, eco-friendly farmers` solidarity relationship and enhanced rural action identity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agrarian citizenship. This article concludes by arguing that farmers need to be considered as a significant subject and agrarian citizenship based on social ecological relations and reflexive agrarian identity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develop the food sovereignty move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visions of alternative agrifood movements and food politics in terms of rural action of agrarian citizens.

      • KCI등재

        네덜란드 수출농업의 발전과정

        송인주(In-Joo Song),윤병선(Byeong-Seon Yoon),김흥주(Hung-Ju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3

        낙농·축산물, 화훼, 과채에 특화된 네덜란드의 수출농업은 산업적 투입물에 고도로 의존하는 농업으로서 높은 자본집약성을 경쟁력 원천으로 한다. 주곡을 수입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고가의 농산물을 수출하는 네덜란드 수출농업의 기원은 17세기 ‘황금기’로 소급된다. 그러나 2차 세계전쟁 이후의 자본집약적 수출농업은 이전의 노동집약적 수출농업과 달리 미국의 ‘녹색혁명’을 유럽적 차원에서 복제하는 과정에서 네덜란드가 취한 고유한 전략의 산물이다. 전후 경제재건이 끝나자마자 네덜란드는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규모의 농업구조조정에 착수하여 수출농업의 주축을 전문화 규모화 자본화된 기업적 영농으로 재편한다. 동시에 네덜란드는 유럽공동농업정책의 형성에 적극 개입하면서 대규모의 산업적 농업체계로 유럽 농업의 변화를 선도한다. 즉 유럽 내 농업분업구조상의 위치와 유럽공동시장이라는 일종의 보호받는 수출시장을 전제로 네덜란드는 고도의 농업투자와 그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달성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네덜란드는 수출농업을 중심으로 전후 성장기에 이미 유럽 수준의 초민족화된 농업구조를 완비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이 주도한 ‘신자유주의적 농업구조조정에 이미 준비된 상태였고, 이로 인해 역설적이게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네덜란드의 경험, 즉 매우 특수한 일국의 성공사례를 ‘세계적 표준’으로 만들어 내는 데 기여한다. Dutch agricultural exports is highly specialized in the dairy, livestock and horticulture sectors and takes advantage of the high capital intensity. Dutch agricultural strategy based on the imports of the staple food and the exports of the relatively expensive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traced into the 17<SUP>th</SUP> century ‘Golden Age’. But the post-war capital intensive agriculture for export is different from the old labor intensive agriculture for export. It is the outcome of the specific strategy which the Dutch took in the process of the Europe-wide replication of the American ‘Green Revolution’. Just after the post-war economic recovery has been accomplished, the Dutch launched the huge agricultural restructuring for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established the specialized, up-scaled, and capital-intensive farming for the agricultural exports. At the same time, the Dutch led the transformation of the European agriculture to the big industrial agriculture system, actively intervening in the creation of the European Common Agricultural Policy. Under the condition favorable for the export due to the European common market as a kind of the ‘protected export market’, the Dutch achieved the intensive investment on the agricultu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se successful experiences contributed to the Dutch leadership in the agricultural globalization since 198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