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 한국 중국 유학생의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효율적 진로상담 방안에 관한 연구

        김홍유,이종구,강재식 국제지역학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We have been analyzed by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professional preparation, employment, and career life aimed at Chinese students. There is a tendency that overall trend is almost the same, even though there might be a smal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gender and scholastic year. Especially, a drift to the economic asp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is a reflection of increasing hardship on our society. In spite of now is the era of disappearing permanent job and being changed to the concept of lifelong career, there is exceedingly rare places for getting education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r related information. It is needed to inform upright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to educate the Chinese students. 최근 들어 대학의 글로벌 교육이라는 슬로건 하에 많은 외국대학과 교류에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최근 수년간 우리나라에 유학 오는 외국 학생수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은 전무한 형편이다. 특히 개인의 생애설계와 관련된 진로지도 및 상담과 관련된 지원프로그램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중인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진로상담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연구 조사한 논문이다. 연구 결과 중국 유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등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경향에서는 거의 비슷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직업의식이 경제적인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점점 어려워져 가는 세계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유학생들도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평생직업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직업의식을 교육 받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드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들이 우리사회에 올바른 정착과 직업생활을 위해서는 올바른 직업의식을 알리고 교육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운영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홍유,이종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0 유라시아연구 Vol.7 No.1

        최근 들어 복잡한 경제 환경과 취업 및 창업시장에 대한 고객 요구의 다양화로 창업시장이 더욱 전문화 및 세분화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탄생한 것이 대학내의 창업보육센터이다. 그러나 초기 출범당시와는 달리 시대의 흐름과 시장의 요구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부분들이 존재하고 있는 형편이 다. 또한 대학의 창업보육센터가 대학의 평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대학들이 이에 대해서 정 책적 접근과 방법에 대해서 많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ata Envelopment Analysis(DEA)를 통해 대학 내의 창업보육센터 업무 및 성과에 대한 운 영효율성 분석을 하였다. 현재 대학의 창업보육센터는 출범 역사가 짧고 전문화ㆍ특성화가 되지 않아 운 영의 효율성이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최근 들어 경기침체와 더불어 대학생들을 비롯한 청년실업 문제로 인해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의 관심은 오로지 미래의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날 로 높아 가고 있는 현실에 있다. 또한 사회적인 이슈로 인해 국민들의 관심 증가로 많은 대학들이 창업 과 관련하여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으며, 여기에 따르는 연계된 여러 취업정책들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관심에 비해 창업관련 전문 인력과 취업과 연계를 위한 취업지원시스템이 단시일 내에 갖 추어지기란 매우 힘든 일이다. 따라서 현재 정부를 비롯하여 많은 대학들이 창업보육센터 특성화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서 접근을 하려는 노력들을 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의 창업보육센터의 제반시설여건 등의 관련자료 조사를 통해서 각 대학별로 창업보육센터의 운영효율성 실 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창업보육센터의 정책과 연계한 취업지원 체계에 대해 모색해보고, 향후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운영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적인 입안 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초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운영효율성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이를 평가 할 수 있는 운영효율성 측정기법을 모색하였으며, 효율성 측정 기법으로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분석방법을 통하여 각 대학내 창업보육센터의 운영효율성을 측정하여 보고, 각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비효율성 존재에 대하여 규명 하였다. 마지막으로 DEA 방법으로 측정된 효율치와 효율성 평가를 바탕으로 창업보육센터 업무 운영효율성 평가와 문제점 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DEA 기법의 실증분석 결과를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결과는 대 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효율성 개선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서비스업 중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투입-산출 과정을 입주기업 배출 및 유치에 초점을 두어 DEA 기법을 적용하여 상대적 효율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효율성분석에 처 음으로 DEA 방법을 적용해 보았다. 둘째, DEA 기법을 이용한 가장 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로 구성되는 경험적효율성 프론티 어(empirical efficiency frontier)를 산출하였다. 셋째, 비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의 준거집단을 구성하는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의 빈도를 조사하여 비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의 벤치마킹 대상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넷째, 각각의 비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들이 효율적인 대학의 창업보육센터 업무가 되기 위 해 달성 가능한 투입물의 이상치를 제시하였다. Recently, starting business market has been more specialized and subdivided because of complicated economic environment and diversity of customer needs about employment and starting business market. Based on this situation, business incubator centers were established in universities. However, they have inefficient parts which are not appropriate for the current of time and market needs unlike the early stage when they were founded. In addition, universities are confused about the approach and way to policies even though they have a huge impact on the evaluation of the universitie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work and result about business incubator centers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Now, business incubator centers can be said that they do not have any operational efficiency because the history is short and is not be specialized and subdivided. Recen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ich is not only recession but also unemployment crisis among the young including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re interested in only starting business in the future. Also, with people increasingly interested in due to social issues, lots of universities are expanding their infra which is related with starting business and establishing connected employment policies. However, as compared to a lot of interests, it is very hard to prepare employment professionals and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which can be related with employment in short period. Therefore, now the government and lots of universities are trying to approach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pecializing business incubator center.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about the each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searching the related data including general condition of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s' facilities in universities which are located in Seoul. Using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nts to seek appropriat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which is connected with policie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 and also want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making programs and policies which can make operational efficiency of work maximize. The focuses of this study are followed. At first, we seek a method of measurement for operational efficiency which can evaluate based on the conception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measur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each university through DEA as the method of measurement, and find out work inefficiency which is existed in each business incubator center. Lastly, we analyze them to provide the ways to improve problems on the evaluation for work operational efficiency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based on the efficiency and the evaluation which are measured by various DEA methods as our purpose.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DEA method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is resul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to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First, we try to analyze relative efficiency using DEA methods focused on producing and attracting firms as the work input-output proces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among the service industry. It is the first to apply DEA methods for analyzing work efficiency of business incubator center in universities. Second, we compute the most efficient empirical efficiency frontier which consists of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Third, we provide the standard of object for benchmarking about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through researching frequency of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which consist of inefficient their reference group. Forth, we provide ideal amount of input which is achievable for each inefficient works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to be efficient work of business incubator centers in universities.

      • KCI등재

        DEA를 활용한 지역농협의 운영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세종시와 공주시 지역농협을 중심으로

        김홍유,임재정,이종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3

        Recently, financial companies are becoming more competitive in order to survive through both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of financial industry which is becoming more fiercely competitive; however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are relatively showing less efficiency in management and are facing a threat in survival. Therefore,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should seek an increase i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business to survive through the struggle for existence that cannot be compared to what we have experienced before. Thus, inefficient elements that exist in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should be unearthed and eliminated to enhance and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ies. In this study, we have selected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in Sejong city and Gongju city as an object of study, and have used DEA analytic methods to evaluat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each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This study is aimed to focus on several issues. First, we have established fundamental concepts that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referring to theories of operational efficiencies that have been researched and progressed until recently. Second, methods of evaluating operational efficiencies of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were sought based on the concept of operational efficiencies. Third, we have investigated the inefficient elements that may differ according to each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 By evaluat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each local cooperative we can understand more concretely on the existent inefficient elements, and therefore present an optimal input. Based on the measured efficiency rates we may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propose a guideline to improve such issu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shown below. First, the DEA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estimate relative efficiencies of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located in Sejong city and Gongju city. The efficiency index measured by the DEA analysis is important not only because it is the index that points out the relative efficiency between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but also because it allows us to establish a plan to improve the efficiencies of local cooperatives and furthermore propose a plan that could lead us to manage available resources economically.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formation for efficiency management strategies and cost cutting of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Second, by using DEA analysis, we can estimate the outcomes of local cooperatives without having any proactive suppositions of function form. Therefore we can estimate the efficiency of a particular local cooperative without having to assume the production function. Thus, efficiency measurements using DEA models can prevent the distortion of models caused by arbitrary assumptions. 최근 가속화 되고 있는 금융산업의 치열한 경쟁속에서 국내외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유수한 금융기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운영을 하지 못하고 있는 지역농협들이 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다. 따라서 지역농협도 지금까지의 경영환경과 비교될 수 없는 생존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생산성의 증대와 업무의 효율화를 추진해야 한다. 따라서 지역농협의 내부에 존재하는 비효율적인 요소를 밝혀내고 이를 제거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개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종특별자치시내 지역농협과 공주시의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지역농협의 운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EA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하려고 한다. 첫째, 기존에 연구되고, 진행되어온 운영효율성에 대한 개념을 이론과 문헌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합당하도록 그 기본개념을 정립하였다. 둘째, 운영효율성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지역농협의 운영효율성 측정기법을 모색하도록 한다. 셋째, 각 지역농협별로 비효율성 존재가 어디에 있는지 규명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DEA 분석은 세종시 소재 지역농협의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DEA 분석에 의해 측정된 효율성지표는 각 지역농협의 상대적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지표를 이용하여 비효율적인 지역농협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과 가용한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특히 비효율적인 지역농협의 효율화 경영전략 및 비용절감을 위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지역농협내의 운영효율성을 판단함으로써 좀 더 구체적인 비효율적인 요소를 파악, 이에 대한 최적의 투입물 기준을 제시하여 측정된 효율치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지역농협들의 운영효율성 평가에 대한 문제점의 개선방향을 제시한 연구이다.

      • KCI등재

        대학의 취업 및 학사 업무 운영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내 대학의 취업률과 장학금 수혜액을 중심으로-

        김홍유,이종구,송병선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1

        This study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work and result about operational efficiency for college in Kyunggido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s tools, it use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developed by Charnes and Cooper. It finally selects 24 DMUs which are listed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ttp://academyinfo.go.kr). We measures the technical efficiency of each DMU with the use of DEA-CRS, rather then DEA- VRS because DEA-CRS not only compares relative efficiencies but also implicitly considers economies of scale based on the assumption of linearity. We run a linear programming model Frontier Analyst Program for the estimation of the relative efficiencies of each DMU. The model also indicates the precise amount of inefficiencies for each input, which mean how much inputs are wasted for a given output and how much the university is inefficiently operated. This analysis helps to give guideline for the organization to construct a future-oriented operational strategy and also to show clear picture of contents of mis-management for the past. The details of mis-management are to be identified, analysed and finally corrected. 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DEA method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is resul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to efficiency for college. First, we try to analyze relative efficiency using DEA methods focused on producing and attracting college as the work input-output process of efficiency in college. It is the first to apply DEA methods for analyzing work efficiency for college in Kyunggido. Second, we compute the most efficient empirical efficiency frontier which consists of works of efficiency for college. 전문대학은 설립목적이 직업교육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무한경쟁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설립목적에 맞는 교육지표는 중요하다. 교육지표로서 중요시된 것이 바로 각 학교가 발표하고 있는 취업률과 장학금 수혜실적이다. 이러한 실적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교 선택권도 결정이 되며, 대학의 위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자료가 된다. 또한 대학 평가와 정보공시제의 중요한 항목으로서 취업률과 장학금 수혜실적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ata Envelopment Analysis(DEA)를 통해 경기도 소재 2, 3년제 대학의 취업률과 장학금 및 제반 교육시설여건 등의 관련 자료를 통해서 각 대학별로 취업 및 장학업무 운영효율성 실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취업 및 진로지원 체계에 대해 모색해보고, 향후 취업 및 장학지원 업무의 운영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金融産業의 效率性 測定과 最適生産規模設定에 關한 硏究

        김홍유;이종구 경희대학교 산업관계연구소 2001 産硏論叢 Vol.26 No.-

        The concerns about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 power of banking industry has been growing in accordance with the recession of domestic activities and the deficit of the 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 In a near future, the financial industry not only will be faced with the opportunity to increase its competitive power but also will be faced with the threat to workout simultaneously. This thesis research used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banking branches. In financial institute, the defini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puts and outputs is ambiguous. Therefore the utility of DEA can be found in the point that it can measure the efficiency without specific function such as cost function. DEA find the most efficient DMU(Decision Making Units) through the simple model, and measure the other DMU's inefficiency based on the most efficient DMU. And DEA also can provide several informations about over-inputs and under-outputs. In this thesis research, one sample commercial bank was selected and 35 branches were included to measure the operation efficiency. The operation efficiency of branches was measure by the DEA. In research result the comparision of method is also resented

      • KCI등재

        국제사회 : 재 한국 중국 유학생의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효율적 진로상담 방안에 관한 연구

        김홍유 ( Houng Yu Kim ),이종구 ( Jong Gu Lee ),강재식 ( Jae Shik Kang ) 국제지역학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최근 들어 대학의 글로벌 교육이라는 슬로건 하에 많은 외국대학과 교류에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최근 수년간 우리나라에 유학 오는 외국 학생수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은 전무한 형편이다. 특히 개인의 생애설계와 관련된 진로지도 및 상담과 관련된 지원프로그램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중인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진로상담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연구 조사한 논문이다. 연구 결과 중국 유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등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경향에서는 거의 비슷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직업의식이 경제적인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점점 어려워져 가는 세계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유학생들도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평생직업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직업의식을 교육 받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드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들이 우리사회에 올바른 정착과 직업생활을 위해서는 올바른 직업의식을 알리고 교육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We have been analyzed by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professional preparation, employment, and career life aimed at Chinese students. There is a tendency that overall trend is almost the same, even though there might be a smal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gender and scholastic year. Especially, a drift to the economic aspect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is a reflection of increasing hardship on our society. In spite of now is the era of disappearing permanent job and being changed to the concept of lifelong career, there is exceedingly rare places for getting education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or related information. It is needed to inform upright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to educate the Chinese students.

      • KCI등재

        한국 대학입학제도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탐색적 연구

        김홍유 ( Houng Yu Kim ),이종구 ( Jong Gu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9 유라시아연구 Vol.6 No.2

        그 동안 우리나라는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하여 많은 논란과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기본적인 기능은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적격자를 선발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이 도를 넘어 과열양상을 띄고 있고, 더 나아가 하급교육 기관에 상당한 영향까지 미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대학입학전형제도와 관련한 정책은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되었다. 지금까지 대학입학전형제도에 관한 한 각 대학은 교육의 수월성을 근간으로 한 우수학생의 유치였다. 이러한 정략적 수월성에 근거한 선발 방식은 대학 입학 자원의 다양성 확보와 다양화 시대에 걸 맞는 창의적이고 유능한 인재를 선발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많이 제기되어 왔다. 수월성에 근거한 “우수학생”이라는 개념이 학업성적 우수자라는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 결과 상당 부분 대학자율에 맡겨진 입학제도 아래에서도 대부분의 대학은 학업성적이 주류를 이루는 입학전형 방식의 틀에 묶여 있었다. 이로 인해 하급 교육기관인 초·중·고등학교에서는 입시위주의 교육이 불가피했고, 수업과 평가가 정상궤도에서 벗어나 파행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교육은 그 본질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러한 교육제도 하에서는 하위의 초·중 등 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쳐서 전반적인 교육시스템의 근간을 좌지우지되게 했으며, 그 결과 입시를 위한 점수경쟁 교육으로 변질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입시시스템은 그 동안 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의 다양성 확보에 큰 걸림돌로 작용 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입시정책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는 대학입학전형제도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입학사정관제의 도입과 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개선안을 발표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안의 적용을 위해서는 일선대학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입학전형제도의 개발이 시급하고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고, 새로이 시작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각계의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입학사정관 제도는 바로 대학입시의 큰 줄기라고 할 수 있는 대학의 자율성 확보와 공교육 정상화라는 상충되는 가치를 적절히 반영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들어선 새 정부는 「대입 3단계 자율화」 방안을 수립하여 공교육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대학의 자율적인 학생선발권을 점진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대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는 바로 이 두 가치를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는 제도로서 대입 3단계 자율화의 안착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대학입시 정책이 단순한 계량적 판단에 따른 수월성 확보에서 정성적이고 특성화가 고려된 다양성 확보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어야 대학의 경쟁력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것은 입시경쟁에서 단순한 “경쟁과 선택”이라는 입시제도에서 대학들이 벗어나야 한다. 이러한 제도의 변화는 대학뿐만 아니라 대학입시를 앞둔 학생과 학부모들도 만족할 것이다. 따라서 근본적인 입시제도의 변화와 혁신 없이 성공적인 정책이 나올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성에 근거한 대학입학사정관 제도와 함께 대학입시제도의 다양성 확보에 대한 탐색적 성공요인 분석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Until now, we have been experiencing for disputable and changeable Academic Admission System. The principle purpose of Academic Admission System is to select qualified person who can enter into the university. Major policies on the higher education include admissions officer system along with policy for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universities, which has been promoted with great emphasis. As universities have defined students as excellent with higher score in nationwide examinations and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at school for many year, there have been constantly questions raised in validity of the student selection process and crippled operation of high school education. This procedure is being nowadays over aspects, and furthermore it is affecting great influence to lower education facilities.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became a matter of interest to national wide. Until now, the matter of relating to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s for enticing bright students in the base of each university education`s easiness. However, the conception of “bright student was stucking in for choosing students who are best in academic grade. In the result, even though the admission system was committed to each university, most universities were stucking in the way of choosing by education grades. By this, at highschool, educating students for entering into the university was inevitable, and classes and evaluation were going beyond the base of education. To dissolve these problem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nounced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admission system after 2008 for introduction of admission system and the normal school education in the basis of acquiring university admission system`s diversity. To apply this kind of improvement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dmission system for lowering the dependence on grades of each university`s SAT, and this is being important issue. Now each part endeavors for the success of admission system after 2008. We have frequently been exposed to the idea of paradigm shift from selection competition to education competition concerning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his debate seeks to change the function of competition and selection which is exercised through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to the function of preference and applic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thus bringing revolutionary change to the curren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policy. So, this research is being focused on analysis of exploratory success factor with diversity of admiss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