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광역시 도로변 먼지 침적 퇴적물 내 미세플라스틱의 발생과 분포 특성 연구

        김홍경,송하균,이가인,장용철,김병환,권영선,이청희,최경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3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40 No.3

        Microplastic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marine and terrestrial ecosystems. In this study, the gene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croplastics in road dust sediment (RDS) were evaluated by collecting road dust samples from 12 sites in residential areas, roads, and industrial complexes in Daejeo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amount of microplastics in sediment removed by street sweeping vehicles was examined. Digital microscopy images showed an average of 1,080 microplastic particles/g in road sediment. The highest amount of microplastics was found in dust samples from heavy traffic road areas, which had an average of 1,369 microplastic particles per one gram of sample. Dust samples from industrial complexes had an average of 1,032 microplastic particles per one gram of sample and those from residential areas had an average of 903.3 microplastic particles per one gram of sample. Microscope-based infrared spectroscopy revealedan average of 193 particles (75.4% detection rate) of microplastic consisted of mainly SBR, PP, PE, and PS. SBR which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was found to be primarily generated by the abrasion of automobile tires. Finally, two kinds of microplastic particles, obtained from manual sampling and collected by street sweeping vehicles were compared. Approximately 2.2-7.6 billion particles were estimated to be sedimented per day in road dust whereas about 8-16.4 billion particles were removed each day via street swee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management strategy on microplastics in RDS and minimizing the release of microplastics into freshwater environments.

      • 폐플라스틱의 종류별 열분해 생성물 특성 분석

        김홍경,현재혁,이현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심포지움 Vol.2019 No.1

        본 연구에서는 깨끗한 상태의 플라스틱 재생 플레이크와 오염된 상태의 EPR 압축 폐플라스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플라스틱의 종류는 PE, PP, PS를 사용하여 실험 목적에 맞게 시료 조성을 다양하게 설정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깨끗한 상태의 플라스틱(Case 1)은 오염되지 않았기 때문에 품질 평가에서 제외하였고 오염된 상태의 EPR 압축 폐플라스틱을 용융 기능을 하는 1차 반응기(Sub Reactor, SRT)와 3차 컨덴서(Third Condenser, TCD)의 사용 유무에 따라 Case 2와 Case 3으로 나누어 두 가지 경우의 열분해 오일 품질기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ase 2의 수분 항목을 제외한 모든 열분해 오일이 품질기준을 충족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열분해 오일의 저위발열량의 경우 각각 10,380 kcal/kg, 10,096 kcal/kg 로 국내 품질기준 3,500kcal/kg 이상을 만족하였으며, 현재 유통되고 있는 연료유의 발열량과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의 샘플이 대체 에너지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열분해 부산물(Char)의 경우, 폐기물관리법상 에너지 직접 회수 유형의 재활용기준에 의거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Char의 저위발열량은 기준치인 4,500 kcal/kg 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나, 중금속 함량의 경우 모든 항목이 기준치 이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분해 공정 후 수득되는 오일을 대상으로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분석을 PE/PP/PS 혼합폐플라스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항목은 PM-2.5, SO<sub>2</sub>, NO<sub>2</sub> 등으로 설정하였다. PM-2.5의 경우 347.3 μg/㎥으로 배출허용기준을 7배 이상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전에 대기오염제어를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SO<sub>2</sub> 및 NO<sub>2</sub>의 경우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였다. 비응축가스의 경우 Case 3 실험 조건에서 열분해 공정 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해 시료로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암모니아의 경우 400℃ 구간에서 1.01ppm으로 측정되었고 400℃ 이하 구간에서 2ppm 이하로 분석되었다. 해당항목은 악취 배출허용기준 중 공업지역의 경우를 만족하였으나, 기타지역에서의 기준을 만족하지는 못하였다. 그 외 황화수소 및 메틸메르캅탄은 모두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저핵 뇌경색 환자의 편마비 한방치료 1례

        김홍경,김재익,정소연,김정호,김영일,Kim, Hong Kyoung,Kim, Jae Ik,Jung, So Youn,Kim, Jung Ho,Kim, Young Il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2018 혜화의학회지 Vol.27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n left basal ganglia infarction. Methods : We performed acupuncture and administered herbal medicine to one patient to alleviate symptoms of hemiplegia such as motor disorder, facial palsy, and dysarthria. Manual Muscle Test(MMT), Hand Grip Test(HGT), Gait Level(GL), and Dysarthria grade were used to evaluate status of the patient. Results &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overall symptoms of hemiplegia in the patient wer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Korean medical treatmen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on patients of left basal ganglia infarction to treat symptoms of hemiplegia.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re needed to examine this issu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 췌장암 환자에서 발견한 UGT1A1*37 대립유전자 1예 보고

        김홍경,김보연,김윤정,이경아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21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11 No.3

        UGT1A1은 글루쿠로나이드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효소의 일종으로 빌리루빈 및 약물 대사에 관여한다. 특정 UGT1A1 유전자 다형성을 보유할 경우 UGT1A1 발현이 감소할 수 있는데, UGT1A1 유전자의 촉진자 부위에 위치한 TATA box에서 티민-아데닌 반복이 증가하는 UGT1A1*28 대립유전자가 대표적이다. 이리노테칸은 고형암의 항암치료에 사용되며 체내에서 SN-38으로 활성화되고 UGT1A1에 의해 글루쿠로나이드와 결합되어 제거된다. UGT1A1*28과 같이 UGT1A1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경우 이리노테칸의 독성이 증가하여 중증 호중구감소증 및 설사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UGT1A1*37 대립유전자는 아시아인에서 보고된 바 없는 드문 대립유전자로서 UGT1A1*28 보다 UGT1A1 활성도가 더욱 감소되어 중증 호중구감소증과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췌장암으로 진단받은 69세 여성 환자에게서 UGT1A1*37 대립유전자를 아시아인에서 최초로 검출하였으며 치료 전 유전형 분석을 통하여 본 환자에서 이리노테칸에 대한 독성 반응의 발생 위험도가 증가할 것을 고려하여 이리노테칸을 배제하는 치료법으로 결정하였다. UDP-glucuronosyltransferase 1A1 (UGT1A1) is an enzyme that catalyzes glucuronidation of substances, including bilirubin and other drug metabolites. Certain UGT1A1 polymorphisms reduce UGT1A1 activity, notably UGT1A1*28 contains thymine-adenine repeats in the TATA box of the promotor region. Irinotecan, a chemotherapy agent for solid cancers, is converted in the body to an active metabolite, SN-28, and then excreted, after being conjugated with glucuronide by UGT1A1. If UGT1A1 activity decreases (e.g. UGT1A1*28), the risk of irinotecan toxicity increases, which can develop into severe neutropenia and diarrhea. UGT1A1*37, a rare allele that has never been found in Asians, was previously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evere neutropenia by reducing UGT1A1 activity further than UGT1A1*28. In this study, we first detected UGT1A1*37 in a 69-year-old Korean woman diagnosed with pancreatic cancer and excluded irinotecan from her chemotherapy regimen, in consideration of the increased risk of toxicity, based on pre-treatment UGT1A1 genoty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