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아로니아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특성

        박미정(Mi-Jung Park),김형국(Hyeong-Kook Kim),최경근(Kyong-Kun Choi),구본열(Bon-Yeol Koo),이시경(Si-Kyung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1

        아로니아 첨가량을 0.3, 0.8, 1.3 및 1.9%로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과정 중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여 발효 6일에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pH는 3.49-3.74였다. 당도는 담금 직후에는 1.31-2.75oBx로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아로니아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발효 2일째 7.96-8.53으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그 이후부터 최종 발효일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산도는 담금 직후 발효 6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서 아로니아를 첨가함에 따라 총산도가 증가되었고 최종발효 14일에는 0.50-0.62%로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은 최종 발효 14일까지 완만히 증가하였고, 11.97-14.13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아로니아 첨가군에서 알코올 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은 막걸리를 담금 직후에는 1.57-2.22%에서 최종발효 14일에는 5.86-6.92%로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발효 2일째까지 증가하다가 4일 후부터 감소되었으며, 최종발효시점에 1.67-1.97%로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효모수는 모든 시험구가 발효 4일째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담금 직후부터 최종 발효시까지 증가하였으며, 아로니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평가결과에서 색은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단맛은 아로니아 1.3% 첨가군에서, 신맛과 쓴맛은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높게 나왔으며. 목넘김(목에 넘어가는 느낌)과 종합적 기호도가 아로니아 1.3%첨가군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아로니아 막걸리의 개발 상품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aronia, (Aronia melanocarpa (0-1.9%)). After an initial decrease in the range of pH from 4.93-5.04 to 3.43-3.61 over a period of 6 days, it gradually increased until 14 days.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sugar contents and reducing sugar contents initially increased in majority of the samples, and subsequently decreased after 2 days. Total acidity contents increased until 6 days and then became higher as the content of aronia increased. Total acidity levels were within the range of 0.50-0.62%. After 14 day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s ranged between 11.97 and 14.13%. Over the same time span, th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from a range of 1.57-2.22 to 5.86-6.92%. The microbial cell count and yeast colony count increased over the initial 4 days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of aronia makgeoll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sensory evaluation, makgeolli with 1.3% aronia demonstrat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nce.

      • KCI등재

        전통된장의 숙성기간에 따른 γ-Aminobutyric Acid(GABA), Isoflavone 함량 변화

        조성진(Seong-Jin Jo),홍충의(Chung-Oui Hong),양성용(Sung-Yong Yang),최경근(Kyong-Kun Choi),김형국(Hyeong-Kook Kim),양혁(Hyok Yang),이광원(Kwang-Wo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4

        본 연구는 전통된장의 숙성기간에 따라 일반성분, pH, 색도, 지방산, 아미노산, γ-aminobutyric acid(GABA) 및 isoflavone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전통 된장은 강원도 서원 농협에서 제조한 된장으로 숙성기간이 1, 3, 5, 7 및 10년이 경과된 된장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숙성시키지 않은 된장을 사용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의 경우 3년째까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와 색도는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방산의 경우 숙성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아미노산 또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GABA의 전구체인 glutamic acid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 시료의 경우 GABA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24.9 mg/kg이었으나,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43.8, 120.6, 569.5, 930.7 그리고 10년 숙성된 된장의 경우 1,938.7 mg/kg으로 대조군 시료에 비해 약 77배 증가하였다. Isoflavone 중 glycoside인 daidzin, genistin 및 glycitin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aglycone 형태인 genistein과 daidzein의 경우 숙성기간이 경과될수록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γ-aminobutyric acid (GABA) and isoflavones in traditional Korean Doenjang according to ripening periods. The traditional Korean Doenjang used in this research was produced at Seowon Agricultural Cooperative in Gangwon-do Province, and samples fermented for periods of 1, 3, 5, 7, and 10 years were used. Doenjang that was not fermented after production was used as a control group. The analysis results of general constituents indicated a decreasing tendency for moisture after a momentary increase until three years of fermentation. The pH and Hunter color values of the Doenjang samples decreased overtime. In the case of amino acids, generally there were no notable differences during fermentation, but glutamic acid, the precursor of GABA,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fermentation. GABA content for the control group was 24.9±0.8 mg/kg, while the traditional Korean Doenjang fermented for 1 year contained 43.8±0.2 mg/kg and after 3 years it increased to 120.6±3.9 mg/kg. Furthermore, samples fermented for 5 and 7 years contained 569.5±3.9 mg/kg and 930.7±7.1 mg/kg, respectively, and a 10 year old specimen had 77 times more GABA than the control group, with 1,938.7±4.8 mg/kg. This confirmed that GABA content in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soflavone glycosides daidzin, genistin, and glycitin, but genistein and daidzein, which are aglycones, increased along with fermentation period by the actions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during fermentation.

      • KCI등재

        시판 요구르트 제품 중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분석 및 상업용 Dairy Starter에 의한 CLA 생산

        이효구(Hyo-Ku Lee),권영태(Yung-Tae Kwon),강혜순(Hye-Soon Kang),윤칠석(Chil-Surk Yoon),정재홍(Jae-Hong Jeong),김형국(Hyeong-Kook Kim),인환(In-Hwan Kim),정수현(Soo-Hyun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국내에서 시판 중인 요구르트의 CLA 함량과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의 CLA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시판 요구르트 중의 CLA 함량은 4.1∼14.8 ㎎/100 g이었으며, 원료 우유 사용비율이 낮아질수록 제품에 함유된 CLA 함량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A 함량과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함량, CLA 함량과 지방함량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 67균주 중 L. acidophilus 1종, L. casei 1종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3종 등 모두 5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inoleic acid로부터 CLA를 생성하였다. 또한 생성된 CLA는 cis-9, trans-11 이성체가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들을 이용한 발효유는 대조구에 비해서 1.7∼2.6 ㎎/100 g의 CLA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CLA 전환율은 6.1∼8.6%<br/> 였다.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centrations of commercial yoghurts and the ability of dairy starter cultures to produce CLA were investigated. The CLA contents of yoghurts were in the range of 4.1∼14.8 ㎎/100 g. CLA contents in yoghurts depended on the amount of milk used for raw material. Regression tes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LA concentrations and selected fatty acids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of lipids in yoghurts. Among the 67 commercial dairy starter cultures tested, on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one of Lactobacillus casei and three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were found to be capable of converting free linloeic acid to CLA and cis-9, trans-11 octadecadienoic acid presented more than 70% of the total CLA formed. The CLA conversion rate of the screened strains ranged from 6.1% to 8.6% in whole milk for 24 hours at 37℃.

      • 종격동에 발생한 Castleman병 1례 보고

        김형국,박영식,광호,구혜수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6 No.4

        Castleman's disease, giant lymph node hyperplasia, is a rare benign tumor which was originally reported by Castleman in 1956. It has two types of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yaline-vascular and plasma cell. Surgery is usually perferred because of the giant mass shadow onthe chest roentgenogram rather than symptomes it causes. It is cured completely by resectionwithout recurrenc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Castleman's disease in the right anterosuperior mediastinum in a 36-year-old female. She was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with goodresult She is well one year after surge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