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BPSf/TMSSf 블렌드막을 통한 산소와 질소의 투과특성
김현준,홍석인,Kim Hyunjoon,Hong Suk-In 한국가스학회 2001 한국가스학회지 Vol.5 No.1
The permeation properties of $O_2\;and\;N_2$ were measured for bromobisphenol A polysulfone(BPSf), bisphenol A trimethylsilylated polysulfone(TMSPSf) and their blend membrane to investigate the structure-properties relationships. BPSf shows relatively high permselectivity.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trong polarity of bromine in BPSf increases chain packing ability. In this case the distance of polymer chains is reduced by increasing of interchain interaction by induced dipole. TMSPSf shows relatively high permeability. The higher value of permeability coefficients for TMSPSf is due to the substitution of very bulky trimethylsilyl groups. The replacement of phenyl hydrogens of bisphenol A polysulfone(PSf) with trimethylsilyl groups results in higher fractional free volume(FFV). In this work, taking into account the complimentary features of BPSf and TMSPSf, BPSf/TMSPSf blend was prepared and the compatibility in mixing are examined. The BPSf/TMSPSf blend shows higher permeability than commercial PSf, with minimum loss of selectivity. The miscibility of the BPSf/TMSPSf blend is confirmed by the singl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김현준(Kim HyunJo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3 No.2
재난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사람과 경제·사회·환경적 자산의 손실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의무인지, 이에 대응하여 국민의 입장에서는 국가에 대하여 이를 요구할 권리가 있는지와 같은 공법적인 문제가 제기된다. 재난 대응을 위한 법제도는 재난에 대한 취약성은 낮추고, 회복탄력성은 높이는 것이어야 하며, 환경재난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재난대응법제에 따른 규율과 함께 환경법의 체계 안에서 그 취약성을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법적 대응이 요청된다. 오늘날 국제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인간안보’ 및 ‘환경안보’에 관한 논의는 본고의 주제인 ‘재난’ 및 ‘환경재 난’과 관련해서도 의미가 있다. 환경재난구호권이 인권으로서 인정될 수 있는가는 실체적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절차적 측면에서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실체적 인권으로서 환경재난구호권의 주된 근거는 국제 인권법의 중추가 되는 세계인권선언에서 찾을 수 있다. 환경재난구호를 위한 절차적 인권 ①환경재난정보에 대한 액세스권, ②환경재난에 관한 의사결정에의 공중의 참여권, ③환경재난에 대응하는 사법(司法)절차에 액세스할 수 있는 권리를 들 수 있다. 헌법에 환경권규정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실체적·절차적 권리는 더욱 자연스럽게 인정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환경재난구호권을 구체화하는 입법론은 환경재난에 대한 ‘위해’를 줄이고, ‘취약성’을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제고하는 것이어야 한다. 나아가, 환경재난구호와 관한 사인의 주관적 권리성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관련규정이 전적으로 사회일반의 공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사익도 부수적으로나마 보호한다는 형식으로 나타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주관성 확보까지 고려하는 입법론도 고려할 수 있다. Disasters are usually described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conditions of vulnerability; insufficient capacity or measures to reduce or cope with the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and exposure to a natural hazard. Losses from environmental disasters, which are disasters to the natural environment due to human activity, are especially on the increase. In these circumstances the protection from environmental disaster could be recognized as a kind of human right, as well as a part of the environmental law. The role of the state here is special. The state ist the chief duty bearer and has legal obligation to respect, protect, and fulfill the right to protection from environmental disaster. What must not be forgotten is that appropriate legal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re necessary to cope with the environmental disasters. The rights to environmental disaster mitigation and relief are elaborated not only in substantive rights, which are recognized by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but also prodedural rights, which include access to information, public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access to justice in environmental matter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legal frameworks to prepare and implement effective disaster risk management and the current legal status on the environmental disaster. For this purpose, the paper discusses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disasters and human rights.
김현준(Kim HyunJoon),김래영(토론자) 한양법학회 2008 漢陽法學 Vol.23 No.-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greatest environmental problems facing the planet of our time.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human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burning of fossil fuels, contributed to climate change. To bring climate change to a hal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making serious efforts, such as the 1992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its Kyoto Protocol, agreed in 1997. Many countries are already taking steps to address the urgent challenges, which ar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emission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the legal Instruments of these various measures. EU launched Emissions Trading Scheme in January 2005 according to Directive 2003 / 87 / EC, and which has become the cornerstone of EU efforts to reduce emissions. The United Kingdom is preparing for the Climate Change Bill, which includes very ambitious target figures for the level of that carbon account. The Draft Climate Change Bill also introduces the complex process of carbon accounting, the Committee on Climate Change, trading schemes, waste reduction schemes etc. Germany has very efficient Acts regarding climate change such as TEHG, ZuG 2012 etc, and various energy Acts, by which the emission reduction can be accomplished. Japan has a kind of the climate change policy law, which is to provide a statutory framework for the emission reduction. Recently our government announced that the related Act would be prepared as one of the Comprehensive Measures on Climate Change. The Act should establish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action regarding climate change, such as an emissions trading scheme, another economic instruments, obligation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arbon capture etc.
카지노 산업에서 기업가치에 대한 현금보유의 효과: 대조를 이루는 현금보유정책에 따른 비교
김현준 ( Hyunjoon Kim ),데이빗우즈 ( David Woods ),쟁구 ( Gu Zheng ) 관광경영학회 2014 관광경영연구 Vol.61 No.-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증시에 상장된 55개 카지노 기업의 531개의 연도별 관측치를 샘플로 하여 기업가치에 대한 현금보유의 효과가 대조를 이루는 현금보유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현금비율을 삼분위로 나누어 연구샘플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샘플기업의 시장가치는 토빈의 Q값으로 측정하였다. 토빈의 Q값이 세 그룹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인 Scheffe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상위 삼분위 그룹의 평균 토빈의 Q값은 중간 삼분위 그룹과 하위 삼분위 그룹보다 크게 나타났지만, 중간삼분위 그룹과 하위 삼분위 그룹 사이에는 평균 토빈의 Q값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 평균값보다 높은 현금비율을 유지하는 카지노 기업들이 시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치를 높게 평가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비추어 볼 때 현재 카지노 기업의 현금보유정책과 의사결정은 목표 현금보유량에 기초한 절충이론으로 설명되어진다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