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산화질소가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연(Hyun Yeon Kim),김재우(Jae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5

        목적: Carboxyfluorescein을 이용하여 일산화질소가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Transwell의 내측 chamber에 인체의 섬유주세포를 단층으로 충만하게 배양한 후 일산화질소 공여자인 0, 10, 100 μm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SNAP)과 일산화질소 합성효소 저해제인 0.5 mm L-NAME에 24시간 노출시킨 다음 내측 chamber에 50 mm carboxyfluorescein을 2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외측 chamber에서 투과된 carboxyfluoresce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세포의 생존은 MTT assay로, 일산화질소의 생성은 Griess assay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SNAP은 10, 100 μm의 농도에서 세포의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SNAP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에 비례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의 투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또한L-NAME는 각 농도의 SNAP에 대해 유의하게 투과도를 감소시켰다(p<0.05). 결론: 일산화질소는 농도에 비례하여 섬유주단층세포층에서 carboxyfluorescein의 투과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섬유주를 이완시켜 안압을 하강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일산화질소는 섬유주세포층을 통해서도 방수유출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5;56(5):771-775>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tric oxide (NO) on the permeability of cultured human trabecular meshwork cell (HTMC) monolayer. Methods: HTMCs were cultured until confluency in the Transwell inner chamber and then exposed to 0, 10 or 100 μm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SNAP) and 0.5 mm L-NG-Nitroarginine methyl ester (L-NAME) for 24 hours. Permeabilities of carboxyfluorescein through the HTMC monolayer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fluorometer after 2 hours in the outer chamber. Cellular viabilities and production of NO were assessed using 3-(4, 5 -dimethylthiazol-2-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nd Griess assay, respectively. Results: The cellular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10 or 100 μm SNAP (p > 0.05) but NO production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p < 0.05). SNA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carboxyfluorescein through the HTMC monolayer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non-exposed control (p < 0.05). The endothelial NO synthase inhibitor L-NAME abolished SNAP-induced increase of the carboxyfluorescein permeability (p > 0.05). Conclusions: NO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carboxyfluorescein through the HTMC monolayer in a dose-dependent manner. Thus, NO could increase trabecular outflow by increasing the permeability of trabecular cell layer in addition to trabeular messwork (TM) relax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5):771-775

      • AI 챗봇을 활용한 정부 및 지자체의 혜택·복지·소식 정보 제공 및 추천 서비스에 관한 연구

        김현도 ( Hyun-do Kim ),김선우 ( Sun-woo Kim ),정민 ( Jung-min Yeon ),정다현 ( Da-hyeon Jeong ),정진우 ( Jin-woo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Google Dialogflow 자연어 처리 엔진(NLP 엔진), 정보수집(크롤링), iOS 챗봇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부 및 지자체 혜택 및 정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챗봇 구현을 제안한다. 해당 챗봇은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능숙하지 않은 중, 장년층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고,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 및 정보의 불균형과 격차의 해소를 목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따른 혜택·복지·소식 정보를 제공 및 추천한다.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분야의 정부 및 지자체의 적절한 복지 정보를 추천 받을 수 있다.

      • KCI등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현아(Kim Hyun-A),방기(Bang Kee-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그룹 홈 종사자 10명을 면접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관계 경험, 그룹 홈 운영의 어려움과 대처 전략, 종사자의 보람과 비전, 그룹 홈 운영에 대한 제안을 조사하였다. 부모와의 동반관계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탈북 청소년은 그룹 홈 종사자에게 마음을 열지 않았고, 생활 규칙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부모역할을 담당하는 종사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점차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탈북 청소년 그룹 홈이 아동복지법의 인가를 받기 어려운 점과, 재정적 어려움, 업무과다의 어려움을 경험했지만, 청소년과 함께 지내는 기쁨과 탈북 청소년의 남한 적응, 그리고 통일과 사회통합이라는 비전을 통해 소진을 극복하였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18세 이상의 탈북 청소년과 연고 청소년들도 그룹 홈에서 생활하는 것이 남한 적응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연고 탈북 청소년을 위한 그룹 홈 및 사회적 지지망 형성의 필요성과 그룹 홈 종사자가 탈북 청소년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였다. 논의에서는 탈북 청소년을 돕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기술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workers at group home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making use of their own testimony and perspectives. Ten group home worker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method. The group home workers had initial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rapport with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due to their lack of a preexisting companion relationship experiences. However, as they began to better understand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hey began to create an alternative family relationship with them. It took approximately about one year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become adjusted to Korean society and South Korean people. The group home workers experienced financial difficulties and heavy workload, but found meaning in their work through helping and living with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hey recommended prospective group home workers should have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regarding both group home management and North Korean people and culture. This study also included a number of important policy recommendation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 SCOPUSKCI등재

        Methimazole 에 의한 무과립구증에서 과립구 집락촉진인자로 치험 1예

        김현,김현,이관우,정윤석,송민경,전희선,최소 대한내분비학회 1997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2 No.1

        A 31-year-old woman admitted because of fever, chilling and sore throat for 4 days. The symptom was developed after receiving methimazole 20mg per day and carteolol 10mg per day due to Graves disease during last 4 weeks.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hyperemic enlarged tonsils with whitish plaque. The peripheral blood total neutrophil count was 1,400/mm3(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36) and a peripheral blood smear revealed rare neutrophil with lymphocytosis. On the first day of hospitalization, the patient was severely ill with ANC 0, it was decided to administer G-CSF 2ug/kg daily. On the fifth day of hospitalization, ANC in peripheral blood count was persistently zero and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were performed, which revealed hypocellularity and myeloid hypoplasia. G-CSF given daily for 7days, it was discontinued when the ANC reached 1,539/mm3. The availability of G-CSF may help to shorten the course of agranulocytosis and to reduce its mortality rate. (J Kor Soc Endocrinol 12:68-74, 199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