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과 국내 항공사 운항승무원의 안전문화 인식도 비교

        김현덕 ( Kim Hyeon-deok ) 한국항행학회 202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7 No.4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항공 안전을 위하여 안전관리시스템을 항공 분야에 도입하게 되었으며, 안전관리시스템과 국가안전프로그램의 이행을 의무화하였다. 항공사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활성화는 조직 구성원들에게 단순히 필요한 규정을 만들고 그것을 지킬 것을 요구하는 차원이 아니라 비행안전을 도모하고 이를 향상하고자 하는 안전문화가 실질적으로 조직 내에 정착되어야 가능하다. 따라서 항공사의 안전문화는 안전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안전관리시스템의 주요한 핵심 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설문의 기초자료였던 유럽 조종사 안전문화의 인식도에서 나타난 자료와 국내 운항승무원의 안전문화 인식도에 대한 통계수치를 비교하여 두 집단 간의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항공사 안전문화에 대한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introduced a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aviation sector for aviation safety and mandated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national safety programs. The activation of the airline's safety management system is not just a requirement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create and comply with necessary regulations, but a safety culture to promote and improve flight safety must be established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e safety culture of airlines acts as a major key variable i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directly affects safety performance. This study compared the data from the European pilot safety culture awareness, which was the basic data of the survey, with statistics on the safety culture awareness of domestic flight attendant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afety culture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3차원 건물데이터 포맷 개선방안 연구

        김현덕(Kim, Hyeon Deok),강지훈(Kang, Ji Hun),김학준(Kim, Hak Jo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5 No.1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에서는 국가공간정보를 공개하여 국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와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오픈플랫폼은 실내와 실외의 공간정보 데이터가 상이한 형식과 저장구조로 구성되어 매끄럽게 연결된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서비스에 사용되는 3차원 데이터 포맷이 최근 서비스 환경의 변화와 신기술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픈플랫폼 3차원 데이터의 서비스 향상 및 상호운영성 확보를 위하여 서비스에 사용되는 3차원 데이터 포맷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포맷은 기존 포맷과 비교하여 경량화되었고 렌더링 속도가 개선되었다. On th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the national spatial data are released to provide services that the people can use freely. Recently, the demand for high quality 3D geospatial information an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s increasing. However, open platform is not able to provide seamless service because spatial data of indoor and outdoor are composed of different formats and storage structures. In addition, the 3D data format used in the current service does not reflect the recent changes in service environment and new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new format of 3D data used in service to improve interoperability and service of open platform 3D data. The proposed format is lighter than the existing format and the rendering speed is improved.

      • KCI등재

        비행 데이터 분석 기반의 불안정 접근 경감방안

        김현덕 ( Kim Hyeon Deok ) 한국항행학회 202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5 No.1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siation)의 운송용 항공기 사고 집계에 의하면, 사고 건의 61%가 비행의 접근 및 착륙단계에서 발생 되었으며, 이중 항공기의 불안정한 접근으로 인한 사고가 16%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조종사의 불안정한 접근 및 수정 조작 미흡에 따른 복행을 시행하지 않고, 무리하게 접근을 지속하여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식별되었다. 불안정 접근의 원인으로는 공항의 접근 절차, 조종사의 실수, 잘못된 계획, 업무 부하 (workload), ATC (Air Traffic Control) 혼잡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불안정 접근 이벤트가 반복해서 발생하는 국내의 사례 공항과 기종을 선정하여, 주요 발생 이벤트, 공항 접근 절차, 조종사의 조작 뿐만이 아니라 공항의 기상, 지리적 여건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비행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안정 접근 이벤트의 경향성과 발생 원인 및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제거하여 불안정 접근 이벤트의 경감조치 및 항행 안전 증진 방안 마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61% of the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approach and landing phase of the flight, with 16% of the accidents caused by unstable access of the commercial aircraft. It was identified that the pilot's unstable approach and poor manipulation of correction led to accidents by continuing the excessive approach without go-around manuever. The causes of unstable access may vary, including airport approach procedures, pilot error, misplanning, workload, ATC (Air Traffic Contol) congestion, etc. In this study, we use the flight data analysis system to select domestic case airports and aircraft type where unstable approach events occur repeatedly. Through flight data analysis, including main events, airport approach procedures, pilot operations, as well as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eather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t the airport. It aims to identify and eliminate the tendency of unstable approach events and the causes and risks of them to derive implications for mitigating unstable approach events and for developing navigation safety measures.

      • 사호다 츠루지 (佐保田鶴治) 의 요가관

        김현덕(Kim Hyeon Deok) 한국요가학회 2015 요가학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일본요가의 초기 지도자 중의 일인인 사호다 츠루지 (佐保田 鶴治, 1899~1986) 의 요가 수행체계를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요가의 역사를 간단히 개관하고 그와 정태혁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최초기 한국요가의 정체성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의도하였다.일본은 불교국가로서 불교적 요가의 시초를 헤이안 시대까지도 잡을 수 있지만 현대요가의 관점에서는 나카무라 텐푸우 (中村天風, 1876~1968) 와 오키 마사히로 (沖正弘, 1919~1985) 와 사호다 츠루지의 요가를 그 최초기의 형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이 밝힌 한 가지 사실은 일본에서는 ‘요가 (ヨガ) ’라는 용어와 ‘요-가 (ヨ-ガ) ’라는 용어가 혼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자는 나카무라 텐푸나 오키 마사히로가 주로 사용한 단어로 현대요가를 의미하고, 후자는 불교의 한문경전에 나오는 요가, 즉 ‘瑜伽’를 일어로 표기한 것이다. 그런데 사호다 츠루지는 현대요가를 ‘ヨ-ガ’로 표현하고 있는데, 오늘날 일본에서는 현대요가 역시 주로 ‘ヨ-ガ’로 표현되고 있다. 사호다는 자신의 요가관을 ‘요가선 (ヨ-ガ禅) ’이라고 형태로 구체화하였다. 구태여 선이라는 단어를 붙인 것은 기존의 일본의 현대요가가 주로 치병이나 미용에 치중되었던 것에 반하여 명상을 강조하는 수행체계 로서의 요가를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사호다의 요가선은 체조, 호흡법, 명상법을 3요소로 하고, 1) 가능한 한 천천히 신체동작을 조작한다, 2) 항상 동작과 호흡을 연동시킨다, 3) 동작을 행할 때는 의식을 항상 신체의 일부분이나 전체로 향하게 한다, 4) 동작을 통한 신체의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특히 이완을 더 중시 한다는 네 가지를 4원칙으로 한다. 또한 사호다는 한국 현대요가의 최초 도입자 중의 일인인 정태혁과 친분을 가지고 있었는데 두 인물이 언급하는 요가는 그 실천 방식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몸과 마음의 행복’을 추구하는 수단으로서의 ‘요가’라 는 이념적 측면에서는 동일한 사고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호다 츠루지나 오키 마사히로 등과 같은 일본의 현대요가 1세대들에 대한 고찰은 일본요가를 이해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한국요가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considers the yoga practice system of Sahoda Tsuruji who was one of early leaders of modern Japanese yoga. In this study, we give a outline of the history of modern Japanese yoga, and the relation between Sahoda Tsuruji and Jeong Taeyeok who was one of early innovator of modern Korean yoga.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study on the early identity of Korean modern yoga. The history of yoga in Japan would been gone back to the Heian period,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modern yoga, Nakamura Tenpu, Oki Masahiro, and Sahoda Tsuruji’s yoga styles could been seen as the earliest forms of Japanese yoga. This paper points the fact that Japanese use Yoga (ヨガ) mixed with Yo-ga .Yoga was mainly used by Nakamura Tenpu and Oki Masahiro, and Yo-ga was used as a translated word of yoga in Buddhist canon. Sahoda Tsuruji used Yo-ga, and now, it is Yo-ga that is mainly used in Japan. Sahoda called his yoga system as ‘Yo-ga zen’, the reason he added the term, ‘zen’ to yoga is that he emphasized the phase of meditation more than the cure effect or fitness of yoga Sahoda’s Yo-ga zen is made of three elements like as posture, breath technic, and meditation, and four principles, that is, slow moving of pos-ture, the harmony of posture and breath, the concentration of conscious-ness to moving point of body, and the repetition of tension and release. Sahoda was acquainted with Jeong Taeyeok who was one of early innovator of modern Korean yoga, though both had the difference of the specific way of yoga practice, but their idea to the essence of yoga is same. They thought that yoga is the practice system for not only the cure and fitness but also spirituality. We think that the consideration on the first generation of modern yoga in japan will be helpful to the study on the identity not only of Japanese yoga but also of Korean yoga.

      • KCI등재

        항로 비행 중 Uncommanded turn 이벤트 발생 분석 및 경감조치 방안 연구

        김현덕 ( Kim Hyeon Deok ) 한국항행학회 2020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4 No.6

        오늘날 항공기 항행에 있어서 자동조종장치와 FMS (flight management system)의 발전은 조종사들의 작업량감소와 항행 안전유지에 그 성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공항의 교통량이 많거나 표준계기 출발 절차 (SID; standard instrument departure)가 복잡한 항행의 경우에 자동조종장치와 FMS 장비의 효과는 더욱 크다. 하지만 일부 공항의 특정한 출발 절차에서 FMS의 오류로 인한 uncommanded turn 이벤트가 발생하여, 항공기가 항로의 중심선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출발 절차가 RNAV(area navigation) 운영이 요구됨으로,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수정 조작이 항로 편차(deviation)를 최소화하여, RNAV의 안전을 유지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와 관련하여 uncommanded turn 이벤트의 국내외 발생 현황을 기종별, 공항별, 비행 단계별로 조사하고 항공사의 uncommanded turn 이벤트 경감방안 분석을 통해 해당 이벤트의 더욱 근본적인 재발 방지대책 마련의 필요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autopilot system and flight management system (FMS) equipment in today's aircraft navigation can be attributed to the reduction of pilots' workload and the navigation safety. The effect of autopilot and FMS equipment is greater, especially in heavy airport traffic or complicated of the departure. However, some airport specific departure procedures result in an uncommanded turn event due to an error in the FMS, causing aircraft to deviate from the center line of the route. With most departure procedures requiring area navigation (RNAV) operation, pilot situation awareness and corrective action are the only ways to minimize aircraft deviation to maintain the safety of area navig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occurrence status of the uncommended turn event by aircraft type, airport and flight phase,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of foreign airlines and the airlines self-reduction plan with the aircraft manufacturer's corrective action, it is intended to give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more fundamental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of such events.

      • KCI등재

        국내 항공사 운항승무원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덕 ( Kim Hyeon Deok ),최연철 ( Choi Youn Chul ) 한국항행학회 202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7 No.6

        항공기 사고는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하여 생존 확률이 낮은 것이 특징이며, 주요 원인으로 규정 위반, 의사소통 등과 같은 인적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시스템의 활성화는 단순히 운항승무원에게 규정 준수를 강조하기보다는 스스로 안전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안전행동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이 중요한 핵심 변수이며, 잘 갖추어진 규정일지라도 안전문화, 안전분위기, 안전행동의 수준에 따라 그 효율성이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운항승무원의 안전문화 인식도 조사를 통하여 안전문화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공정문화와 자율보고는 활성화가 미흡하여 안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안전문화와 안전행동의 특성을 확인하여 안전관리시스템의 성과를 제고하고자 한다. Aircraft accidents are characterized by a low probability of survival compared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main causes appear to be human factors such as violation of regulations and communica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to prevent such accidents, an important key variable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afety culture and actively engage in safety behavior rather than simply emphasizing compliance with regulations to flight crew members. Even if there are well-established regulations, safety culture, The effectiveness varies depending on the safety atmosphere and level of safety behavior.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was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domestic flight crew members' awareness of safety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fair culture and self-reporting were not activated enough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fety behavior. We ai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by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 KCI등재

        L1/L2 이중-밴드 GPS 수신기용 RF 전단부 설계

        김현덕(Hyeon-Deok Kim),오태수(Tae-Soo Oh),전재완(Jae-Wan Jeon),김성균(Seong-Kyun Kim),김병성(Byung-Sung Kim) 한국전자파학회 201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1 No.10

        본 논문에서는 L1/L2 이중-밴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용 RF 전단부를 설계하였다. 수신기는 Low IF 구조이며, 인덕터를 사용하지 않는 광대역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와 이미지 제거를 위하여 다상 여과기(poly-phase filter)를 포함하는 quadrature 하향 변환 주파수 혼합기(quadrature down-conversion mixer) 및 전류 모드 논리(Current Mode Logic: CML) 주파수 분배기로 구성되어 있다. 저잡음 증폭기와 이미지 제거 주파수 혼합기는 높은 이득과 헤드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류 블리딩 기술을 이용하였으며, 광대역 입력 정합을 구현하기 위하여 공통 드레인 피드백을 이용하였다. 0.18 ㎛ CMOS 공정을 이용해 제작된 RF 전단부는 L1 밴드에서 38 ㏈ 그리고 L2 밴드에서 41 dB의 이득을 보이며, IIP3는 L1 밴드에서 ?29 ㏈m, L2 밴드에서는 ?33 ㏈m이다. 입력 정합은 50 ㎒에서 3 ㎓까지 ?10 ㏈ 이하를 만족하며, 잡음 지수(Noise Figure: NF)는 L1 밴드에서는 3.81㏈, L2 밴드에서는 3.71 ㏈를 보인다. 이미지 주파수 제거율은 36.5 ㏈이다. 설계된 RF 전단부의 칩 사이즈는 1.2×1.35 ㎟이다. The RF front-end for L1/L2 dual-band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receiver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RF front-end(down-converter) using low IF architecture consists of a wideband low noise amplifier(LNA), a current mode logic(CML) frequency divider and a I/Q down-conversion mixer with a poly-phase filter for image rejection. The current bleeding technique is used in the LNA and mixer to obtain the high gain and solve the head-room problem. The common drain feedback is adopted for low noise amplifier to achieve the wideband input matching without inductors. The fabricated RF front-end using 0.18㎛ CMOS process shows a gain of 38 ㏈ for L1 and 41 ㏈ for L2 band. The measured IIP3 is ?29 ㏈m in L1 band and ?33 ㏈m in L2 band, The input return loss is less than ?10 ㏈ from 50 ㎒ to 3 ㎓. The measured noise figure(NF) is 3.81 ㏈ for L1 band and 3.71 ㏈ for L2 band. The image rejection ratio is 36.5 ㏈. The chip size of RF front end is 1.2×1.35 ㎟.

      • KCI등재

        브이월드 데스크톱을 위한 대용량 공간정보 데이터 지원 방안 연구

        강지훈,김현덕,김정옥,Kang, Ji-Hun,Kim, Hyeon-Deok,Kim, Jung-Ok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5 지적과 국토정보 Vol.45 No.1

        최근 IT기술의 발달로 데이터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빅 데이터 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다양하고 방대한 빅데이터 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 분야에서도 대용량의 공간정보 데이터 서비스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대표적인 공간정보 데이터 서비스 기술을 살펴본 후, 국내의 대표적인 지도 소프트웨어인 브이월드 데스크톱에 적용 가능한 KML 포맷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할 방법과 도구를 검증하기 위해 대용량의 KML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인덱스 파일과 분할 파일들이 생성되어 브이월드 데스크톱에서 가시화 되었다. Recently, as the amount of data increases rapidly,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entered the 'Big Data' era, dealing with large-volume of data at once. In the spatial field, a spatial data service technology is required to use that various and big amount of data. In this study, firstly, we explained the technology of typical spatial information data services abroad, and then we have developed large KML data processing techniques those can be applied as KML format to VWorld desktop. The test was conducted using a large KML data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ment KML partitioned methods and tools. As a result, the index file and the divided files are produced and it was visible in VWorld desktop.

      • KCI등재

        개방형 공공데이터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Geo-Data Appliance 구현방안

        연성현,김현덕,이인수,Yeon, Sung-Hyun,Kim, Hyeon-Deok,Lee, In-Su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5 지적과 국토정보 Vol.45 No.2

        최근 국가에서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국정운영 패러다임인 '정부 3.0'에 근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데이터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체계 수립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간참조유형의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가진 공공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생산기관이 상이한 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공간데이터로 가공한 후 완제품 형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시스템의 구성요건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ctively opens the public data to encourage people to use it in private sector. It is based on 'Government 3.0' that is the paradigm for govern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is trend, a data platform is required for establishing and commercializing business models that utilizing geospatial data. However, it is currently insufficient to establish the geospatial data system using the text-based public open data. This study constructs a geospatial data supply system using the public data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nd using the public data of spatial reference type efficiently. It improves the accessibility of user and the usability to the public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ponents of the appliance system that connects the public data from different public institutions for different purposes with producing the geospatial data in the type of a finished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