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duy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or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 Leadership and Adhocracy Culture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김혁영(Hyuk-young Kim) 한국국제상학회 2019 國際商學 Vol.34 No.4

        본 연구는 수출제조기업의 생산자 리더십과 개발형 조직문화 간의 관계에서 지시자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생산자 리더십이 혁신적, 혹은 중개적 개발형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지시자 리더십의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은 생산자 리더십, 개발형 조직문화, 지시자 리더십의 3개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수출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500개의 조사대상표본에 기초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생산자 리더십과 개발형 조직문화 간의 관계에서 지시자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혁신적 개발형 조직문화와 중개적 개발형 조직문화의 경우에 생산자 리더십과 개발형 조직문화 간의 관계에서 지시자 리더십이 완전매개효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또한 개발형 조직문화의 경우에 생산자 리더십과 개발형 조직문화 간의 관계에서 지시자 리더십이 부분매개효과로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지시자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생산자 리더십이 개발형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함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높였으며, 또한 정책적, 혹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연구 분야에서 지시자 리더십 변수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or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 leadership and adhocracy culture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or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 leadership and adhocracy culture with innovator and broker using partial mediation and completed mediation model.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Conceptual research model is designed with producer leadership, director leadership, and adhocracy culture. Based on five hundred cases with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or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 leadership and adhocracy culture using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Results : In the case of adhocracy culture with innovator and broker, the completed mediating effect of director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 leadership and adhocracy culture were significantly showed. In the case of adhocracy cultu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irector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 leadership and adhocracy culture were significantly showed. Conclusions : By controlling for the mediating effect of director leadership, this study have improved the academic contributions as well a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study of producer leadership that affect adhocracy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means that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variables of director leadership were examined.

      • KCI등재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조직문화가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쟁가치모형(CVF)의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김혁영(KIm, Hyuk Young)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쟁가치모형(CVF)의 조직문화에 따른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조직문화가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함이다. 위계형 문화, 집단형 문화, 개발형 문화, 합리형 문화는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조직성과에 대한 대용변수로 사용하였고, 리드타임 단축, 유연성, 신속대응은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물류성과에 대한 대용변수로 사용하였다.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물류기업 중에서 개발형 문화를 가지고 있는 조직문화는 리드타임 단축에 가장 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 신속대응, 유연성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물류기업 중에서 합리형 문화를 가지고 있는 조직문화는 신속대응에 가장 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 리드타임 단축, 유연성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화주기업 중에서 위계형 문화를 가지고 있는 조직문화는 신속대응에 가장 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 리드타임 단축, 유연성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화주기업 중에서 집단형 문화를 가지고 있는 조직문화는 신속대응에 가장 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으로 유연성, 리드타임 단축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표본의 동질성, 조직문화와 물류성과의 변수측정, 부분 최소제곱(PLS)의 사용에 대해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의 연구에서 반영되어야 하겠다. This paper examined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logistics performance of logistics service provider and shipper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CVF). hierarchy, clan, adhocracy, and market culture were as proxy for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logistics service provider and shipper. leadtime reduction, flexibility, and quick response were as proxy for the logistics performance of logistics service provider and shipper.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the analysis of four hundred cases such as logistics service provider and shipp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in case of logistics service provider, adhocracy culture have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dtime reduction, followed by quick response and flexibility. Second, in case of logistics service provider, market culture have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quick response, followed by leadtime reduction and quick response. Third, in case of shipper, hierarchy culture have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quick response, followed by leadtime reduction and quick response. Fourth, in case of shipper, clan culture have the most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quick response, followed by quick response and leadtime reduction. Limitation such as data samples homogeniety, variables measurement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logistics performance, and using partial least suare (PLS) method and also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highlighted.

      • KCI등재

        Valid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ssessment Instru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Kim, Hyuk Young(김혁영),Park, Ki Gwan(박기관)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공공부문 여성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여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경쟁가치모형(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CVF)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경쟁가치지표(Competing Values Indicators, CVI)를 개발한 후에, 그 연구결과를 글로벌 연구로 확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조직문화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SEM (Structure Equation Modeling)이 얼마나 타당한 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CVF (Competing Values Framework) 설문지를 인용하여 348 여성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했다. 조직문화와 리더십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여성공무원들의 조직문화 중에서 위계문화가 단체문화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즉 공무원들의 조직 속에서 여성들은 공조직 문화 중에서 위계문화 (조정자 리더십, 감시자 리더십)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한국의 공조직들 중에서 그룹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즉, 공조직 중에서 단체문화에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공조직 여성의 리더십은 합리형 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셋째로, 위계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위계형 문화가 가장 가깝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합리형 문화라고 조사되었다. 이 조사의 결과는 조직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풀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경쟁가치모형(CVF)으로 도출된 여성리더십, 조직문화, 조직몰입의 하위변수들에 대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의 결과에 기초해서 학제간 연구로 공공부문의 경쟁가치지표를 개발해서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 Card, BSC)와 핵심성과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와 연계한 실증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공공부문 여성리더의 경쟁가치모형(CVF)에 대한 측정도구 개발, 연구모형의 타당성 검증, 조직문화의 매개효과검증, 일반화추정모형(GEE) 적용, 경쟁가치지수(Competing Values Indicators, CVI)의 연구결과가 석,박사학위논문과, 대학원 강좌에 개설됨으로써 조직행동론, 리더십이론,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가 심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ssessment instrumen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current paper fills this significant gap in the previous study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348 South Korean middle managers who completed the CVM instrument. The empirical resul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tyle was follows. First, among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hierarchic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group culture. Among public organizational cultures, hierarchical culture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group culture. This means that women belonging to Korean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at have hierarchical culture among public organizational cultures have characteristics of female leadership such as coordinator leadership and supervisory leadership. Second, among Korean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group culture had a negative effect on rational culture. Among public organizational cultures, group culture is negatively related to rational culture. This implies that women’s leadership of middle manager belonging to Korean public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ith group culture negatively influenced the organization’s atmosphere into a rational culture. Third, hierarchica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ration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of public organizational culture is closely related to rational culture.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inforce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organizational culture and women leadership by using CVF.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securing the homogeneity of the sample to be examined, and the use of parameters and control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