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육상 수조식 양식장 수질 환경의 통계적 분석

        김해란,정희택,Kim, Hae-Ran,Ceong, Hee-Tae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5 No.6

        본 연구는 양식장의 수질 환경 인자의 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 요약하여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의도와 주기적 교체가 필요한 용존산소 센서에 대한 비용 절감 차원에서 용존 산소 예측을 위한 다중 회귀 모형식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고흥 거금도에 위치한 두 양식장의 2008.11월~2009.1월 동절기 데이터의 상관성 분석에서 수온은 용존산소와 pH에서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고 pH는 염도와 용존산소에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2009년 금호수산 양식장의 수질인자에 대한 월별 통계량 값과 계절별 수질인자 간 차이를 표로 제시하였고 용존산소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 모형식을 개발하여 실제 관측치와 추정치와의 결과를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개발 된 다중 회귀식은 수온이 용존산소에 음의 영향을 주고 pH는 용존산소에 양의 영향을 준다. 또한 수온이 pH에 비해 용존산소 예측에 월등하게 큰 영향을 미치는 걸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actor scientifically and develop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predicting dissolved oxygen to save periodic replacement costs for dissolved oxygen sensor.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environmental data obtained from 2 different land-based fish farms of the Geogeum-do, Geheung-gun coastal area during the periods from November 2008 to January 2009 shows that water tempera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ssolved oxygen and pH butp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The information of Keumho fish farm in 2009 is presented by the tables which are monthly statistics of water quality factors and seasonable difference by the Duncan's post-test. Also we developed multiple regression model predicting dissolved oxygen, the usefulness of which was verified by the comparison graph between estimates and actual observations. The developed regression model shows that sea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give negative affect to dissolved oxygen while pH gives positive affect to it. Lastly the seawater temperature has much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pH factor.

      • KCI등재

        Ajax과 jQuery 기반 약용식물 정보시스템 구현

        김해란,강소영,정희택,한순희,Kim, Hae-Ran,Kang, So-Young,Ceong, Hee-Taek,Han, Soon-H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 통신에 의해 웹페이지를 다시 읽지 않고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Ajax 기술과 경량의 크로스 브라우저 라이브러리인 jQuery를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사항을 토대로 약용식물정보시스템을 구현했다. 또한 시스템 구현을 통해 체험한 응답 데이터 이용 방법을 코드로 제시하고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현시스템은 서버에서 간단한 데이터를 응답 받아 클라이언트 측에서 처리하고 DOM 트리 조작에 의한 웹페이지 변경으로 사용자 상호작용 및 반응속도 향상과 사용자에게 자료 접근 편리성을 제공한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medicinal pla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user requirement using Ajax technique which can retrieve data from the server asynchronously in the background without refresh webpage and jQuery which is a lightweight cross-browser javascript library. Also, we presented the source code handling the server response data used in the system and compared the features by the type of response data. This system shows the improvement of user interaction and response rates because of a simple response data from the server, client-side data processing and change of web page by manipulating the DOM tree and provides ease of use and convenient data access.

      • KCI등재

        RFID교육용시스템개발

        김해란,예성빈,전종찬,한창민,한순희,Kim, Hae-Ran,Ye, Seoung-Bin,Jun, Jong-Chan,Han, Chang-Min,Han, Soon-H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는 산업 현장이 아닌 교육현장에서 RFID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체험을 위주로 설계한 교육용 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으로, 교육생들의 참여와 흥미를 유도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RFID 교육용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에는 RFID tag&reader, 데이터베이스, 영상처리, 비주얼프로그램, 웹프로그램과 같은 IT 기술 등이 이용되었다. 또한 개발 시스템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앞으로 이 연구가 RFID 교육용 시스템의 한 틀로 제시되어 교육기관이나 산업체 등에서 RFID 이해 및 활용을 위한 기초 교육에 널리 활용되길 바란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development of RFID education system which is designed for experience use to understand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FID not in the industry but in the education field. We implemented the RFID education system on the basis of the design which is focused to induce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s of trainees. We applied technologies such as RFID tag reader, database, image processing, visual program and web program for this system. Also, we applied the system in the education field and checked an education quality from trainees. Thus, we expect that this study is a framework of RFID education system and is used widely for basic education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RFID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dustries.

      • 한국산 두릅나무과 식물의 종자형태학적 연구

        김건래 ( Geon Rae Kim ),김해란 ( Hae Ran Kim ),최형순 ( Hyung Soon Choi ),한진규 ( Jin Gyu Han ),김수영 ( Soo Young Kim ),김찬수 ( Chan Soo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두릅나무과 식물 7속 11종을 대상으로 종자의 외부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측정된 형질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석을 통해 종들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하였다. 종자의 형태적 특성 조사는 각 종의 종자를 20립씩 무작위 선별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미지분석시스템을 사용하여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형질은 종자 크기, 표면 무늬, 광택 유무 등 총 9개 항목이며 이를 이용해 수리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전체 변수들 중 제 1주성분과 제2주성분의 누적기여도는 67.77%이었으며,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에 의해 크게 Aralia속, Eleutherococcus속 그리고 나머지 기타 속 등 총 3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역시 3그룹으로 구분되어 주성분분석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가시오갈피는 섬오갈피나무와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최근 분자적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Dendropanax속은 Eleutherococcus속에 가깝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compa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of 11 species of Araliaceae, and to evaluate their possible use for taxonomic considerations. For light microscope observations and measurements, the seeds were observed using Image Analyzing System. The observations were made on twenty randomly selected seeds of each species. Obtain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indicated three groups of characters, the genera Aralia, Eleutherococcus and the others, which explained 67.77% of the total variation. As a results of Cluster Analysis using the nine variables, 11species of Araliaceae were also discriminated into three groups.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 sessiliflorum were closely related, which is well supported by the results from recent molecular studies. Also, the genera Dendropanax and Eleutherococcus were closely related in terms of seed characters.

      • 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이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해란(Hear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심사용 투고요령입니다.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심사용 투고요령입니다. 간호대학생이 성공적으로 대학생활에 적응하여 전문역량을 갖춘 전문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해 최근 인간의 개인 행동유형을 파악하여 유형에 따른 중재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DISC 행동유형이 간호대학생들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H대학 4학년에 재학중인 간호학과 학생들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DISC 행동유형 분석결과, 주도형 10.6%, 사교형 33.8%, 안정형 48.5%, 신중형 7.1%으로 나타났다. 지식과 임상수행능력 점수는 집단 간, 측정시점 간, 집단과 측정시점 간의 교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측점시점에 따른 지식 점수는 1차(F=4.51, p=0.31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차(F=3.44, p=0.018), 3차(F=2.1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수행능력 점수는 1차(F=3.69, p<.001), 2차(F=4.70, p=0.003), 3차(F=1.2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간호대학생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행동유형은 다양하고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교육과정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생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장점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C behavioral style on the 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ursing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university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015 to December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DISC behavioral style analysis showed that 10.6% were dominant, 33.8% were influence, and 48.5% were steadiness and 7.1% were conscientiousness. Knowledge score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points of DISC behavioral style did not show differences in the first, but did show differences in the second and third. Conversely, clinical performance score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ment points of DISC behavioral style showed difference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scor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between measurement points and between groups and measurement points. As a result, DISC behavioral styl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vary, with each having merits and demer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se points and to develop merit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SimBaby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김해란(Hae-Ran Kim),최은주(Eun-Ju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6

        간호 실무 능력의 개발을 위해서는 임상 환경에서의 지속적인 경험이 중요하지만 간호학생의 임상 경험의 기회는 줄어들었고 모든 학생들이 충분히 임상 경험을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성인대상의 간호 시나리오 개발이 주로 이루어졌고 아동대상의 시나리오 개발은 거의 없는 실정이여서 아동간호와 관련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학습내용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시나리오의 내용은 응급실 내원 발열환아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 적용 결과, 학생들은 실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업태도와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사례의 아동관련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아동간호와 관련된 실제와 유사한 임상 상황들을 학생들에게 적용한다면 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Nursing college students' continuous clinical experiences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development of their nursing competency. In reality, it is difficult all of students to have enough clinical experiences. We can think of simulation learning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is research attempted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of simulation scenario regarding pediatric nursing. We organized the contents focusing on nursing process. The application of simulation scenario show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nursing college students can supply high-quality nursing services to children and their families by developing and application of simulation scenario with various cases.

      • KCI등재

        플립드 러닝 기반 건강사정 교육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해란(Haeran Kim),김은정(Eunj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8

        본 연구는 플립드 러닝 기반 건강사정 교육이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반복측정을 이용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학생들이었다. 동일한 기간 동안 실험군에게 플립드 러닝 기반 수업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 전통적 강의와 팀학습 기반 수업을 제공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간평가에서 실험군(7.41±1.40)과 대조군(5.37±1.74)의 지식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8.42, p<.001), 기말평가에서도 실험군(8.06±1.43)과 대조군(6.93±1.90)의 지식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54, p<.001). 중간평가에서 실험군(8.28±1.04)과 대조군(6.07±0.53)의 수행능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17.28, p<.001), 기말평가에서도 실험군(9.25±0.48)과 대조군(7.76±0.68)의 수행능력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17.14, p<.001). 교육 종료 후 3차례 평가된 통합지식 점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다. 교육 종료 후 측정시점에 따른 통합지식 점수의 차이는 1차(t=4.38, p<.001)와 3차(t=2.40, p=.01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2차(t=0.87, p=.38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플립드 러닝은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다양한 간호학 교육영역에서 플립드 러닝의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based health assessment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nursing students attending second year at university. For 10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flipped learning-based classes,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traditional lectures and team learning-based classes. In the intermediate evaluatio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 the final evaluatio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grated knowledge score, evaluated three times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various nursing education area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식물공장에서 적색, 청색, 백색 및 원적색 LED 처리에 따른 고추냉이의 생육반응

        김해란(Hae Ran Kim),유영한(Young Han You)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4

        본 연구는 식물공장용 LED 챔버 시스템에서 고추냉이의 생육반응에 미치는 LED 광원 및 광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적색, 청색, 백색 그리고 원적색광의 단일 및 혼합처리, 적색광과 청색광의 비율 그리고 duty비 등을 다양하게 처리하여 수행하였다. 고추냉이의 생육반응은 적색 + 청색혼합광에서 가장 높았고, 단일광 조건에서는 청색광보다 적색광 하에서 식물체 생물량이 높았다. 고추냉이의 식물체 생물량과 분얼수는 적색과 청색광의 비율이 1:1인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적색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처리 시 고추냉이의 생육반응은 duty비가 100%일 때 높은 반면, 적색과 청색광에 백색광을 첨가하여 처리 하였을 때는 duty비가 가장 낮은 97%에서 높았다. 엽면적과 잎건중량은 적색광에서 가장 높은 반면, 비엽면적은 청색광에서 가장 높았다. 적색과 청색 혼합광에서 엽면적과 잎건중량은 적색광의 비율이 높거나, duty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백색광을 첨가한 조건에서는 duty비가 높을수록 증가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고추냉이는 단일광을 처리하는 것보다 적색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처리해 주거나, 청색광보다 적색광의 비율을 더 높여주는 것이 고추냉이의 생육 및 품질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optimum LED light source and quality for growth of Wasabia japonica seedlings in the LED chamber plant factory system. The light treatments were combined with four colors LED (red, blue, white, far-red), irradiation time ratio of the red and blue LED per minute(1:1, 2:1, 5:1, 10:1), and duty ratio of mixed light (100%, 99%, 97%). The growth response of W. japonica was the greatest in the R + B mixed light treatment, and seedlings grown in the red LED alone was higher than blue LED alone in the monochromic radiation treatments. In the R + B mixed LED, 1:1 ratio of R and B was the best for total biomass and tiller production. In mixed light treatments, the growth response of W. japonica was highest in the 100% duty ratio with R + B mixed light, while that was highest in the 97% duty ratio with R + B + W mixed l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were increased in the red light treatment alone, while specific leaf area was increased in the blue light alone. With the increasing red LED light ratio, leaf area and dry weight of W. japonic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the R + B mixed light treatment. In mixed light treatments, the leaf growth responses of W. japonica was highest in the 97% duty ratio with R+B mixed light, while that was highest in the 100% duty ratio with R + B + W mixed light. For cultivating W. japonica in a plant factory, treating red LED supplemented with a blue light or higher ratio of the red to blue LED was benefit to promote the growth of W. japonic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