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데이터베이스 구축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사례

        김한용,Kim, Han-Yong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4 디지털콘텐츠 Vol.3 No.-

        데이터베이스지식정보시스템 DBGuide.net이 1년여라는 준비기간을 거쳐 드디어 오픈됐다. 모든 사이트들이 그러하듯 DBGuide.net 역시 개발 과정에서 크고 작은 우여곡절을 겪었고 그 가운데에는 프로젝트를 접어야 할 지도 모를 만큼 중대한 사건도 있었다. 그러한 우여곡절과 고군분투 끝에 사이트 개발은 어느 정도 마무리됐지만, 정작 운영과 운영 기획 또한 만만치 않은 일이었다. 공공기관 사이트의 운영은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일반 민간기업과는 또 다른 문제들이 도사리고 있기 마련이다. 이 글에서 그러한 문제들을 모두 밝히기는 어렵겠지만 몇 가지 예를 들며 공공기관 프로젝트와 DBGuide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 SCOPUSKCI등재

        말초동맥질환의 외과적치료 -55예의 임상분석-

        김한용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4 No.12

        This report is a review of 55 cases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who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Masan Koryo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1990. The result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were as follows that : Arterial injury was in 21 cases(38.2%), arteriosclerosis oblitrans 18cases(32.7%), thromboembolism 9cases(16.4%), Buerger's disease was in 7cases(12.7%). 2. Overall male to female ratio was 6.8 : 1, the prevalent age was 3rd and 4th decade in arterial injury, 7th and 8th decade in atherosclerosis and thromboembolism and 5th and 6th decade in Buerger's disease. 3. The farmer was the first ranked occupation of these patients with chronic occlusive arterial disease, which was composed of 17 cases (68%). 4. 23 cases of patients with chronic occlusive disease has been smoking and most of them have been smoking over 10 years. 5. The clinical symptoms in acute and chronic arterial obstruction were pain, claudication, gangrene and coldness in order. 6. The duration of symptom of chronic arterial occlusive disease was less 1 years in 15 cases(60%). 7. The lower extremity were more affected than upper extremity in peripheral arterial disease. 8. The cause of arterial injury was traffic accident 9 cases(42.9%) stab wound 8 cases (38.1%), postangiography 2 cases(9.5%) and belt injury 1 case. 9. The etiologic factors of acute arterial occlusion was arterial fibrillation myocardial ischemia and postangiography in order. 10. Lumber sympathectomy in Buerger's disease, artificial bypass graft in atherosclerosis and thromboembolctomy in thromboembolism, end to end with vein graft in arterial injury were performed frequently. 11. Conclusively overall result was satis factory but 3 cases was below knee amputated after operation of chronic arterial occlusive disease.

      • KCI등재

        Geospatial Delineation of South Korea for Adjusted Barley Cultivation under Changing Climate

        김한용,고종한,정승택,김준환,이변우 한국작물학회 2017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0 No.5

        Determining effective measures to allevi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crops under various regional environments is one of the most urgent issues facing agriculture. In this study, geographic regions of South Korea for future-adjusted barley cultivation were outlined 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barley production in the next 100 years was evaluated under two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trajectory scenarios: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4.5 and RCP 8.5. To achieve our intended study goals, a geospatial crop simulation modeling (GCSM) scheme was formulated using CERES-barley model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icultural Technology (DSSAT) crop model package version 4.6 to simulate grid-based geospatial crop yields.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an open field to obtain model coefficients for the nation and at temperature gradient field chambe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CERES-barley model under 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s. Suitable cultivation regions for three different types of barley (naked, hooded, and malting) under changing climate were projected to expand to the northern regions under both RCP 8.5 and RCP 4.5. However, they were projected to expand more rapidly under RCP 8.5 than those under RCP 4.5. Projected yields of four barley varieties were increased with a slow phase as year progressed under RCP 4.5 scenario. However, they were rapidly increased under RCP 8.5 scenario. It appears that geospatial variation in barley yield under changing climate can be effectively outlined. Therefore, GCSM system might be useful for determining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geospatial variations of crops, potentially providing means to impede food insecurity.

      • KCI등재

        식도천공의 외과적 치료

        김한용,박재홍,최창석,김대환,황상원,유병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3

        배경: 식도천공은 비교적 흔하지 않지만,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나타낸다. 치료와 결과는 증상의 시간에 따라 크게 결정된다. 저자들은 식도천공 환자들을 최근의 치료방법으로 치료하여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식도 파열로 치료한 환자들을 후향적 분석하였다. 28명 환자들에서(남자 22명, 여자 6명: 평균나이 51세, 최소 17세에서 최고 82세) 천공의 원인을 보면 이물질 9명, 외상 7명, 자연적 파열 7명, 의인성 5명이었다. 환자중 18명은 24시간 내 진단되었으며, 10명은 24시간 이후에 진단되었다. 21명(75%)에서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며, 4명에서는 식도 절제술, 3명의 환자에서는 위루술과 배농술를 시행하였다. 결과: 병원 사망률은 18%이며, 그리고 의인성에서 사망률이 증가하였다(p<0.05). 천공위치, 천공 후 시간, 치료방법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수술 후 누출은 4명의 환자에서 생겼으며,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이 되었다. 결론: 식도 파열은 진단과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아직도 위험한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의 발현시간에 관계없이 일차 재건술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정확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식도파열 환자들의 성공적인 치료에 필수적이다.

      • KCI등재

        늑골골절 환자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 분석

        김한용,김명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3

        배경: 흉부외상은 개발도상국인 나라에서 이환율과 사망률의 가장 많은 원인 중에 하나이다. 흉부둔상으로 발생하는 늑골골절은 외상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연구의 목적은 늑골 골절을 치료시 이환율과 사망률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입원 후 3일 이내 타 병원으로 전원을 간 환자를 제외한 둔상으로 인한 늑골골절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기간 동안 474명이 입원하였고, 454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남자가 356명 여자가 9명이었고 평균나이는 53세(5∼90세)였다. 결과를 예측하는 요소로 손상기전, 늑골 골절수, 중환자실 입원기간 그리고 ISS, 입원기간, 폐 합병증과 사망률을 조사 하였다. 결과: 외상의 기전으로 교통사고 189명(41.7%), 보행 중 넘어짐 103명(22.7%), 추락 85명(18.7%) 그리고 농기계 사고 30명(6.6%), 산업재해 32명(7.0%), 폭행 15명(3.3%)였다. 흉부내 손상으로 혈흉 269명(59.3%), 기흉 144명(31.7%) 폐좌상 95명(20.9%) 그리고 피하기종 29명(6.4%), 큰 혈관손상 5명(0.1%)이 있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보존적인 치료를 하였고, 흉관 삽관술 시행은 234명(51.5%)이었으며, 개흉술은 18명(4.0%)이었다. 평균 흉관삽관 기간은 5.2±6.2일이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일반 병동에서 치료를 하였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22.5±20일이었다. 평균 ISS 수치는 14.8±10.9 (3∼75)였고 사망률은 4.9% (22명)였다. 입원기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늑골골절 수, 흉관삽관 기간, 폐질환 동반 그리고 산재보험 이었고,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폐좌상, ISS가 예후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결론: 늑골 골절은 중증손상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합병증과 동반된 손상 때문에 늑골골절 환자들은 입원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최근의 연구에서 40대 이하의 젊은 환자도 노년층의 환자와 같이 늑골골절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이 증가 한다고 한다. 우리의 연구에서는 ISS와 페좌상이 사망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 늑골골절이 1개 또는 이상인 늑골 골절만 있는 환자도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 한다. Background: Thoracic trauma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A rib fracture that is secondary to blunt thoracic trauma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severity of the trauma.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and the management of rib fractures. Material and Method: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volved all the blunt trauma patients with rib fractures, excluding those that were transferred to other hospital within 3 days, that were seen at our hospital between May 2002 and December 2008. Of the 474 admitted patients, 454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re were 356 male and 98 females, and their overall mean age was 53 years (range: 5∼90 years). The outcome parameters included the mechanism of injury, the number of fractured ribs, the length of stay in the ICU, the Injury Severity Score (ISS), the length of the hospital stay, the pulmonary complications and the mortality. Result: The mechanism of trauma included traffic accidents in 189 (41.7%) cases, slipping down in 103 (22.7%) cases, falls in 85 (18.7%) cases, cultivator accidents in 30 (6.6%) cases, industrial accidents in 32 (7.0%) cases and assault in 15 (3.3%) cases. Intrathoracic injury was noted such as hemothorax in 269 (59.3%) cases, pneumothorax in 144 (31.7%) cases, pulmonary contusion in 95 (20.9%) cases, subcutaneous emphysema in 29 (6.4%) cases and great vessel injury in 5 (0.1%) cases. Conservative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most of the patients. Tube thoracostomy was administered in 234 (51.5%) cases, whereas thoracotomy was performed in 18 (4.0%) cases. The mean duration of thoracostomy was 5.2±6.2 days. Most of the cases with rib fracture were treated in wards and their mean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22.5±20 days. The mean Injury Severity Score (ISS) was 14.8±10.9 (range: 3∼75). The mortality rate was calculated to be 4.8% (n=22). The main factors correlated with an adverse outcome were the number of ribs fractured, the duration of thoracostomy and pulmonary disease. Industrial insurance affected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Pulmonary contusion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ISS) affected the mortality. Conclusion: Rib fractures are a indicator of severe injury. Because of the complication and associated injuries, we believe these patients should be admitted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Recent studies on the impact of rib fractures after blunt trauma have shown that patients as young as 40 years of age demonstrate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with similar injuries as compared to that of older patients. The ISS and pulmonary contusion influenced the mortality rate. Patients with isolated rib fractures should be hospitalized if the number of fractured ribs is one or more.

      • KCI등재
      • KCI등재

        불균형적인 이항 자료 분석을 위한 샘플링 알고리즘들: 성능비교 및 주의점

        김한용,이우주,Kim, HanYong,Lee, Woojoo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5

        파산감지, 스팸메일 감지, 불량품 감지 등 일상생활에서 불균형적인 이항 분류 문제를 다양하게 접할 수 있다. 반응변수의 클래스의 비율이 상당히 불균형한 경우 이항 분류 모형의 예측 성능이 좋지 않다는 점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동안 오버 샘플링, 언더 샘플링, SMOTE와 같은 여러 샘플링 기법이 개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분류 모형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계학습모형으로 로지스틱 회귀모형, Lasso, 랜덤포레스트, 부스팅, 서포트 벡터 머신을 위의 샘플링 기법들과 결합하여 사용했을 때의 예측 성능을 살펴보았다. 실질적인 예측 성능의 개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네 개의 실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샘플링 방법이 사용될 때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Various imbalanced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s exist such as fraud detection in banking operations, detecting spam mail and predicting defective products. Several sampling methods such as over sampling, under sampling, SMOTE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poor prediction performance of binary classifiers when the proportion of one group is dominan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several sampling methods such as over-sampling, under-sampling, SMOTE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prediction performance of logistic regression, Lasso, random forest, boosting and support vector machine in combination with the sampling methods for binary imbalanced data. Four real data sets are analyzed to see if there is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prediction performance. We also emphasize some precautions when the sampling methods are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