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치 유튜버의 공신력 속성이 콘텐츠 태도와 유권자의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하나,Kim, Hana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of political youtubers on attitude toward contents and politicians/political party and political decision making. The total number of 326 responses from online survey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 that three factors of source credibility, similarity, charisma, and expertis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political contents on youtub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Five attributes of source credibility, familiarity, charisma, similarity, attractiveness, and trustworthiness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political youtube contents and politicians/political parties. Furthermore, attitude toward contents and politicians/political parties significantly increased voting intention to politicians/political parties.
김하나,송영옥,이지현,Kim, Hana,Song, Yeong Ok,Lee, Jeehyu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3
Sujeonggwa is a popular Korean traditional beverage. However, consumers only prepare it at home on special occasions due to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Developing a convenient form of Sujeonggwa may promote its consump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develop Sujeonggwa in a tea bag using different sweeteners and 2)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Sujeonggwa's flavor in tea bag samples and 3) determine how well consumers accept the tea bag samples. A total of four types of Sujeonggwa in a tea bag were developed: two samples with varying amount of sugar, another sample using sugar and stevia and the last sample using sugar and short chain fructo-oligosaccharide as a sweetener. A commercial ginger tea and cinnamon tea were used as control products.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ame six samples and a descriptive panel identified its attributes. A total of 61 consumers evaluated acceptability using a nine-point hedonic scale and how they felt about intensities of the samples using a just-about-righ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s liked Sujeonggwa samples in a tea bag more than commercial ginger tea and cinnamon tea.
CLT APT ACTION PLAN, 공학목재를 활용한 1인가구 공공임대주택건설
김하나 ( Hana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2
본 연구는 서울에 고층 목조 아파트 건립(10층 이상)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모색하고, 사업성립의 조건과 목표 등을 분명히 함으로써 사업공급자가 의사결정에 있어 보다 명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층 목조 아파트 건립공사를 추진하면서 효율적인 시행 과정과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목구조로 조성된 공동주택, 아파트를 구축할 수 있게, 가상의 대지(서울시 강서구 방화동 168-10번지 외 5필지)에 관계법규를 검토하여 배치계획하고, 기본 구조 계획을 통하여 동일한 규모의 아파트 (총면적 2,769평)를 RC구조로 건립할 때와 CLT 중목구조로 건립할 때의 추정공사비, 공기, 시공 난이도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아울러 설계기준을 검토하고 합리적인 시공방법을 모색한다. 관련 법규 및 제도개선 사항을 도출하였다. 향후 고층 목조 아파트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관련하여 실행 가능한 사업모델을 제안한다.
PDP에서 벽전압 손실이 어드레스 방전 지연 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하나(Hana Kim),김태식(Taesik Kim),신범재(Bhumjae Shi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월
본 논문에서는 어드레스 구간에서 벽전압 손실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분석하고, 특히 어드레스 구간에서 각 전극 간의 다양한 전위 조건이 어드레스 방전 지연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벽전압 손실은 전극간의 셀 전압이 동시 방전점에서 비방전 영역으로 이동한 조건에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전극간의 셀 전압이 방전 개시 전압의 조건에서는 큰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XY 전극간의 전위조건에 의한 벽전압 손실보다는 AY 전극간의 진위 조건에 의한 벽전압 손실이 어드레스 방전 지연 시간 특성을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김하나(HaNa Kim),이지호(JiHo Lee),이지영(JiYoung Lee)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2
색채는 인간이 정보를 지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많은 경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색채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인간의 시각체계가 모두 동일하다는 기본적인 생각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에 색채를 인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인 고령자나 색각이상자를 배려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선진국의 경우에는 공공디자인이나 공공문화서비스 진행 시 고령자나 색각이상자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여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색각이상자를 배려한 색채 사용 등 컬러유니버설에 대한 문제 해결 및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색각이상자들을 위한 색채변환기술의 색채변환기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색각이상자들을 위한 색채변환기술에 적용될 색채변환 기준 마련을 위해 색각이상 유형별 웹 컬러팔레트 DB를 구축하였으며, 색각이상자들의 색채지각 특성을 연구하여 색채의 3속성 중 색상(Hue)을 지각하는 데 있어서 정상인과 다름으로 인해 생기게 되는 ‘동적/정적’과 ‘선명한/칙칙한’ 느낌에 대한 왜곡을 명도와 채도를 보정함으로써 색상대비 대신 명도와 채도의 대비를 이용하는 배색모델을 제시하여 색채변환기술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색채변환 시 색각이상 정도에 따라 변화량에 차이가 있도록 하였으며, 색채변환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This information to a human perception of color is a critical role. Therefor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ppropriately using the chromatic information to be delivered. In most cases, however, the basic idea is the human visual system is the same for both. Thus, it is extremely rare case that is care about the elderly and color blindness who difficulty in recognizing colors.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car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mandates the Universal Design. In the case of Korea, the problem solving and research for Color Universal is insufficient. Thus, for improvements such as, color conversion based study was conducted on. Applied to raise standards of color conversion technology for color vision defectives, each type of color vision was to build a web color palette DB. Through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of color vision defectives, we learned "Hue" of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was caused different feel to the normal "dynamic / static" and "vivid / dull" feeling. By correcting the Value and Saturation, using contrast of Value and Saturation instead of Hue contrast, a color model is propo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lor change over the conversion of color vision defectives so that there was a difference, the color conversion is proposed standards.
노화에 따른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행력 및 작업기억과의 상관관계 연구
김하나(Kim, Hana),성지은(Sung, Jee Eu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이야기 과제유형 및 이야기 단계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의 연속발화를 정보 단위(Information Unit, 이하 IU)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이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야기 과제는 한국인에게 친숙한 전래동화 두 가지를 이용하였으며, 하나는 원작이야기를 그대로 이용하고 하나는 수정을 하여 변형된 이야기를 사용하였다. 이야기 과제는 기, 승, 전, 결의 단계에 맞추어 구성하였다. 삼원혼합분산분석 결과,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IU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수정된 이야기에서 원작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았다. 또한, 이야기 단계에 대한 주효과 및 이야기 유형과 단계에 따른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과 작업기억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년층은 원작이야기 과제에서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digit backward), 단어 바로 따라말하기(word forward)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노년층은 수정이야기 과제에서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IU가 노년층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수행력을 살펴보는데, 유용한 임상적 평가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정된 이야기에서 대상자들이 더욱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정이야기 회상할 때 방해요소가 이전의 지식을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노년층의 작업기억이 떨어질수록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ge-related changes in story retelling procedures and their relation to working memory (WM) capacity. A total of 43 normal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2 of young adults and 21 elderly adults. The task consisted of two short stories. One is a well-known Korean folk tale, The Story of Shim Cheong, and the other is a modified version of a well-known Korean folk tale, Kong-Jwi Pat-Jwi. Both stories have four stages: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a three-way mixed ANOVA was performed with the group as a between-subject factor and the type and the stage of story as within-subject factor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the group, type of story, and stage of story.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and the stage of story was significant. Interaction contrasts as post-hoc analyses were performed, indicating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tage KI and Seung and the performance of the Stage Seung and Je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tory.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suggested that digit backward and word forwar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nt IU in the original story task for the young group, whereas only the digit backwar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the modified story task for the elderly group. The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elderly adults performed significantly worse on story retelling procedures than the younger group, and the type of story differentially affected the stage of the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