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거리 가중치와 지역적 패턴을 고려한 적응적 선형보간법

        김태양,전영균,정제창,Kim, Tae-Yang,Jeon, Yeong-Gyun,Jeong, Je-Chang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12C

        영상 보간은 영상 처리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많이 연구되어 왔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보간 능력과 계산 복잡도를 갖는 보간법들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선형 보간법을 위한 새로운 거리 가중치 개념과 보간되는 값의 상하, 좌우 지역적 패턴을 고려하여 반영하는 적응적 선형 보간법(New Adaptive Linear Interpolation : NAL Interpolation)을 제안한다. 새로운 거리 가중치는 기존의 거리에 선형적으로 비례하는 가중치의 개념에서 벗어나 가까운 화소에 더욱 더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이용하여 거리 가중치를 2차, 3차 다항식으로 개선한 것이다. 또한 NAL 보간법은 보간되는 화소의 상하, 좌우 패턴을 고려하는 선형 보간법으로 MF(magnification factor)의 변화에 따라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쉽게 얻기 위해서 보간하기 전 MF에 따라 패턴을 반영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패턴 가중치를 이용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된 보간법은 계산 복잡도 면에서 기존의 bicubic 보간법 보다 훨씬 간단할 뿐만 아니라 더 좋은 PSNR(peak signal-to-noise ratio)를 갖고 보다 선명한 화질의 영상으로 보간하였다. Image interpolation has been widely used and studied in the various fields of image processing. There are many approaches of varying complexity and robustness. In this paper, a new distance weight is proposed for the conventional linear interpo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linear weight, the new distance weight uses a quadratic or cubic polynomial equation to reflect that the interpolated value should be influenced more by the value of closer pixels in an input image. In this paper, the new adaptive linear (NAL) interpolation, which considers patterns near the interpolated value, is also proposed. This algorithm requires a pattern weight, which is used to determine the ratio of reflection on local patterns, to obtain an interpolated image that exhibits better quality at various magnification factors (MF). In the computer simulation, not only did the NAL interpolation exhibit much lower computational complexity than conventional bicubic interpolation, it also improved peak signal-to-noise ratios (PSNR).

      • KCI우수등재

        지역 특성을 고려한 국내 자전거 사고 분석

        김태양,박병호,KIM, Tae Yang,PARK, Byung Ho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cidents of green mode bicycle.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ave special emphasis on modeling the bicycle accidents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 number of accident and ratio of serious injury and fatality (FSI) were the same over regions were rejected. Second, as the common variables, the number of bicycle was judged to have positive (+) impact to the accidents and the bicycle using ratio was inferred to increase the ratio of FSI. Third,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among 3 factors which gave impact to the accidents of Si_A (city-county consolidation) was concluded to have the greatest elasticity. The developed area ratio between 2 factors in Si_B (city which is not consolidated) was, however, estimated to have the higher elasticity. Fourth, the number of car registration among 5 accident factors of Gun (county) was analyzed to have the greatest elasticity. Finally, the commuting trip ratio among 7 accident factors of Gu (district) was judged to have the greatest elasticity.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regional policy-making related to bicycle. 본 연구는 녹색교통수단인 자전거의 교통사고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별 특성에 근거한 자전거 사고모형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전거 사고건수와 중상이상 사고비율이 지역별로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이 기각되었다. 둘째, 각 지역 공통으로 자전거보유대수는 사고건수 증가, 그리고 자전거이용률은 중상이상 사고비율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통합시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3개 요인 중 고령인구비율의 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일반시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2개 요인 중 시가화면적비율의 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군의 5개 사고 요인 중 자동차보유대수의 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구의 7개 사고 요인 중 출근통행률의 탄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 단위 자전거 안전대책 수립에 몇 가지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가산자료 모형을 이용한 국내 원형교차로 유형별 교통사고 분석

        김태양,이민영,박병호,Kim, Tae Yang,Lee, Min Yeong,Park, Byung Ho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5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traffic accident models by circular intersection type using count data model. The number of accident, the number of fatal and injured persons(FSI), and EPDO are calculated from the traffic accident data of TAAS. The circular intersection accident models are developed through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FSI and EPDO by type of circular intersections are rejected. Second, the scale of intersection(median, large), number of approach road, mean width and length of exit road, area of the circulating roadway and central island are select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FSI and EPDO in rotary. Third, the scale of intersection(median), guide signs(limited speed, direction, roundabout), number of approach road, entry angle, area of the intersection and central island are adopt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FSI and EPDO in roundabout. Finally, transferring from rotary to roundabout could be expected to make the accident decrease.

      • KCI등재

        스마트폰 기종과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자의 사용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김태양 ( Tae Yang Kim ),신동희 ( Dong Hee Shin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3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사용 동기와 만족에 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설문지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이용과 충족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이용 동기요인과 충족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이용동기에 따른 충족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기종의 차이에 따른 사용자들의 충족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이용 동기들로는 빠른 접속성, 오락성, 사회적 지위, 휴대성, 문제 해결성 등 다양한 동기요인들이 추출 되었다. 충족요인으로는 오락적인 요소, 사회적 동질감 및 경험, 신속한 정보 검색, 생활의 유용성, 기기사용의 편리성의 다섯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그 중 스마트폰 이용에 있어서 오락적인 부분과 사회적 동질감이 사용자에게 가장 많은 충족을 주는 요소로 추출된 점은 스마트폰 관련 소프트웨어 산업이 눈여겨 볼만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 동기 5가지 중 사용자의 충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오락/사회/유용/신속성/휴대성이 도출 되었다. 스마트폰 기종 차이에 따른 사용자들의 충족수준은 차이가 있지만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이 기기로서 가지고 있는 하드웨어적 특징들 보다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기타 소프트웨어적 활용 요소들이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중요한 동기요소이자 만족요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martphone users` motivation and gratification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eory of uses and gratification, it explored the factors of motives and gratification of smartphone uses. Als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motives and the level of gratification. Lastly, th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gratification between the kinds of smartphones were investigated such as andorid-based smartphone or iphone. Analytic findings identified five motives: accessibility, entertainment, social status, portability, and problem-solving capacity. As for the factors of gratification, five factors such as entertainment, social homogeneity, quick information search, usefulness, and convenience were identified. It is notable that entertainment and social homogeneity were the first gratification factors. Also, among five using motives, influential orders were entertainment, social, usefulness, quickness. Touching technology or portability did not fit to the level of gratification. Lastly, the level of gratifica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martphone, but the differences were marginal. Overall, the merit of smartphone as a device seems to lead users to feel gratification from using their smartpho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for smartphone market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smart services are recommended accordingly.

      • KCI등재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오픈소스 SW의 프로슈머 마케팅 연구

        김태양(Tae-Yang Kim),신동희(Dong-Hee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본 연구는 오픈소스SW의 기술적 접근이 아닌 개발자와 소비자들이 함께 참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소셜플랫폼을 활용한 프로슈머(Prosumer)마케팅의 관점에서 OSS의 마케팅연구에 기여점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OSS의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활성화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OSS의 프로슈머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최종적으로 소셜 미디어 플랫폼 사용자들의 OSS에 대한 충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활성화 요인들 중 커뮤니티의 콘텐츠, 고객지원, UI, 그리고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유/무상의 보상이 OSS 소셜 미디어 플랫폼 활성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브랜드의 명성은 OSS 소셜 미디어 플랫폼 활성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SS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활성화가 OSS의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변하는 ICT 생태계에서 OSS 비즈니스의 새로운 해법으로서 소셜플랫폼기반 프로슈머 마케팅이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interest on the Open Source Software(OSS) has been increasing as the Microsoft"s latest Windows XP support ended. In this light trend,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OSS marketing area. Specifically, it examined that the activation of online brand community about the OSS can affect to prosumer marketing of the OSS utilizing social media platform. In addition, the OSS social media platform users' loyalty for the OSS was investigated. The findings show that content, consumer support, UI, and reward among the activate factors of online brand community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activation of OSS social media platform. The brand reputation, however, was found insignificant to the activation of OSS social media platform.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 OSS social media platform can positively affect to their loyalty for the OSS. It means that participation to the social media activities about OSS and interaction with others in the network can help to form positive attitude for the OSS. In conclusion, the prosumer marketing utilizing social platform can be an important strategy as a new solution of the OSS business in the rapidly changing ICT ecosystem environment.

      • KCI등재

        고령화 수준별 교통사고 심각성 분석

        김태양 ( Tae Yang Kim ),박병호 ( Byung Ho Park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8 한국안전학회지 Vol.33 No.4

        Korea has entered to ‘aged society’, which the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is over 14% of total populat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raffic accident by aging level. In pursuing the above, this paper focuses on modeling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based on three aging leve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fatal and serious injured persons (FSI) is judged to increase according to increasing aging level. Second,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FSI among three aging levels (aging, aged, and super-aged) is rejected. Four accident severity generalized linear models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have been developed. Third, the common variables are analyzed to be median age,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er persons, and turn signal usage ratio. Fourth, the differentiated traffic safety policies fitted to aging levels are required. The enforcement of traffic law violation and safety enhancement of motorcycle in the region of ‘aging society’, improvement of traffic facilities in the region of ‘aged society’, and expansion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region of ‘super-aged society’ are evaluated to be indispensable.

      •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사고당사자별 심각도 분석

        김태양 ( Kim Tae Yang ),박병호 ( Park Byung Ho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7 建設技術論文集 Vol.36 No.2

        자전거와 오토바이를 통칭하여 일컫는 용어인 이륜차는, 단거리 이동의 중요한 교통수단 및 여가선용을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청주시에서 발생한 이륜차 사고 총 4,412건을 조사한 결과, 전체 사고에서 이륜차의 종류별로 가해·피해차량의 여부 및 상해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연구는 통합 청주시를 중심으로 자전거 및 오토바이의 사고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자전거 및 오토바이의 사고당사자별로 심각도에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이 자전거 사고에서는 기각되지만, 오토바이 사고에서는 기각되지 않는다. 둘째, 자전거의 사고당사자별 심각도 모형의 공통 변수에는 비도시지역 구분, 측면 충돌, 그리고 상대차량(승용차·중차량) 및 운전자 연령대(청소년·고령자)가 채택된다. 또한 피해자 모형에서는 인적 요인 중심의 변수, 그리고 가해자 모형에서는 사고 요인 중심으로 변수가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심각도 모형 공통 변수에는 비도시지역 구분, 충돌 유형(차대사람·측면충돌·차량단독), 상대차량(중차량), 그리고 운전자 연령대(고령자)가 채택된다.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사고심각도는 일반 차량에 비해 높기 때문에, 관련 법령의 정비 및 적극적인 교통단속으로 이륜차 운전자들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이륜차의 사고에 대한 개선대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with the accident severity of bicycle and motorcycle in Cheongju. Accident severity of bicycle and motorcycle are evaluated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ccident party involv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severity of bicycle accident are the same over accident party (offender and victim) is rejected, the preceding null hypothesis of motorcycle accident is, however, not rejected. Second, in bicycle offender and victim severity models, 6 common factors influencing to the accident severity are adopted. Therefore, the safer cycling training strategies are required. Finally, in bicycle and motorcycle severity models, 7 common factors influencing to the accident severity are selected. Therefore, the traffic enforcement measures related to two models should be strengthened.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utilize as a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to reduce the accidents.

      • KCI우수등재
      • 자전거 및 오토바이의 사고심각도 요인 분석

        김태양(Kim, Tae Yang),박병호(Park, Byung 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7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with the accident severity of bicycle and motorcycle in Cheongju. Accident severity of bicycle and motorcycle are determined to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accident involv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es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everity of bicycle accidents by accident party, but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at of motorcycles. Second, the intersection type, road type, accident time, and the age of injured driver are adopted as the common variables in the model of the accident vehicle. Finally, the accident time, the age of injured driver are adopted as the common variables in the model of accident victims. Based on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utilize as a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ning to reducer bicycle and motorcycle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