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배움 및 학습자를 우선시하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비에스타(G. Biesta)의 상호주관성 논의를 중심으로

        김한길 ( Kim Han-gil ),김천기 ( Kim Cheon-gi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배움과 학습자를 우선시한 유럽의 교육개혁 담론에 대해 상호주관성의 관점에서 비판을 가했던 비에스타의 논의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우리나라 혁신학교의 배움 중심 담론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세 가지 연구문제로는 첫째, 비에스타가 유럽의 교육개혁 담론을 비판한 배경과 비판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가? 둘째, 배움과 학습자를 우선시하는 담론에 대한 비판의 근거로서 비에스타의 교육에 대한 관점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에 관한 비에 스타의 논의가 우리나라 혁신학교의 배움 중심 담론에 대해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에스타는 유럽의 교육개혁 담론과 관련하여 구성주의와 신자유주의적 관점에 터한 ‘배움’이 교육의 전부가 되어가는 점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둘째, 비에스타는 지식을 상호주관적으로 형성되는 앎으로 이해하였고, 교육 맥락에서 가르침을 의사소통을 매개로 한 ‘개입’으로 이해하며, 독단적인 주관성으로서의 주체성을 넘어서게 한다는 의미에서의 ‘초월적 폭력’의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학생과 교사의 관계를 무조건적 신뢰와 책임에 바탕을 절대적인 두 타자의 만남으로 이해하였다. 셋째, 비에스타의 논의를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의 혁신하교 배움 중심담론은 학생의 지식 구성에 대한 심층적인 개입으로서 가르침이 배제되어있고 이로 인해 학생의 지적 사유의 질적 변화와 성장을 가져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Gert Biesta’s critical discuss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about the European educational reform discourse emphasizing learning and learner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our learning-oriented discourse of the Innovative School in Korea. This study set up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points are presented in Biesta’s criticism on European educational reform discourse? Second, what view does Biesta have on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ased on intersubjectivity?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Biesta's discussion for the learning-oriented discours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esta’s criticism in the European educational reform discourse was that the concept of learning is based on constructivism which neo-liberalism has replaced as education itself. Second, Biesta understood knowledge is based on intersubjectivity, teaching as intervention and transcendental violence in that teaching can lead a student beyond the self-centered subjectivity. He also viewed the student-and-the teacher relationship as an encounter between the two absolute others based on unconditional trust and responsibility. Thirdly, in terms of Biesta’s discussion, there is a lack of teaching as deep interven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bring about meaningful changes and growth in students’ way of thinking.

      • KCI등재

        Rawls의 정의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 교육시민운동의 이념 지향에 대한 고찰

        최미향(Choi Mi-Hyang),김천기(Kim Cheon-Gie) 한국지역사회학회 2006 지역사회연구 Vol.14 No.3

        Educational civic movement groups were largely progressive at the onset of that campaign. Lately, however, that movement has been promo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as some take a conservative stand and others take a middle-of-the-road approach. Not only civil government in the late 1990s but current participatory government have pushed ahead with neo-liberalistic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market to reform education, and educational campaign has eventually been more diversified and seek after different ide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ideologies of educational civic movement groups, which voiced their opinions in a different way, in an effort to discuss whether Korean educational civic movement made a contribution to actualizing social justice and democracy. Four sorts of freedom system that Rawls suggested in his theory of justice were selected as criteria to examine their arguments. When the ideals of educational civic movement groups were investigated, it's found that they was just in pursuit of liberalism-based equality. In the future, educational civic movement should be more extended urgently to the point where it searches after a democratic equal society.

      • KCI등재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 운영에 따른 작은 학교의 변화

        나종민(Na Jong Min),김천기(Kim Cheon Gie),임순일(Lym Soon Il),권미경(Kweon Mi Kyeong),박은숙(Park Eun Sook),이주은(Lee Ju Eun)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교육청에서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어울림학교의 4가지 유형 중 선행연구가 없는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 운영에 따른 작은 학교의 변화를 살펴보고,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및 공동학구 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원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 운영에 따른 외형적인 변화로는,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를 운영한 다수의 농촌지역 작은 학교의 전입 학생 수가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학생 수가 포화상태에 이른 A초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통폐합 위기의 농촌지역 작은 학교가 다음의 요인, 즉 공동학구 학교와의 거리, 지속적인 학교혁신, 학교관리자의 역량, 교육협력자로서 학부모의 역할 등에 의해 작고 좋은 학교로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작고 좋은 학교를 유지하기 위해 학급당 학생 수를 제한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관리하게 되었다. (2)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의 교육적 측면에서의 변화로는 첫째,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교육과정이 내실화되었으며 둘째, 다인수학급에서 잘 적응하지 못 하거나 정서적 상처가 있어 많은 관심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이런 학생의 변화에 있어 결정적 요인은 특별한 교육프로그램이 아닌 작은 학교 자체가 가진 특별한 교육환경이다. (3)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 운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농촌 작은 학교의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교육적 잠재적 가능성을 펼칠 수 있도록 자생력을 가질 때까지 보다 장기적으로 통학차량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동통학구형 어울림학교로 전입해 오는 학생들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인 맞춤형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전라북도교육청은 부정적인 학교 낙인효과를 예방하기 위해 작은 학교가 가진 교육경쟁력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공동학구 학교에 대한 적절한 지원은 학생 수를 놓고 경쟁관계에 위치한 공동학구 학교를 협력관계의 위치로 전환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and problems that the common attendance unit ‘Eoullim Schools’ without prior learning has made and explore how we can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school. The study had in-depth interviews of teachers who teach at common attendance unit‘Eoullim Schools’ and common district schools in Chonbuk. (1) What changes did common attendance unit ‘Eoullim Schools’ make in the small schools of the rural areas? The number of students in most of the common attendance unit ‘Eoullim Schools’ has increased. After investigating the case of ‘A’ Elementary School, we found that small schools facing a crisis of merger and abolition of the rural area became a small and good school by 5 success factors (distance to school, continuous innovation, competences of school managers and supportive parents),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and substantial curriculum). The school also improved the quality of education by limiting number of students in each class. (2) What significance does common attendance unit ‘Eoullim Schools’ have in education? First,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and substantial curriculum. Second, Common attendance unit ‘Eoullim Schools’ has produced positive changes to students who had failed to adjust to large class or students who had emotional trauma. Important factor to the changes of students was not a special program, but the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the small school provided. (3) What were the problems that common attendance unit ‘Eoullim Schools’ had and how can we solve them? Firs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chools are located in long distances, long-term support of school buses are necessary. Second, customized educational support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new students transferred to common attendance unit ‘Eoullim Schools’ who might have difficulties. Third, the Chonbuk Education Office should actively promote the positive aspects of ‘Eoullim Schools’ in order to prevent labelling effect. Fourth, proper support to common district schools will turn the schools’competition into cooperation.

      • 한국교육개혁의 대안적 패러다임 탐색

        김천기,노상우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敎育論叢 Vol.16 No.-

        In this study our purpose is to explore the new prardigm of educational reform alternative to the current Korean educational reform. To achieve this purpose, in the first place, we axamined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individualistic anthropology in the modern dominant liberal philosohy of education. Second, we discussed the ecology-centered thoughts which is considered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a new educational paradigm. Finally, we showed the features of the new paradigm of Korean educational reform on the basis of the ecology-centered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