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 탐촉자(Probes)의 위생관리 실태와 감염 인식도 조사 및 세균 오염도 측정

        김창복(Chang Bok Lee),이양섭(Yang Sub Lee),이원홍(Won Hong Lee),조정찬(Cheong Chan Cho),윤향이(Hyang Yi Yoon),이용문(Yong Moon Lee),김영근(Young Keun Kim),이경섭(Kyung Sup Lee)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4 방사선기술과학 Vol.27 No.3

        The gel, which is stained on probe after ultrasonogmphy, is a good circumstances for proliferation of microb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the actual state of sanitary management, recognition degree and infection level of ultrasonographic probes. We had performed a question with telephone to 42 hospitals in Seoul area from December in 2003. We also cultured to obtained a sample from three ultrasonographic units to investigate infection level of the probes. Sanita교 management of the probes was performed in 21 hospitals with alcohol cotton, Sanitary management was performed daily in 14 hospitals. Most hospitals used cotton towel for clearing of gel stained on probes. Preventive management against infection was performed in 32 hospitals with vinyl cover, surgical glove, or alcohol sterilization etc. In the recognition degree on infection, the response that using method of ultrasonographic probes is insanitary were in 78.6%(33 hospitals), and 54.8%(23 hospitals) responded that bacteria can be infected through the probes. In the results of germiculture, bacteria and fungi were detected too number of to count, but escherichia coli was not detected. In conclusion, The gel stained on probe after ultrasonography must be cleared completely, and it is necessary that change of reco후ition on sanitary management. 초음파 검사 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Gel은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초음파 탐촉자의 위생관리 실태와 위생과 감염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2003년 12월부터 서울지역에 있는 42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시행하였다. 또한 세 대의 초음파 장치 탐촉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을 배양 증식한 후 탐촉자의 오염된 정도를 알아보았다. 21개 병원만이 탐촉자의 위생관리를 실시하였고, 소독 방법은 주로 알콜솜을 많이 이용하였다. 위생관리 주기는 14개 병원만이 매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촉자에 묻은 Gel제거 방법은 면수건을 많이 이용 하였다.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환자의 초음파 검사 시 감염예방관리를 하고 있는 병원은 32개였고 환자 검사 시 탐촉자를 비닐커버나 외과용 장갑, 알콜 소독 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염 인식도 조사에서 초음파 탐촉자 사용법이 비위생적이라는 생각이 78.6%(33개)였고, 탐촉자를 통한 세균이 감염여부에 대해 54,8%(23개)가 감염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탐촉자에서 채취한 시료를 배양 한 결과 세균과 진균이 셀 수 없이 너무 많이 오염되어 있었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초음파 검사 후에는 탐촉자에 묻어있는 Gel에서 세균이 증식하여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제거하여 환자간 교차 감염의 위험요인을 줄이는 것과 감염관리에 대한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Image Plate(IP) 영상의 MTF 비교

        김창복(Chang-Bok Kim),이양섭(Yang-Sup Lee),김영근(Young-Keun Kim),이성길(Seong-Kil Lee),이경섭(Kyung-Sup Lee)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4 방사선기술과학 Vol.27 No.3

        방사선부문 디지털시스템 중 일반촬영 부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Computed radiography(CR) 영상판(image plate)의 검출시스템은 형광체의 빛 확산 영향을 받는 시스템이므로 영상을 흐리게 만들기 마련이다. 본 연구에서는 X-ray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computer radiography 영상판의 정보전달능(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측정을 통해 해상도와 선예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A병원에서 사용 중인 일반촬영용 IP 사용년수 3년 이상된 Fuji ST-Vn 모델과 사용년수 2년 미만인 Fuji ST-VI 모델을 대상으로 MTF를 측정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X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resolution chart법으로 시행하였으며, 레이저프린터로 출력하여 microdensitometer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2가지의 IP 모델은 차이가 있었으며, 해상도와 선예도 모두 Fuji ST-VI 모델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Among the digital radiography systems, the computed radiography Image Plate Detector System is most frequently being used for the general radiography and also this system commonly diffracts the x-ray images since it is the system that is influenced by the light diffusion from the fluorescent substances In this study, by using the X-ray Generator, a comparative analysis has been made between 2 different models of computer radiography image plate investigate each model's resolution and sharpness through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1F) measurement For the analysis, two image plates for general radiography one Fuji ST-VN model(more than 3years old) and one Fuji ST-VL model(less than 2years old)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m "Hospital A" were sampled for the MTF measurement here As the experimental method for this study, the resolution chart method has been carried out by using X-ray generator, Also all the experimental data were printed out by laser printer and measured by microdensitometer.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earned out in this study, some differences have been found between the two different IP models and fuji ST-VL has shown its excellence in both of the resolution and the sharpness fields.

      • KCI등재

        상황인식 기반의 적응형 U-헬스케어 보안체계에 대한 연구

        김창복(Chang-bok Kim),이상순(Sang-soon Lee),이병수(Byoung-soo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0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6 No.4

        According to advent of u-healthcare that can offer medical service anytime and anywhere, enormous medical information of individual is created and stored, which is transmitted by Internet. If medical information is used numbers of researches and medical scientist without permission, it can be seriously violated about personal privacy, but the provision of a security architecture that can ensure the privacy and security of sensitive healthcare data is still open question. The u-healthcare requires flexible, strong authentication, electronic signature based PKI, extensible context aware access control, and dynamic authorization enforcement. This paper improved on existing xoRBAC method, and proposed security framework that is able to adaptive security service according to user's context in recognition of context information. This paper controlled user's authorization by context information, and every possible information that is able to access by one more condition decision from primitive access information. In this paper proposed security model can be offer dynamically various security level and access authority method alone with specified policy and constraint settlement at user's role.

      • KCI등재

        세 초등 교사의 ‘1학년 교사 되어감’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창복(Kim Chang-Bok),이경순(Lee Kyung-s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1학년 교육경력이 거의 없는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사들이 1학년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과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해 본 결과, 1학년 교사들은 담임 발표 후 자발적인 연수참여, 아이 이름 외우기, 새 옷 마련 등이 이루어진 준비기, 3월의 적응기, 아이들 속으로 들어가 배우며 가르치고, 가르치며 배우기를 통해 1학년 교사가 되어가는 성장기를 거쳐 2학기에 들어가서야 1학년 교사로서의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1학년 교사들이 1학년 교사가 되어가는 그 과정은 배움과 가르침의 반성적 순환을 통해 반성적 실천가로 성장하는 과정이었고, 낮춤과 통함의 미학을 통해 1학년 교육을 실현하는 과정이었으며, 1학년 아이들을 품안의 자식으로 사랑하게 되는 과정이었다. 세 명의 교사들의 이야기를 통해 1학년 교사의 ‘교실열기’와 지속적인 동료장학을 구성할 수 있는 배움공동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Using a narrative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d to 1st grade teachers after they had been in charge of a 1st grade class and the meaning of becoming a 1st grade teacher. The survey of 3 teachers who were new to a 1st grade class was carried out by personal interviews. 21 times of interviews for each teacher were performed over 3 month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were changing to 1st grade teachers through preparation period(3-day workshop participation, children's name memorizing, new clothes preparation etc.,), adaptation period(March), and growth period(learning and teaching immediately etc.,). Teachers hoped to become a 1st grade teacher again in the next year because of the happiness. They recognized this process meant reflective cycles of learning and teaching, teaching by aesthetics of level lowering and understanding, and agape love.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고찰

        김창복 ( Kim Chang Bok ),이신영 ( Lee Shin 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변화를 살펴보고 2015년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찰해봄으로써 유·초 연계의 측면에서 개정된 누리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증진을 도모하고 유·초 연계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2019 개정누리과정은 누리과정의 성격과 추구하는 인간상을 신설하고, 인간상에 따라 목표를 기술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부분적인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 체계를 정립하게 되었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영역 내용의 축소와 평가의 간략화를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과 융통성을 보장하였는데 이것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이미 강조하는 것으로 연계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추구는 학습자 중심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한층 강조하는 것으로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학습자 중심 교육의 강조와 교수·학습 방법 및 내용에서의 놀이 활용으로 연계된다. 학습자 중심 패러다임의 측면에서 볼 때, 2019 개정 누리과정은 현행 누리과정에 비해 유·초 연계의 수준을 높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은 현행 누리과정에 비해 유·초 연계를 좀 더 지향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유·초 연계를 위한 토대가 완전하게 마련된 것은 아니므로 앞으로 핵심역량, 관련 법규, 국가 수준 및 교육청 수준의 지원, 누리과정 영역과 초등 교과의 명칭 및 내용 등 교육과정상의 유·초 연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초 연계교육의 질적 제고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성과 융통성의 바람직한 실현을 위해 전문적인 연수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major changes in the Nuri curriculum which is revised in 2019 and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stablished a similar structure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y specifically addre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ursuing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of the Nuri curriculum and setting the goals according to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Second,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ensured the teachers’ autonomy and flexibility in the curriculum management through reducing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domain and simplify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This is also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rd, the emphasis of the children-centered and play-oriented educ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further strengthens the shift to the learner-centered paradigm. And thi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use of play activ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tents of some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conclusi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s more concretely conne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n the current Nuri curriculum. However, the foundation for the continuity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not stably established yet. Therefore, further in-depth research for reviewing and promoting the continuity between the two curricula and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to have autonomy and flexibility in their curriculum management in a desirable way.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

        김창복(Kim Chang-Bok),이경순(Lee Kyung-Soon),나성식(La Sung-S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유아들의 초등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기대, 초등학교로의 성공적인 적응, 1학년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학교교육에 대한 1학년 학부모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정보는 대부분 이웃이나 친지를 통해 획득되고 있었다. 학부모들이 학교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보면, 교육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은 인성교육과 사회성의 발달이었고, 초등학교 1학년 교육방법은 교과서중심의 학습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가장 많았다. 또한 1학년 교사의 역할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은 기초생활습관과 인성교육이었으며, 시설 및 안전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보통 수준의 경향을 보였으나 시설 개선과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The parents of first graders get their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ostly through their neighbors and acquaintances. 2. The parents of first graders believe that the purpose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s to develop children's personality and social skills. 3. The parents of first graders believe that the method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depends on the text book. 4. The parents of first graders believe that the role of first grade teachers is to raise the positively affect the children's personalities. 5. The parents of first graders are dissatisfied with education facilities From these results suggest that; 1. The diversity routes are supplied for parents of first graders to get the right information o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2. The education of first graders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basic living habits. 3. The instrument of education should be expended and improv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2009년 발행「유치원 지도서」에 포함된 수학 활동과 수학교육내용 분석

        이은영(Lee Eun-Young),김창복(Kim Chang-B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2009년도에 발행한 「유치원 지도서」의 수학 활동과 수학교육내용이 어떠한 분포를 나타내는지 교육과정 관련 요소를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총론과 종일반을 제외한 11권의 「유치원 지도서」에서 수학과 관련된 교육과정 관련 요소를 준거로 분석 대상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생활주제별, 대상 연령별, 집단 형태별, 활동 유형별 수학 활동과 수학교육내용의 분포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치원 지도서」에 포함된 수학 활동은 수, 공간, 도형 개념과 관련된 활동이 비교적 많이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연령에 따른 수학 활동의 수는 모든 연령에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각 연령별로 특정 수학교육내용과 관련된 수학 활동이 편중된 경향이 있었다. 집단 형태별로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대ㆍ소집단 활동에 비해 자유선택활동에서 경험할 수 있는 수학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를 활동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수ㆍ조작놀이 영역의 활동이 가장 많이 개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이 수학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유치원 지도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에게 보다 의미있는 수학 활동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the content of mathematics education found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developed and suppl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09. For this study, 197 activities were selected from 11 guide books excluding Vol.1(the instructions) and Vol.13(guide book for a full-day program). These activi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our criteria: life themes, ages, group types, and activity types. So w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many mathematical activities in the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for Kindergarten」were related to number, space and shape concepts. Second, the activities and the content of mathematics education weren't evenly distributed according to 11 life themes. Third, the number of activities were very similar among activities for 3-year-old, 4-year-old, and 5-year-old. But many of these activities were also related to number, space and shape concepts. Fourth, according to group types, lots of activities for free-choice play were developed in these books. Fifth, most activities were mathematics and manipulative activities.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teachers should refer to these results and add many other activities also when they plan the mathematical activities and apply them to children using these guide books.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초등돌봄 1학년 아동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윤영(Lee, Yoon Young),이신영(Lee, Shin Young),김창복(Kim, Chang B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초등돌봄 1학년 아동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2곳의 초등돌봄교실에 다니는 1학년 아동 40명이며, 2019년 10월 7일부터 2019년 11월 22일까지 실험집단 20명에게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안전교육을 14회기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20명에게는 학교안전계획에 근거한 안전교육활동을 14회기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초등돌봄 1학년 아동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 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지식의 하위영역 중 생활안전, 놀이안전, 교통안전, 대인안전, 환경안전, 재난ㆍ재해안전 요인에서, 그리고 안전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인 안전하게 놀이하기, 교통안전 규칙 지키기, 비상시 적절하게 대처하기에서 실험집단의 결과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안전교육활동이 초등돌봄 1학년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안전교육활동임을 의미하며, 본 연구는 초등돌봄 안전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grated safety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of first-year elementary car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primary care attending elementary care classes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October 7, 2019 to November 22,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o find out the impact 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Co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e-test scores for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as covariates.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 test tool of primary care first-year children was verified through Cronbach s α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sing fairy tales solve the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s of first-year elementary care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except fire safety. It can be seen that the research results have a positive effect o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means that integrated safety education activities using fairy tales can be utilized as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enhance safety knowledge and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of first-year elementary car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