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春洙 散文의 相互텍스트성 – 꽃과 여우 속 ‘良心’에 대한 내용을 中心으로-

        김진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김진규, 2023, 김춘수 산문의 상호텍스트성, 어문연구, 198 : 423~452 이 논문은 꽃과 여우 와 이전 수필 사이의 상호텍스트성을 밝힘으로써 작가의 문제의식과 그것의 형상화를 구체적으로 검토했다. 김춘수의 산문 텍스트에서 ‘눈(眼)’이 지속적으로 주요하게 다뤄졌음을 확인하고, 시선의 성격을 중심으로 꽃과 여우 속 타자를 유형화하였다. 이 중 김춘수의 자의식과 양심의 사유에 큰 영향을 미친 시선은 ‘식모 아이’, ‘베잠방이 소년’, ‘김 서방’, ‘3등실 청년’ 등 김춘수로 하여금 계급적 자의식을 느끼게 만드는 이들의 것이었다. 텍스트에서 ‘데페이스망 기법’을 통해 구성된 ‘양심’ 논의는 양심, ‘나’, 세계 자체를 무화함으로써, 구체적인 사회 속에서의 행동과 양심의 문제에 대해 판단중지를 한다. 하지만 신학자 ‘볼드만’과 ‘3등실 청년’에 대한 강박적 관심과 이전 텍스트에서 끝내 꽃과 여우 로 옮기지 못한 내용은 역설적으로 그가 불평등과 같은 사회의 구체적인 문제들에 관심을 가지고,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양심’에 집착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이 논의는 김춘수 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평가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박연희 소설 속 냉전기 동아시아에 대한 탈민족적 인식 미완 장편 『방황』과 「갈증」을 중심으로

        김진규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2 No.-

        이 논문은 박연희 소설 속 냉전기 동아시아에 대한 탈민족적 인식을 탐구함으로써 두 가지 사실을 조명하고자 한다. 첫째, 박연희 소설 속 중일전쟁, 한국전쟁과 그 이후의 남한, 베트남전쟁 사이의 연속성 사유 밑바탕에는 식민지 시기 중국인에 대한 죄의식이 깔려 있다. 이 중일전쟁에서의 죄의식은 냉전기 한국과 아시아를 탈민족적으로 사유할 시야를 열어주었다. 둘째, 이러한 한국과 동아시아에 대한 탈민족적 인식 덕분에 박연희는 정권 재창출과 일반 국민의 대일협력을 은폐하기 위해 활용된 1950년대의 반일민족주의, 1960년대 이후 생산성과 경제 발전을 인간성의 판단 기준으로 보는 ‘미국식 휴머니즘’, 미국 중심의 냉전 질서에 적극적으로 편입하여 아시아․아프리카를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도구로 삼았던 ‘아류제국주의’ 등으로부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해방 이후 중요한 국면에서 이뤄진, 식민지 경험을 수치와 죄의식으로 새기는 주체의 소급적 재구성에 대한 탐구는 해방 전과 후를 아우르는 한국인의 총체적 자기인식과 점증하는 동아시아의 위기 속에서의 평화 모색에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wo facts by examining the transnational perception of East Asia during the Cold War period in the novels of Park Yeon-hee. First, in his novels, guilty conscience of Korean over its harmful act to Chinese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the basis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Sino-Japanese War,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This guilty conscience opened the horizon of thinking about Korea and Asia during the Cold War period in the transnational View. Second, thanks to this transnational View, Park Yeon-hee could not be absorbed in the nationalism based on anti-Japanese sentiments in the 1950’s, which was used for recreation of the Rhee Syngman regime and concealment of the general public’s pro-Japanese activities, the quasi-imperialism of Korea which pursued economic interests in Asia and Africa by taking advantage of the US-centered Cold War order. This study about the retrospective constitution of subject which understood the colonial experience as a narrative of shame and guilt in the novels of Park Yeon-hee will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postwar literary studies and the search for peace and solidarity in East Asia.

      • KCI등재

        시편 3편의 신학적 주제와 문예적 특성에 따른 독법과 이의 설교적 적용

        김진규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2 구약논집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Psalm 3 from the viewpoint of its theological theme and Hebrew literary features, and apply its message to a sermon. I made an attempt to understand this psalm from the perspective of ‘Jehovah as a refuge and savior’ which is a prominent theological theme in this psalm, and also the psalm was analyzed focusing on its literary features, such as imagery, parallelism, and terseness. In the application stage, I have applied its message to our lives, employing Haddon Robinson's concept of 'big id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nderstanding of the theme of ‘Jehovah as a refuge and savior’, which often appears in the lament psalms,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insights into the poet’s lamentation, supplication, trust, and peaceful mindset in Psalm 3.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agery, parallelism, and terseness of Psalm 3, I came to understand how these literary features breathe liveliness and vitality into Hebrew poetry. 이 연구의 목적은 시편 3편을 신학적 주제와 히브리 문예적 특성의 관점에서 읽고, 이의 메시지를 설교에 적용하는 것이다. 본 시편의 두드러진 신학적 주제인 ‘피난처와 구원자 되신 여호와’라는 관점에서 이해를 시도하였고, 동시에 이의 문예적 특성인 그림 언어, 대구법, 간결한 표현 등에 초점을 맞추어 시편 3편을 분석하였다. 적용 단계에서는 해돈 로빈슨의 ‘빅 아이디’(big idea)의 개념을 도입하여 적용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탄원시에 자주 나타나는 ‘피난처와 구원자 되신 여호와’라는 주제에 대한 이해는 시편 3편에 나타난 시인의 탄식이나 간구나 신뢰나 평안한 마음가짐까지 통찰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시편 3편의 그림 언어와 대구법과 간결한 표현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들 문예적 특성이 어떻게 히브리 시에 생동감과 생명력을 불어넣어 감동과 감화를 일으키는지 이해하게 되었다.

      • KCI등재

        루스키 미르 연차총회 주제의 인문학적 분석

        김진규 한국러시아문학회 2018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61 No.-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проблема языковой политики и культурной дипломатии современной России XXI века на основе гуманитарного анализа тем годовой ассамблеи Русского мира. В первой части компактно излагаются цели и задачи фонда Русский мир и его деятельности и миссия в сфере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гуманитарн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Во второй части подробно анализируются обсуждаемые темы годовой ассамблеи Русского мира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темами празднования каждого года, утвержденными указом президента РФ. В третьей части обобщаются выводы исследования и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перспектива дальнейшего развития фонда Русский мир. Также предлагается надежный взгляд на более продуктивный путь развития фонда с точки зрения зарубежного филолога-соучастника с целью преодоления разных возможных стереотипов и критических замечаний со стороны другого мира.

      • KCI등재

        금붕어에 의한 코발트 흡수

        김진규,이정호 한국어병학회 1988 한국어병학회지 Vol.1 No.2

        어류에 의한 물과 멱이로부터의 물질 흡수를 연구하기 위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하였다. 금붕어가 들어있는 네개의 수조에 Co-57을 처리한 후 각기 다른 온도 조건하에서 실험을 실시하였고, 또 다른 네개 수조의 어류는 동위원소를 처리한 먹이를 주었다. 실험결과로부터 수온은 물로부터의 코발트 흡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에 동위 원소를 처리한 후 13일째 어류가 흡수한 코발트의 양은 총가용량의 0.0006%에 불과해 물을 통한 흡수과정은 매우 서서히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먹이를 통해 어류체내에 흡수된 방사능은 90일간의 실험기간에 걸쳐 시간경과에 따라 선형 증가 양상을 보였으며, 실험 개시 후 90일째에 마리당 투여한 총 방사능의 12% 수준에서 거의 평형상태에 도달하였다. Radiocobalt was used as tracer to study the uptake of cobalt by fish either from water or food source, respectively. Four groups of goldfish were exposed to ^(57)Co-labelled water under 4 different temperatures, while another four groups were fed labelled feed pellets at 15℃. Results indicate that water temperatur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uptake of cobalt from water. The uptake from water is quite a slow process since the cobalt uptaken from water reached 0.0006% of available activity at best on the 13th day of exposure. The uptake from a labelled feed source showed a linear increase with time over the period of ninety days. On the 90th day of experiment the percentage of available activity consumed seemed to be approaching an equilibrium point at roughly 12% of the total activity fed to the goldfish.

      • KCI등재

        최근 동성애 논쟁의 주요 쟁점들: 제임스 브론슨의 동성애 관련 구약 본문 해석에 대한 비평

        김진규 기독교학문연구회 2017 신앙과 학문 Vol.22 No.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gency of James Brownson’s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texts related to the prohibition of homosexual practice. The texts selected for this study are Genesis 2:20b-25, Genesis 19:1-11, Judges 19:16-30, Leviticus 18:22 and Leviticus 20:13. Traditionalists generally interpret Genesis 2:20b-25 in terms of gender complementarity, but Brownson understands it from the perspective of kinship bond. He rightly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ists’ interpretation from the exegetical point of view, but his idea of the kinship bond which excludes the sexual union between husband and wife does not match with the broader context of Genesis 1-2. The sexual union between husband and wife plays an important role to accomplish the cultural mandate given in Genesis 1:28. Brownson is successful in correcting the traditionalists’ misuses of the terminology but his interpretation of Genesis 1-2 should not be capitalized on to approve the legitimacy of homosexual practice. Brownson and revisionists argue that the main sins of Genesis 19 and Judges 19 were not homosexual crimes but violence, inhospitality, and rape; hence, they believe that these texts cannot be applicable to today’s consensual homosexuals. But the idea of homosexual sins should not be ruled out in these texts because the word ‘yada’ used in them must be translated into ‘having sex’ in their particular contexts. The striking similarities of words and ideas between these two texts are revealing that they are identical type scenes in the biblical narrative. If these texts are analyzed with the lens of the type scene, they deliver a clear message that the homosexual sins with inhospitality and violence bring about God’s judgment. This message is evident when the incident of Judges 19 is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Leviticus 18:22 and 20:13. The condition of the Israelites at the time of Judges was similar to that of the Sodomites because the Israelites had assimilated to the sexually corrupt culture of the Canaanites including homosexual practice. Brownson argues that the Levitical law prohibiting homosexual practice (Lev 18:22; 20:13) cannot be applicable to the present-day homosexuals because it belonged to the purity law of the Israelites, it was the product of the patriarchal culture, and it came out of the context of idol worship. Though parts of the Levitical laws in Leviticus 18-20 have to do with the ceremonial law, the majority of the laws belong to the moral law which is binding to the Christians of our time. It is a significant hermeneutical flaw for Brownson to rejec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eremonial law and the moral law. Brownson’s understanding of the prohibition of homosexual practice in terms of the patriarchal culture of shame, though partially true, derives mainly from his failure to correctly analyze the historical data of the ancient time. The emperor Nero, married to two male partners, was known for taking the passive role in intercourse. If he felt shame, he would never have taken the passive role. It is a wrong interpretation of Leviticus 18 and 20 for Brownson to understand the homosexual prohibition in terms of the culture of idol worship. In conclusion, Brownson’s interpretation appears to have corrected traditionalists’ misuses of the term ‘gender complementarity.’ However, his understanding of these texts contains many fallacies,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historical, cultural, linguistic, and hermeneutical backgrounds. Hence, his interpretation should not be capitalized on to biblically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present-time homosexual practice. 이 연구는 제임스 브론슨이 동성애 관련 구약 본문을 해석한 것이 타당한가를 평가한 것이다. 구약 본문 중에 창세기 2장 20b-25절, 창세기 19장 1-11절, 사사기 19장 16-30절, 레위기 18장 22절과 20장 13절의 성경해석 문제를 언어학적, 역사적, 문화적,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주로 다루었다. 브론슨이 창세기 2장 20b-25절을 ‘성적 보완성’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혈족 연합’의 관점에서 이해한 것은 옳으나 결혼에 있어서 성적 연합을 배제한 것과 창세기 19장, 사사기 19장, 레위기 18, 20장을 해석하면서 동성애에 대한 금기(禁忌)적인 요소를 배제한 것은 약점으로 남아있다. 그래서 이들 본문에 대한 그의 성경해석 결과를 오늘날 동성애를 옹호하는 쪽으로 사용하는 것은 타당치 않다는 논지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