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 무화효과를 이용한 현탁액으로부터 나노입자의 분리포집법 제안

        김지향,김정순,염지영,하강렬,김무준,Kim, Jihyang,Kim, Jungsoon,Yeom, Jiyeong,Ha, Kanglyeol,Kim, Moojoon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6

        나노기술의 실제적인 응용을 위해 응집되지 않은 나노입자 상태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들의 합성 과정에서 입자 크기 분포의 더 정밀한 제어가 요구된다. 그러나 합성된 나노입자들은 물리적 혹은 화학적인 이유로 응집되기 쉬워 나노입자의 고유한 특성이 가려져 실제적인 응용에 있어서 문제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단분산된 나노입자만을 분리하기 위하여 초음파 무화 효과에 의한 무화입자를 분리장으로 사용한 나노입자 분리방법을 제안하였다. 0.002 wt. %의 농도를 갖는 $TiO_2$ 나노입자 현탁액을 무화시켜 분리포집된 현탁액에 포합된 나노입자들의 입도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들로부터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단분산 입자의 분리 포집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다. It is very important to obtain non-agglomerated nano particle state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nano technology.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products using nano particles, more precise control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s required in their synthesis process. However, synthesized nano particles are agglomerated easily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reasons, and it then veils unique properties of the nano particles and causes some troubles in their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study, a separation method for nano particles from suspension by using the droplets as the separation space was proposed. Using the suspension of 0.002 wt. % with $TiO_2$ powder,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nano particles in the recollected suspension was measured.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to recollect the nano particles monodispersed by using the suggested method.

      • KCI등재

        소설 『드리나 강의 다리』에 나타난 이슬람 모티프 연구

        김지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6

        이보 안드리치가 제 2차 세계 대전 당시 오랜 칩거 생활 끝에 완성한 <보스니아 3부작> 중 1부에 해당하는 소설 『드리나 강의 다리』는 보스니아의 역사 그리고 보스니아의 기독교인들과 무슬림들에 대한 삶을 네러티브 형식으로 서술하고 있는 대표작이다. 안드리치의 문학적 영감의 원천이 되었던 보스니아는 기독교 문화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이슬람 문화의 오스만 터키 제국의 역사와 문화, 두 제국의 문화와 전통이 혼존하는 과정 속에 갈등과 충돌, 토착 문화와 유입 문화가 만들어 내는 다른 이름의 문화적 특색이 나타나는 곳이다. 이러한 보스니아의 현실이 소설 『드리나 강의 다리』에서는 등장인물들의 삶과 죽음, 한 제국의 흥망성쇠가 마치 서사시처럼 펼쳐진다. 이 작품은 400여 년 동안에 보스니아의 비쉐그라드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다. 그처럼 광대한 시간적 배경 속에서 ‘다리’는 소설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주인공들의 삶과 죽음, 비쉐그라드에서 벌어지는 온갖 인간사와 거대한 제국의 흥망성쇠, 종교와 문화의 상이함에서 오는 갈등의 역사를 목도하게 된다. 이러한 긴장과 갈등, 충돌과 반목의 저변에는 종교로 인한 문화적 차이가 있었다. 역사적으로나 신학적으로 상당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는 두 문화, 이슬람 문화와 기독교 문화가 끊임없이 소통의 부재, 반목과 갈등, 충돌의 역사를 장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리나 강의 다리』를 통해 인식된다. 본 논문은 “조국의 역사와 관련된 인간의 운명과 문제를 철저히 파헤치는 서사적 필력”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196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20세기 세르비아 문학의 대표 작가 이보 안드리치의 장편소설 『드리나 강의 다리』에 나타난 ‘이슬람적 모티프’를 언어 모티프와 종교 모티프를 통한 문화 모티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 출신이라는 태생적, 환경적 조건을 극복하고 어느 특정한 문화적 시각에 편중되지 않고 객관적인 시각과 유연한 역사적 글쓰기를 시도한 안드리치 소설의 가치를 확인 할 수 있는 기회였으며 보스니아에서 기독교와 이슬람의 공존과 충돌이 주는 비옥한 토양이 안드리치 문학의 꽃을 피게 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Ivo Andrić completed the <Bosnia trilogy> living in long seclusio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first one of the trilogy,『The bridge over the Drina (Na Drini ćuprija) 』has been the masterpiece of narrating the history and life of people living in Bosnia with dignity. Bosnia, a source of literary inspiration for Ivo Andrić, is the place where there has been the Austria-Hungary Empire standing for Christian culture, the Ottoman Empire for Islamic culture, the conflict and collision going through the mosaicism of cultures and traditions on two empires, and then the other feature created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cultures. This reality unfolds both the life and death of characters and the rise and fall of the empire like an epic in the 『The bridge over the Drina (Na Drini ćuprija)』. This novel covers the story on Višegrad in Bosnia for 400 years. This 'Bridge' has witnessed the life and death of lots of main characters, the all kinds of human condition in Višegrad, the rise and fall of a great empire, and the history of discord from dissimilarities of religion and culture for about 400 years, uncommon as the time setting. This collision and hostility as well as tension and discord has been caused by the cultural differences from religion. It is very interesting that although this two cultures, Islam and Christianity, have considerable similarities, they also represent the absence of mutual understanding, hostility and discord, and conflict as well. In this thesis, 『The bridge over the Drina (Na Drini ćuprija)』,the masterpiece of Ivo Andrić, who is a Nobel Prize winner for Literature in 1961 admitted to <the epic force with which he has traced themes depicted human destinies and conditions drawn from the history of his own country> and the prominent writer of Serbian culture, would be covered concentrating on the Islamic motif as classified into linguistic, cultural, and religious features as well.

      • KCI등재

        밀로반 글리쉬치 소설에 나타난 세르비아 농촌 이미지와 주술적 특징 : 『90년 후』와 『설탕 덩어리』를 중심으로

        김지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30

        본 논문에서는 세르비아 사실주의 시기 대표 작가 중 한사람으로 꼽히는 밀로반 글리쉬치 단편 『90년 후』와 『설탕 덩어리』에 나타난 세르비아 농가 이미지와 세르비아 농민들의 정서를 잘 드러내고 있는 <주술성>과 <토속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세르비아 문학사에 있어서 낭만주의 시기 주요 장르가 시(詩)였다면 사실주의 시기 문학의 주요장르는 단연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 소설들에서는 변화하는 세르비아 사회의 움직임과 사람들의 정서, 가치관들이 매우 상세하고 기술적으로 묘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밀로반 글리쉬치의 소설들에는 당시 세르비아 농촌 마을에 대한 자세한 묘사와 한 사건을 두고 서로 의견이 분분하게 대화를 나누는 장면들에는 리얼리즘 특유의 기법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9세기 세르비아는 ‘소설의 나라’라고 불리 울 정도로 리얼리즘이 절대적인 사조로 자리를 잡았다. 이 무렵 세르비아의 사회적 분위기는 자본의 유입으로 인한 신흥 계급의 탄생이 가시화되었고 예컨대 시민 계층의 출현으로 인해 구질서와 전통이 무너졌으며 새로운 사회적 인식과 가치관의 형성을 초래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야기된 경직된 사회의 구조와 형태는 다양한 문화적 경험과 유동성을 받아들여 문화 혼종 양상과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키기에 이르렀고 변화하는 사회 구조 안에서 새롭게 생겨난 직업을 비롯한 다양한 변화들은 밀로반 글리쉬치 소설을 음미하는 데에 매우 흥미로운 점으로 지적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look briefly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antation and the local customs in the Milovan Glishich's short stories which are 『In ninety years』and 『The loaf of a sugar』. As one of the most famous realists in the Serbian literature, Glishich's short stories have very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alism. In his literary works appeared so many interesting characters, such as one who lends the money as a big interest, one who believes the presence of a ghost and one who considers love 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and so forth. Actually, it can be accepted as a special feature of the Serbian rural areas. Milovan Glishich tried to show the distinctive features of a Serbian rural area. Serbia in the 19 th centuries was called by the country of a novel. In that meaning we could understand the serbian's sense of values, a way of thinking, a mode of living and culture

      • KCI등재후보
      •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 : King Lear의 Cordelia & Macbeth의 Lady Macbeth

        김지향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1987 여성연구논총 Vol.3 No.-

        Shakespeare's treatment of women characters in the tragedies is democratic to a great extent. Shakespeare saw men and women as equal in a world which declared them unequal. Shakespeare's women are people and individuals. He represents them as infallibly faithful women.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lain the heroines in Shakespearean tragedy in terms of faith. Faith is a character trait pervading the whole personality, rather than a specific belief. This writer attempted to analyze their faith by using Erich Fromm's theory:rational faith, irrational faith. Irrational faith refers to a kind of belief (in a person or an idea) which is based on one's submission to irrational authority. In contrast, rational faith is a conviction which is rooted in one's own experience of thought or feeling. Rational faith is not primarily belief in something, but the quality of certainty and firmness which our convictions have. Desdemona and Cordelia have rational faith in themselves. It is strong faith in Desdemona that confronts Brabantio with a 'divided duty'. Desdemona wants freedom through a conscious dissociation from the image in her father's eyes. Desdemona loved Othello as 'thick lips', 'an old black ram', and 'a Barbary horse' in common. It is moderate faith in Cordelia that rejects the world's assessment of her property worth, in order to keep her dignity. Her spirit is not dependent on Lear's estimate accessing Cordelia in terms of money. Desdemona and Cordelia are separated from their fathers. Strong faith and moderated faith are rooted in their own experience, in the confidence in one's power of thought, observation, and judgement. And faith is the very in their personality which is unchangeable and which persists throughout their life in spite of varing circumstances, and regardless of certain changes in opinions and feelings. On the other hand, Lady Macbeth and Ophelia have irrational faith in themselves. Lady Macbeth is a wicked woman. It is onesided faith in Lady Macbeth that makes her play a manly role in the murder; when Macbeth intends to murder King Duncan, the cowardice in Macbeth makes him hesitate the murder. Ophelia is only one weak woman in Shakespeare's women. It is weak faith in Ophelia that obeys her father. Her father is an authority or the majority. Onesided faith and weak faith are irrational faith. This faith is rooted in submission to a power which is felt to be overwhelmingly strong, omnient and omnipotent, and in the abdication of one's power and strength. Irrational faith is the acceptance of something as true only because of an authority or the majority. We can get the fact that all the tragedies of Shakespearean tragic heroines is caused by their faith. All these show that for Shakespearean tragedy death is very much a part of life;and, in the sense of the play, to be lived through and endured as life itself. Death is so common in, and so proper to, such tragedy, that the existence of the characters is confirmed by it and not extinguished. Desdemona and Cordelia are justified only in death. Desdemona is not a whore. Cordelia's silence is not pride, but virtue. Lady Macbeth and Ophelia experience a state of isolation, suffering, and die despairingly. Their death is an escape of life. Shakespeare's women share with other women's experience which men can never have. Shakespeare's suggestion that the masculine spirit makes a woman, not less but more feminine.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hat we regard Shakespeare's heroines as women of fai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