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레스티지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가 인지하는 럭셔리함의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활동 연구

        김지은 ( Jieun Kim ),( Kim K Johnso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6 유라시아연구 Vol.13 No.3

        소비자가 특정 프레스티지 브랜드에 대해 "럭셔리하다"(럭셔리함)라고 느끼는 정도는 소비자가 프레스티지 브랜드를 구매하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볼수 있겠다. 따라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서 느끼는``럭셔리함``은 프레스티지 브랜드 매니저들이나 마케터들에게는 성공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마케터들은 브랜드의 "럭셔리함(럭셔리한 정도)"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광고나 가격정책 등 다양한 마케팅 계획을 세울 수 있겠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 브랜드매니저들이 마케팅 프로그램이 "럭셔리함" 구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인마케팅 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프레스티지 브랜드 경영의 주요지표인 ``럭셔리함``이 마케팅 프로그램에 따라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마케팅 전략 수립시 좀더 기술적이고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소비자행동을 이해하고자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레스티지 브랜드를 포함한 다양한 럭셔리 상품들을 구매하는 소비자층에는 럭셔리 상품에 대한 태도에 따라 두가지 소비자 그룹(elitists vs. democratics)으로 분류가 될 수 있는데, 이들의 태도에 따라 마케팅 프로그램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브랜드 매니저와 마케터들에게 타겟에 따른 더욱 효과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다행히도 럭셔리함을 측정하기 위해 5가지 구성요소(conspicuousness, quality, uniqueness, extendedself, hedonism)로 이루어진 BLI 스케일(Vigneron & Johnson, 2004)이 개발되었으며, 이후 이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2015년에 Kim과 Johnson이 위의 측정도구를 수정하였다. 수정된BLI 스케일은 본래의 BLI 스케일과 같은 수인 5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나 구성 요소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약간의 변동이 있다: quality, extended 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또한 이 연구를 위해 5가지 마케팅 활동으로 이루어진 마케팅 믹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스케일 (Yoo et al., 2000)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다섯 가지 마케팅 활동은 다음과 같다: 가격, 매장이미지, 유통망 밀집도, 광고지출액, 가격프로모션. 이 연구를 위해 데이터 수집은 미국에서 온라인 서베이 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총 253명의 답변으로 분석을 하였다. 5가지의 마케팅 믹스 요소(가격, 매장이미지, 유통망 밀집도, 광고지출액, 가격프로모션)가 5가지 요소로 구성된 ``럭셔리함``에 끼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MANOVA가 사용되었으며, 위의 두 가지의 럭셔리 소비자 집단이 마케팅 활동이 럭셔리함에 끼치는 영향력에 어떻게 간섭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ANOVA가 사용되었다. 결론으로, 광고지출액을 제외한 4가지의 마케팅 믹스 활동은 모두 럭셔리함에 유효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가격과 유통망 밀집도가 럭셔리함의 모든 요소들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가격과 유통망 밀집도는 럭셔리함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요소(i.e., consumers` perceptionabout quality, extended 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모두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장이미지는 quality, extended self, hedonism, accessibility에만 영향을 끼치고 tradition에는 영향력이 없음이 밝혀졌다. 가격프로모션은 quality, extended self, accessibility, tradition에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으나, hedonism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럭셔리 상품에 대한 태도는 세가지 마케팅(가격, 유통망 밀집도, 가격프로모션) 활동 중 가격이 럭셔리함에 주는 영향력에만 간섭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럭셔리 상품에 대한 태도로 분류된 두 집단은 가격에 대한 영향력을 달리 받고 있었다. 즉 같은 가격 조건에서 럭셔리함에 대한 인지는 서로 달리 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엘리티스트 (elitist)들은 고가의 가격정책이 럭셔리함을 느끼는데매우 중요하였으나, 데모크래틱 (democratic)들은 가격이 높고 낮음에 따라 이들이 느끼는 럭셔리함의 정도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가격 정책은 달리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매스 럭셔리 소비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는 브랜드라면 럭셔리함을 유지하기 위해 너무 높은 마진을 책정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통망 밀집도와 가격프로모션의 차이에 대해 두 집단이 인식하는 럭셔리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아마도 가격프로모션이 잦은 경우 일반적으로 상품 질에 대한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유통망 밀집도의 경우는 실제로 프레스티지 브랜드 매장이 매우 한정적으로만 제공될 때 그 브랜드에 대해 매우 럭셔리하게 느끼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Consumers` belief about how luxurious a specific prestige brand is, influences consumer`s behaviors. To manage the perceived luxuriousness of a brand, marketers of a prestige brand may adopt a variety of marketing actions such as advertising, managing their store environment, conducting promotions, and so forth. In order to build efficient and effective marketing programs, a prestige brand company needs to know how their marketing programs contribute to consumer`s perceptions of their brand. Therefore, our first research question is: "How do the marketing programs of existing prestige brands affect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luxuriousness of the brand?" In addition, understanding consumer`s behavior is essential for marketers to make strategic and tactical decisions about specific marketing actions. Considering that there are two luxury consumer groups (i.e., the elitists vs. the democratics) who show a different attitude toward a luxury good, a question as to whether applying the same marketing strategies to shape perceptions of the luxuriousness of a brand is effective across these two consumer groups was raised. This reasoning le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do both groups respond similarly to a marketing program or does the program have to be customized for each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s, we adopted the modified BLI scale (Kim & Johnson, 2015) to measure the perceived luxuriousness of a prestige brand and a scale to measure consumer perceptions of the five marketing mix elements(i.e., price, store image, distribution intensity, advertising expenditures, and price promotions) developed by Yoo et al.(2000). The modified BLI scale has five dimensions (i.e., quality, extended-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USA to collect data. 253 responses were used in analysis. M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if perception about each marketing mix element influenced components of perceived luxuriousness (i.e., quality, extended-self, hedonism, accessibility, and tradition). And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fluence of price, distribution intensity, and price promotions on overall perceived luxuriousness would be moderated by consumers`` attitude toward luxury (i.e., elitist, democratic). As a result, four marketing mix elements (i.e., price, store image, distribution intensity, and frequency of price promotion) influenced perceived luxuriousness. Only advertising expenditur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luxuriousness. More specifically, price and distribution intensity influenced all the dimensions of perceived luxuriousness (i.e., consumers` perception about quality, extended-self, hedonism, accessibility, tradition). In addition, the findings regarding the role of attitudes toward luxury indicated that there are at least two types of consumer groups within luxury market who view luxury brands differently. The impact of the marketing mix elements on perceived luxuriousness of a prestige brand was different for these two groups. The elitists seem to consider high price as a very important attribute of a prestige brand thus they are highly influenced by price when evaluating the luxuriousness of a prestige brand in contrast to the democratic luxury consumer.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researchers (Dubois et al., 2005) who demonstrated there were two different attitudes toward luxury. Dubois and his colleagues (2005) showed that the elitists agreed with the idea that luxury is inevitable expensive while the democratics did not agree. However, frequent offers of price promotions eroded the degree of luxuriousness for both the elitists and the democratics. The reason why both groups may have had the same attitude toward price promotionnegative effect on perceived luxuriousness.may be because price promotions suggest unstable quality (Winter, 1991). In addition, both groups revealed a similar impact of distribution intensity on luxuriousness. They both indicated a high degree of the perceived luxuriousness with low levels of distribution intensity. This result may be because prestige brands that are generally regarded as very luxurious have very limited distribution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배경 적응적 문턱치 맵(Threshold Map)을 이용한 클러터 제거 기법

        김지은,양유경,이부환,김연수,Kim, Jieun,Yang, Yu Kyung,Lee, Boo Hwan,Kim, Yeon So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7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clutter pre-thresholding method using background adaptive Threshold Map for the clutter rejection in the complex coastal environment.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osed of the use of Threshold Map's and method of its calculation. Additionally we also suggest an automatic decision method of Thresold Map's update. Experimental results on some sets of real infrared image sequenc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remove clutters effectively without any loss of detection rate for the aim target and reduce processing time dramatically.

      • 위생·안전관리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교육 사례 - 은평구 어린이급식소 중심으로 -

        김지은,김혜리,강순진,정별이,황해리,최예진,황하얀,강지원,주은서,황혜영,변진영,최지은,박유진,박지현,한지훈,남대우,홍완수,Kim, Jieun,Kim, Hyeri,Kang, Soonjin,Jung, ByeolYi,Hwang, Hailee,Choi, Yejin,Hwang, Hayan,Kang, Jiwon,Ju, Eunseo,Hwang, Hyeyeong,Byun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2021 급식외식위생학회지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and offline blended education for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in Eunpyeong-gu. For the teachers of the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two online sessions and one offline session were conducted with different educational themes each time.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 online program 'Mission Possible' scored 4.8 points and the collective education of teachers and staff scored 4.6 points, indicating that the training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 in charge were high. In other field opinions, it was found that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was very helpful in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With fewer face-to-face opportunities, there were difficulties in on-site support and management. To supplement this, various programs were applied to help children's foodservice operations provide healthy and safe meals and snacks.

      • KCI등재

        고지도 기반 환경변화연구 및 지형분석을 통한 명사십리 해안의 제4기 연안지대 이상기후 퇴적기록 적지선정

        김지은,유재형,양동윤,Kim, Jieun,Yu, Jaehyung,Yang, Dongy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6

        본 연구에서는 서해 명사십리 일대의 제 4기 극한재해 퇴적기록 보존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1918년 일제 강점기 지형도, 2000년 수치지형도, 1976년 항공사진 및 2012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작성한 수치표고모델과 지표이용도를 순차 비교 분석하여 연구지역의 퇴적환경 및 지표환경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형적 특징은 지난 100여 년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연구지역의 북부와 남부에는 고도의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큰 구릉지가 위치하고 해안에 평행하게 사구가 발달하며 연구지역 남부 사구의 후면으로 내륙에 평탄한 저지대가 위치한다. 연구지역 유수 및 퇴적물의 이동 방향을 분석한 결과 사구에서 내륙으로 이동하는 흐름과 내륙의 높은 지대에서 해안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연구 지역 중부를 가로지르는 하천을 향하여 이동하며 중남부 용정리와 남부 자룡리의 평탄한 저지대에 각각 $0.2km^2$의 넓이를 가지는 저수지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구지역 해수면 변화기록을 보존하는 지역을 찾기 위하여 해수면을 상승시킨 결과 해수면이 3 m 상승했을 때 침수되는 지역은 1918년 $3.4km^2$, 2000년 $3.64km^2$으로 저수지역이 형성되는 위치와 중첩되며 남부의 평탄한 저지대가 해수범람 퇴적층의 형성이나 퇴적물의 집적에 용이한 환경임을 지시한다. 100여 년간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지표 환경 변화가 제한적이었던 지역은 약 $3.51km^2$의 면적으로 연구지역 중부에서 남부에 분포하며 1918년에는 점토 퇴적지, 논으로 활용되었고 2012년에 이르러서는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구지역의 퇴적환경과 지표이용변화를 중첩 분석한 결과, 제4기 퇴적기록을 보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구지역 중부에 약 $0.15km^2$, 남부에 $0.09km^2$의 면적으로 존재하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과거 이상기후 퇴적기록을 연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lected optimal sites in Myeongsasimni located in west coast of Korea for stratigraphic research containing extreme climate event during quaternary period by spatio-temporal analyses of changes i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land use employing 1918 topographic map, 2000 digital terrain map, 1976 and 2012 air photographies. The study area shows no significant changes in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hilly areas with relatively large variations in elevation are distributed over north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and sand dues are developed along the coast line. Moreover, flat low lying areas are located at the back side of the sand dues. The movement of surface run off and sediment loads shows two major trends of inland direction flow from back sides of sand dunes and outland direction flow from high terrains inland, and the two flows merge into the stream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tudy area. Two sink with individual area of $0.2km^2$ are observed in Yongjeong-ri and Jaryong-ri which are located in south central part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respectively. In addition, sea level change simulation reveals that $3.4km^2$ and $3.64km^2$ are inundated with 3 m of sea level rise in 1918 and 2000, respectively, and it would contribute to chase sea level change records preserved in stratigraphy. The inundated areas overlaps well with sink areas where it indicates the low lying areas located in south cental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are identical for sediment accumulation. The areas with minimal human impact on sediment records over last 100 years are $3.51km^2$ distributed over central and south part of the study area with the land use changes of mud and rice field in 1918 to rice field in 2012. The candidate sites of $0.15km^2$ in central part and $0.09km^2$ in south part are identified for preferable locations of geologic record of extreme climate events during quaternary period based on the overlay analysis of optimal sedimentary environment and land use changes.

      • KCI등재

        김창협의 사단칠정 논의 고찰: 퇴·율절충론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지은 ( Kim Jieun ) 한국공자학회 2024 공자학 Vol.52 No.-

        학계에서 주목하는 대표적인 퇴(退) 율(栗) 절충론자로는 조성기(趙聖期), 임영(林泳), 김창협(金昌協)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서인(西人)에 속한 학자들이었음에도 이이(李珥)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무비판적으로 묵수하지도 않았고, 이황(李滉)의 ‘호발설(互發說)’을 무조건적으로 배척하지도 않았다. 이들은 이황과 이이의 학설을 참고자료로 활용하며 주희의 이론적 입장에 부합하는 사단칠정 논의를 개진하고자 했다. 이이가 이황의 호발명제를 하나의 마음에 대해 존재론적으로 상이한 감정의 발로 기제를 상정한 명제로 단언하며 비판하였던것과 달리, 이들은 호발설이 리기불상리(理氣不相離) 원칙에 위배되는 듯한 ‘표현상’의 문제를 지닌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며,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구분한 이황의 시도를 긍정하였다. 그럼에도 이들은 호발설이 갖는 오해의 소지를 없애고자, 이이가 리기불상리 원칙에 따라 마음의 발로 기제가 하나일 뿐임을 역설하였던 것을 논의의 논리적 기반으로 삼았다. 하지만 이들은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이 리의 위상을 약화하는 난점을 지닌다고 보며 ‘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단을 설명하였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조성기 및 임영과 구분되는 김창협의 입장이 확인된다. 조성기와 임영은 이황의 호발설에 착안하여 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단을 해석함으로써, 이이의 학설이 갖는 약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김창협은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의미상 주리와 주기로 구분한 취지는 긍정하였으나, 호발설을 통해 리의 역할을 드러내려 한 이황의 의도에는 주목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황의 사단 해석을 이이의 사단 이해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학문적 차원에서 의리(義理)를 실현하려는 문제의식을 지니며 의리의 내용을 담지한 ‘리(理)’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던 김창협은 사단을 이루는 리의 역할을 사유할 수 있었고, 이에 입각하여 이이 학설이 갖는 논리적 난점을 극복하려 하였다. 김창협이 리의 역할을 강조한 이황의 사단 해석에 근거하여 이이 학설의 논리적 약점을 보완하지 않은 데에는 그가 처했던 실존적 상황이 있었다. 당시 김창협은 서인의 학문적 정치적 입지를 회복하는 작업에 매진하였기에 이이의 학설이 갖는 논리적 약점을 이황의 설에 의거하여 보완하기란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남인에게 이론적 공격의 빌미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이 학설의 학문적 정통성을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창협의 사칠 논의는 이황과 이이의 이론적 장점을 종합한 퇴 율 절충론이라기보다, 서인의 학문적 정체성인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의 내적 완결성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둔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Prominent figures in the academic community who supported the eclecticism of Toegye and Yulgok were Cho Sung-gi, Lim Young and Kim Chang-hyeop. Although these scholars belonged to the Seo-in(西人) group, they did not unconditionally accept Lee Yi’s theory or reject Lee Hwang’s theory outright. They took Lee Hwang and Lee Yi's theories as a reference and tried to develop a discussion in line with Zhu's theoretical position. Unlike Lee Yi, who criticized and refuted the assertions of Lee Hwang, they approached the issue by understanding the problem at an expressive level within the Lee Hwang’s theory. They also acknowledged Lee Hwang’s attempt to distinguish between the Four Beginnings(四端) and the Seven Emotions(七情). Nevertheless, they wanted to clarify possible misunderstandings within Lee Hwang’s theory. They used Lee Yi’s theory as the basis for their discussio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y were in line with the eclecticism of Toegye and Yulgok. However, they found a flaw in Lee Yi’s theory that weakened the status of Li(理). This is why they have focuse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role of Li(理). Kim Chang-hyeop’s perspective differed from that of Cho Sung-gi and Lim Young. Cho Sung-gi and Lim Young interpreted the Four Beginnings as emotions arising from Li(理) and drew inspiration from Lee Hwang’s interpretation. Kim Chang-hyeop, however,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Lee Hwang’s differenti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but did not emphasize Lee Hwang’s consideration of revealing the role of Li(理). Rather, he considered Lee Hwang's interpretation to be similar to Lee Yi's understanding. However, Kim Chang-hyeop, who had the problem of realizing righteousness at the academic level and actively sought to interpret the 'Li' that contained the content of righteousness, was able to think about the role of Li in the form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on this basis, tried to overcome the logical difficulties of Lee Yi's theories. The reason why Kim Chang-hyeop did not compensate for the logical weaknesses of Lee Yi's thesis, which was based on Lee Hwang'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emphasized Li's role, was the existential situation in which he found himself. Kim Chang-hyeop was engaged in important work directly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Seo-in's academic and political position, so it was a burden for him to overcome the logical weaknesses of Lee Yi's thesis based on Yi Hwang's theory. It would have provided an opening for a theoretical attack and threatened the academic orthodoxy of Lee Yi’s thesis. Kim Chang-hyeop's discussio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pursuit of the internal completeness of Lee Yi's thesis, rather than a compromise between Lee Hwang and Lee Yi's theoretical merits.

      •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하공동구 재난 대응 의사결정 지원 방법에 관한 연구

        김지은(Jieun Kim),이미숙(Misuk Lee),정우석(Woosug Ju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지하공동구는 도시지역의 전력, 통신, 상수로를 수용하고 있는 시설로 지난 2018년 KT아현지사 통신구 화재처럼 공동구에서 재난이 발생하면 도시 전체가 마비되는 엄청난 피해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지하공동구 재난안전관리 통합플랫폼을 통해 지하공동구 재난관리 주체인 지하공동구 관리자, 수용시설 관리자 및 재난대응 체계상 담당자에게 적절한 재난예방과 재난 대응이 가능하도록 의사결정 지원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 KCI등재후보

        연잎 추출물과 연잎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비교

        김지은 ( Jieun Kim ),김배환 ( Bae-hwan Kim ),권수경 ( Soo Kyung Kwon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20 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tended to identify the potential as functional natural materials for soothing of skin and scalp using lotus leaf hot water extract (Nelumbo nucifera hot water extract, NHWE) and fermented lotus leaf extract (fermented nelumbo nucifera leaf extract, FNLE). The antioxidant evaluations such a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DPPH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measured. Cell survival rate was measured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LPS to check the toxicity, and the inhibitory rate of NO-producing and TNF-α and COX-2 protein expression were measured in Raw 264.7 cells after treatment of LP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ti-inflammatory effect. NHWE and FNLE showed 182.2 mg/g and 103.3 mg/g each i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26.8 mg/g and 49.1 mg/g each in flavonoid content. As for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high levels of antioxidants (86.6% and 93.7% in NHWE and FNLE) appeared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μg/mL. In DPPH electron-donating ability, NHWE and FNLE showed 66.1% and 73.3% at 1000 μg/mL. FNLE had more antioxidant ability than NHWE. In anti-inflammatory effects, inhibition rate of NO production by LP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t both NHWE and FNLE, and TNF-α and COX-2 expressions were also decreased by treatment of NHWE and FNLE. In particular, 200 μg/mL of FNLE showed the best anti-inflammatory effect. In summary, fermented lotus leaf extract showed good efficacy i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tests, and its potential as a functional ingredients was confirmed.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the soothing effect of the scalp and skin, but also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a functional food can be expanded, and it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as a natural functional raw material.

      • KCI등재

        바이오디자인과 활용 기술의 유형 연구

        김지은 ( Jieun Kim ),이지현 ( Jeehyu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4

        연구배경 최근 이상적인 디자인의 실현을 위한 디자인 연구가 확대되고 있는 흐름 속에서 ‘바이오디자인’은 융합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미래 디자인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바이오디자인은 생명체와 생태계 연구를 기반으로 보다 더 기능적이고 지속가능한 혁신적인 재료와 새로운 생산 공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인 연구를 통해 사회적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미래를 제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디자인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바이오 디자인에서 활용하는 융합기술의 유형과 범주를 파악하려하였으며, 이를 통해 바이오디자인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국내외 전문서적, 논문,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넷 사이트와 전문서적 등을 통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까지 조형예술,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 바이오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보고 바이오디자인의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2000년 이후에서 현재까지의 바이오디자인 사례를 수집하여 대표적인 디자인 사례들을 중심으로 디자인에 인용된 생물의 생물학적 특성, 디자인 표현의 특성, 디자인 공정의 방법과 활용된 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바이오디자인과 융합 기술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디자인의 유형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생물체의 구조적 형태의 구현’은 생물체의 외적 형태를 비롯한 구조적 형태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가시적, 심미적 구현이 주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생물체의 기능 및 메커니즘의 구현’은 생물 체의 내적 기능과 생물체의 행동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기능성 위주의 기술적 구현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생태 시스템의 구현은 생물체가 살아가는 생태계의 자연법칙과 규범 그리고 심리적 기능 및 윤리성, 상징성을 구현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오 디자인 구현에 활용되는 주요 융합기술의 유형은 컴퓨터 기반의 디자인 구현 기술로 컴퓨터로 디자인 제품의 외형, 구성 재료, 제조공정 등 제품을 생산하는 모든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디지털 패브리케이션’과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기술을 중심으로 물리적, 생물학적 기술을 디지털 정보 기술로 결합하여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디자인 개발이 가능하게 하며 이를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유형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 테크놀러지’, 그리고 생물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고 유용한 특성을 활용하는 기술로 디자인 생산, 가공의 전 과정에서 보다 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제작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유전공학과 같은 생물학을 활용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바이오테크놀로지’로 분류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바이오디자인 개념을 기반으로 디자인과 과학기술의 이상적인 융합 연구의 사례를 보여줌과 동시에 디자인에 적용 되는 과학기술의 활용 방향성과 그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였으며, 디자인에 영감을 주는 생물이 가지는 미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기술의 활용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Background Recently, convergence design research is expanding to realize ideal design, and “Bio-Design” is leading design research as an future design based on convergence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and categories of new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technology field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and type of biological design, and attempte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biological design.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source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books and paper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researching for related keywords on Internet sites.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design, and the types of convergence technologies shown in biologicak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re analyzed. Result Biological design types could be classified into ‘implementation of structural forms of organisms’, ‘implementation of functions and mechanisms of organisms’, and ‘implementation of ecological systems’. The types of major convergence technologies used to implement bio-design could be classified into ‘digital fabric’, ‘smart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direction and scope of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applied to design while showing examples of ideal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biological design and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on the aesthetic value and sustainable technology of creatures that inspire design.

      • KCI등재

        사회적 통합을 위한 통합학급 음악 수업의 경영과 교육과정 설계

        김지은 ( Kim Jie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음악교육은 해마다 증가하는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와 일반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동시에 만족시킬 뿐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다. 음악 수업을 통합교육의 매개체로 잘 활용하고, 효과적인 통합학급의 경영과 음악 교육과정의 설계를 통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사회적 통합을 좀 더 쉽게 이룰 수 있다. 교사들은 음악 수업을 통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긍정적인 사회적 교류를 최대한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역량을 선보이며 통합학급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통합을 위한 통합학급 환경 조성에 부합하고 음악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음악 학습이 되도록 의도적으로 교육과정을 설정,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통합학급 음악 수업의 환경 조성과 관리에 대한 방안, 효과적인 학습 목표 설정과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모든 학생이 통합학급이라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연스러운 사회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친사회적인 학급 분위기 조성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교사들의 역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통합학급 음악 수업을 위한 두 가지의 학습 목표―음악 교육적 목표와 사회적 목표―설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교수·학습 방법에의 동료지원학습의 중요성과 시행 방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Music education not only can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a growing number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every year and those of general students, but also accommodate the diversity of individual students. By utilizing music classes as a medium for inclusive education, there are effective ways to design inclusive music classrooms and curriculum for social inclusion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Teachers can demonstrate the ability to maximize positiv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while managing inclusive music classrooms. It is also possible to deliberately create and teach a music curriculum with both educational and social values that help facilitate an inclusive classroom environment for social inclusion.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nclusive practices to foster an inclusive music classroom environment for social inclusion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as well as effective music learning goal sett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 discuss in detail the vital roles of teachers for creating and managing a pro-social classroom climate in which natural social interactions can take place among all students as class members. Also, I argue for the necessity of setting two learning goals―music educational goals and social goals―for inclusive music classes,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implementation of peer-assisted learning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음악 수업에서 형성적 자기평가의 적용 방안 탐색: 점검표, 자기 질문법, 기술식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김지은 ( Kim Jieun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 수업에서 점검표, 자기 질문법, 기술식 자기평가를 중심으로 형성적 자기평가에 대한 이해와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형성적 자기평가 유형을 성공적으로 실행한 교사들의 사례에서 도출한 교수·학습의 공통적인 흐름을 살펴보면, 교사는 학생들과 공동으로 학습 목표와 세부적인 평가 기준을 구성하고,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와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에게 반복적으로 자기 성찰과 수정과 보완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평가 진행 과정 중에 자신의 학습에 관한 끊임없는 자기관찰을 유도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학습향상과 함께 자신의 학습에 대한 더 큰 소유권을 가질 수 있었다. 음악 수업에서 이러한 평가 유형에 학생들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수업의 도입 부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업 목표와 평가 기준을 정하는 활동이 필요하고, 둘째, 학생들이 평가 기준에 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고, 셋째, 교사의 즉흥성과 융통성이 발휘돼야 하며, 넷째, 학생들의 연습 일지 활용을 권장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성에 부합하는 이러한 자기평가 유형은 다양한 형태의 음악 수업 방식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reates an understanding of practical ways of implementing formative self-assessment focusing on a checklist, self-questionnaire, and narrative self-assessment in music. The common flow of teaching and learning derived from the successful cases of implementing these formative self-assessment types showed that the teachers collaborated with students to set learning goals and construct detailed evaluation criteria. They also allowed students to have repetitive self-reflection and revision opportunities through linking self- and peer assessment, rendering constant self-observation on their learning during the assessment process. As a result, students could enhance their knowledge and take greater ownership of their learning. There are effective ways to increase students' accessibility to these types of assessments in music: (a) actively utilizing the beginning part of the lesson to establish learning goals and evaluation criteria, (b) student's clear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criteria, (c) improvisation and flexibility in teaching, and (d) student's use of practice journals. These formative self-assessment types can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emphasized in the current Korean school education system; therefore, we can utilize these assessment types for diversifying music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