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융제 및 Ta<sup>5+</sup> 치환이 Lu(Nb,Ta)O<sub>4</sub>:Eu<sup>3+</sup> 형광체의 발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김영진,Kim, Jiwon,Kim, Young Jin 한국재료학회 2019 한국재료학회지 Vol.29 No.9

        $Lu(Nb,Ta)O_4:Eu^{3+}$ powders are synthesized by a solid-state reaction process using LiCl and $Li_2SO_4$ fluxes. The photoluminescence (PL) excitation spectra of the synthesized powders consist of broad bands at approximately 270 nm and sharp peaks in the near ultraviolet region, which are assigned to the $Nb^{5+}-O^{2-}$ charge transfer of $[NbO_4]^{3-}$ niobates and the f-f transition of $Eu^{3+}$, respectively. The PL emission spectra exhibit red peaks assigned to the $^5D_0{\rightarrow}^7F_J$ transitions of $Eu^{3+}$. The strongest peak is obtained at 614 nm ($^5D_0{\rightarrow}^7F_2$), indicating that the $Eu^{3+}$ ions are incorporated into the $Lu^{3+}$ asymmetric sites. The addition of fluxes causes the increase in emission intensity, and $Li_2SO_4$ flux is more effective for enhancement in emission intensity than is LiCl flux. The substitution of $Ta^{5+}$ for $Nb^{5+}$ results in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emission intensity of $LuNb_{1-x}Ta_xO_4:Eu^{3+}$ powders, depending on amount and kind of flux. The findings are explained using particle morphology, modification of the $[NbO_4]^{3-}$ structure, formation of substructure of $LuTaO_4$, and change in the crystal field surrounding the $Eu^{3+}$ ions.

      • KCI등재

        정인보의 실심(實心)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

        김지원 ( Kim¸ Jiwon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정인보의 실심 사상을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정인보는 성실하고 진실된 인간의 마음을 의미하는 실심(實心)을 각자의 존재 본체로 회복해야 한다는 ‘실심 환성(喚醒)’을 강조하였다. 실심 환성은 감통(感通)의 실천과 주체성의 확보로 이어지며 정인보는 이를 통해 국망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정인보의 실학(實學) 개념은 ‘실심의 학문적 구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학문의 목적과 태도가 실심에 근원할 때 참된 학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정인보는 동양 전통의 심학(心學)을 계승하여 실심 사상을 전개하였으며, ‘실심 환성’은 민족의 자강과 독립을 위한 시대적 과제이자 인간 본연의 보편적 과제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실심 환성은 삶의 주재자로서 위상을 회복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감통을 실천하며, 개방적이고 유연한 삶의 태도를 형성하고, 지적 배움과 성장의 동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는 실심을 존재 주체로 회복함으로써 나타나는 삶의 태도와 방식으로 인간의 바람직한 성장을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교육철학적 함의를 지닌다. 이러한 정인보의 실심 사상은 마음을 존재 본질로 이해하고, 마음의 본래적 발현을 교육의 근간으로 삼는 마음교육 담론에서 해석 될 수 있으며, 근대 시기의 중요한 마음교육의 사례로 주목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Jeong In-bo’s Silsim (實心) with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Silsim refers to the “genuine and sincere Xin (心) of a human being.” Jeong In-bo emphasized the “recovery of Silsim,” stating that Silsim needs to be recovered as its true essence. He attempted to overcome the crisis of his era through social empathy and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via the recovery and manifestation of Silsim. His idea of Silhak (實學), an academic manifestation of Silsim, shows that academia can realize its essence only when its purpose is derived from Silsim. His Silsim theory, inheriting the Oriental tradition of School of mind (心學), is meaningful in that the recovery of Silsim represents not only national independence as a contemporary task of the era but also a natural duty as a human being. The “recovery of Silsim” leads an individual to restore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practice empathy toward others, form an open and flexible attitude in life, and secure a powerful source of motivation for intellectual learning and growth. The recovery of Silsim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educational philosophy, as it leads to the desired growth in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This philosophy of Silsim can be interpreted in the “maum-education” discourse that construes the mind as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recovery and manifestation as the basis of education; moreover, it can be marked as a paragon of maum-education in modern Korean history.

      • KCI등재

        비행경로각 조정에 의한 중거리 탄도미사일의 비행궤적 특성 해석

        김지원,권용수,Kim, Jiwon,Kwon, Yong Soo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8 No.2

        North Korea has developed ballistic missiles over the past 30 years. It is believed that they have a variety of ballistic missiles more than 1,000. Because these ballistic missiles threaten South Korea directly, accurate analysis of them is essential. Flight trajectories of the ballistic missiles are generally changed by means of adjusting payload weight, Isp, flight path angle, and cut-off time. The flight path angle is widely used to control the missile ran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missile trajectory exactly in real operational environment because the missile could be launched according to its intention and purpose. This work analyzed the 1,000 km range MRBM's trajectory characteristics from adjusting flight path angle which is depressed as well as lofted method. The analysis of missile trajectory characteristics is based on the simulation of the missile trajectory model developed by KNDU research team.

      • KCI등재

        나노 금속 격자형 편광필름 제작에서 증착 두께에 따른 광 특성 연구

        김지원,조상욱,정명영,Kim, Jiwon,Cho, Sanguk,Jeong, Myung Yung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5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나노 금속 격자형 편광 필름 제작에서 증착 두께에 따른 광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노 금속 격자형 편광필름은 PET(Polyethylene phthalate)기판 위에 알루미늄 선 격자 구조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 편광필름 제작을 위한 증착공정을 통한 금속 격자 형성을 목표로 하였으며, 금속 격자형 편광 필름 제작에 있어 최적의 투과율과 소광비를 가지는 금속 박막 형성 조건을 도출하였다. 최적화 공정에 의해 나노 금속 격자형 편광필름은 140 nm 주기, 70 nm 선폭, 70 nm의 금속층 높이를 가지는 금속 격자 구조로 제작 되었다. 분석결과 600 nm 파장에서 80% 이상의 최고 투과율 및 $10^6$ 이상의 소광비를 가지는 나노 금속 격자 편광필름의 높은 광 특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change of optical characteristic by thickness of metal deposition on nano metal grid polarizer film fabrication. Nano metal grid polarizer film consists of aluminium grid polarizer layer on PET (Polyethylene phthalate) substrate. We aim at metal grid layer formation for the large nano wire grid polarizer fabrication. we draw process conditions of the nano metal grid polarizer film fabrication to improve transmittance and extinction ratio and Nano wire grid polarizer film (NWGP) film is fabricated with 140 nm pitch, 70 nm width, and 70 nm depth of metal grid on optimum design conditions. As a result, we get high optical properties of nano wire grid polarizer which is the maximum transmittance of 80% and the extinction ratio of $10^6$ at 600 nm wavelength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4대강 개발과 전문성의 정치

        김지원(Jiwon Kim),김종영(Jongyoung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7 No.1

        이 논문은 4대강 개발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활동과 전문지식의 경합을 다룬다. 물의 생산과 관리는 자연-사회-과학기술의 복합적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새로운 사회-자연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들 논쟁은 혼종적이며 정치적, 경제적, 과학기술적 문제들을 동시에 수반한다. 이론적으로 이 논문은 사회운동에서의 전문지식의 정치성에 기반한다. 경험적으로 이 논문은 4대강 개발에 여러 입장을 취한 18명의 전문가들의 인터뷰와 다양한 문헌을 바탕으로 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1장에서는 문제제기를 통해 환경논쟁, 특히 환경운동에서의 전문지식의 역할이 왜 중요하며 4대강 개발 반대운동에서의 전문성의 정치가 가지는 함의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2장에서는 전문성 정치와 전문가들의 사회운동 참여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여기서는 사회운동에서 전문성 정치가 왜 중요하게 부상하였는지를 설명하고 한국의 사례연구를 통해 사회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다양한 참여 양상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이 논문의 연구방법과 분석을 설명할 것이다. 4장과 5장에서는 4대강 개발과 둘러싸고 반대측과 찬성측 전문가 그룹의 형성 과정과 활동에 대해 분석한다. 6장에서는 전문지식을 둘러싼 논쟁을 다루는데 여기서는 보 건설로 인한 홍수예방 효과와 역행침식 문제, 물 확보와 수질 개선 문제, 법적 논쟁, 경제적 논쟁, 그리고 생태계 훼손 문제 등 5 가지 분야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토론에서는 4대강 개발을 둘러싼 전문성의 정치를 관료지식동맹과 대항지식동맹사이의 갈등으로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4대강 개발을 둘러싼 전문성의 정치가 4대강 개발의 내용적, 절차적 문제를 동시에 아우르는 복합적 성격을 띠며, 결과적으로 물의 생산과 관리에 대한 국가-전문가체계의 균열을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experts’ activities and their contested knowledge productions in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Because water governance involves complex interactions among nature, society, and techno-science, the contestations include political, economical, and scientific problems simultaneously. Theoretically, this paper is based upon expertise studies and social movement studies to understand the political nature of expert knowledge. Empirically, this paper draws on 18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in various ways. The paper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we introduce our research question concerning why we studied experts’ activities and roles in the project, explaining the importance of science’s role in environmental controversies. In the second section, we undertake literature reviews of the politics of expertise and its role in social movements. We also explain why the politics of expertise emerges as a central problem in contemporary social movements and introduce sample case studies set in Korea that analyze experts’ diverse modes of participation. In the third section, we discuss our research methods. In the fourth and fifth sections, we describe how experts supporting and opposing the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emerged or were recruited, and we examine their roles and activities. In the sixth section, we examine the contestations of expert knowledge in five areas: (1) the dams’ effectiveness for flood control and the safety of the dams themselves, (2) water security and water pollution problems, (3) legal problems, (4) economic issues, and (5) effects of the project on the ecosystem. In discussion, we argue that the contests between experts concerning the project can be understood as a conflict between an alliance of bureaucratic knowledge and an alliance of oppositional knowledge. In conclusion, the politics of expertise in this case simultaneously raises substantial techno-scientific and legal questions that eventually threatened to fracture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experts on water governance.

      • KCI등재후보

        추임새의 행위와 교육적 가치에 관한 교육철학적 당위 제언 - 거트 비에스타(Gert J. J. Biesta)의 주체성과 가르침 개념을 중심으로 -

        김지원(Jiwon Kim) 한국국악교육학회 2024 국악교육 Vol.54 No.54

        개방적인 공간에서 연행되던 기존의 판소리에서는 관객과 연행자 간의 양방향적인 소통이 자유로웠고, 이로 인해 관중으로부터 표현되는 추임새의 개입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세기 말~ 20세기 초를 거치며 무대와 객석이 엄격히 분리된 서양식 무대 극장에서 판소리가 연행됨에 따라 관객과 연행자 간의 양방향적 소통이 사라짐은 물론이고, 무대 외의 공간에서 들리는 다른 소리는 금기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현재의 판소리 연행 양태에서 추임새의 회복은 전통적인 판소리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강조되어 왔으나, 추임새 행위에 관한 경험과 교육이 교육철학적으로도 가치가 있음을 거트 비에스타(Gert J. J. Biesta)의 교육철학적 관점에 기하여 살펴보았다. 비에스타는 주체성의 출현을 교육의 주된 과업으로 바라보며, 이를 위해 복수성 · 언명에의 응답 · 수용적 태도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극장 내에 개인 외에도 불특정 다수인 타자가 공존한다는 점에서 판소리 공연장은 ‘복수성’이 갖춰진 공간이다. 또한, 판소리 공연을 관람하면서 음악에 심취하여 자기도 모르게 희열과 신명에 의해 표현되는 추임새는 바깥 세계로부터 오는 일종의 ‘언명이자 계시에의 응답’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극장 안의 객석에서는 별다른 소리를 내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에 의해 정관화(靜觀化)된 극장공연 예술 관람의 관습 속에서 개인의 추임새 행위로 인한 타자의 반응을 기꺼이 수용하는 것이 ‘수용적 태도’에 해당된다. 극장공연 예술로 연행되는 판소리 공연장에서 추임새의 행위는 비에스타에 의해 개념화된 주체성이 출현되는 과정이자, 이를 위한 조건을 갖춘 장소로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 나아가 판소리를 공연하기 전에 청 · 관중을 대상으로 추임새 행위를 독려하고 추임새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것은 교육을 시간 개념으로 바라보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에스타의 ‘가르침’ 개념과 상통한다. 이와 같이 추임새의 행위와 교육적 가치를 비에스타의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추임새의 교육적 당위를 확보하여, 보다 실천적인 추임새가 향유되는 데 활용되길 소망한다. In the existing pansori performed in an open spac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erformer was free, and as a result, the intervention of chuimsae expressed by the audience was recognized as natural. However, as pansori was performed in a Western-style stage theater where the stage and auditorium were strictly separated through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t was recognized that not only did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erformer disappear, but also that other sounds heard in spaces other than the stage should be taboo. In this current pansori performance pattern, the restoration of chuimsae has been emphasized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pansori, but the experience and education of chuimsae behavior are also valuable in terms of educational philosophy based on Gert J. J. Biestas educational philosophy perspective. Biesta sees the emergence of subjectivity as the main task of education, and argues that a pluralism, response of a revelation, and a receptive attitude are necessary for thi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ansori concert hall is a space equipped with the pluralism in that there are many unspecified others in addition to individuals in the theater. In addition, chuimsae, who is immersed in music while watching pansori performances,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the response to revelation from the outside world. It is a acceptance attitude to be willing to accept the reaction of others due to individual chuimsae behavior in the custom of unilateral viewing by the perception that no sound should be made in the auditorium in the theater. The act of chuimsae in a pansori concert hall performed as a theater performing art ahs educatinoal value as a process in which subjectivity conceptualized by Biesta emerges, and a place that meets the conditions for thi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반려동물 사육경험이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과학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 ( Kim Jiwon ),강지훈 ( Kang Jihoon ),유병길 ( Yoo Pyoungkil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초등과학교육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반려동물과 관련하여 반려동물의 사육경험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및 과학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74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사육경험에 따른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과학자아개념 수준을 ANOVA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반려동물 사육경험이 있는 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호기심, 과학자아개념이 사육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흥미와 호기심을 느끼며 반려동물 사육활동에 참여하며, 반려동물을 사육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및 성공적인 사육경험으로 인하여 자아개념도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동안 과학교육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반려동물을 소재로 하여 반려동물 사육경험이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eeding experiences of companion animal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science curiosity, and science self-concept in relation to companion animal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in modern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evel of four hundred and seventy-four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science curiosity, and science self-concept according to breeding experiences of companion anima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raising companion animals have higher interest in science, science curiosity, and science self-concept than students who have no experience in raising companion animals. It is believed that students participate in breeding activities of companion animals with interest and curiosity, and that self-concept has increased due to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necessary to raise companion animals and successful breeding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breeding experiences of companion animals for science education, using companion animals that have not been studied much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so far.

      • KCI등재후보

        진단용 초음파 검사시간에 따른 허벅지의 온도 변화에 관한 고찰

        김지원(Jiwon Kim),임현수(Hyunsoo Lim)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3

        진단적 초음파가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연구결과,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장시간의 과도한 조사는 초음파가 인체조직에 온도 상승이나 물리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초음파 검사시간에 따라 허벅지의 온도 변화를 조사하여 태아 초음파 검사 시 영향이 없는 시간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음파 검사 전보다 40분 안에는 온도가 떨어졌고 50분에는 허벅지의 온도가 검사 전보다 1℃이상 올라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40분 안에 초음파 검사를 한다면 안전한 것으로 추론해 본다. Effect of prenatal ultrasound diagnosis have serious damage for the possibility has been reported very low. Long time ultrasound scan can rise the temperature in body tissues and affect the physical. Changes in body temperature have been studied with ultrasound scan time. Fetal ultrasonography were evaluated without the influence of time. The findings, ultrasound scan time in 40 minutes the temperature was reduced. 50 minute tissue temperature rose more than 1 ℃. If within 40 minutes of ultrasound to be safe gu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