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방 십자 인대의 결절종으로 인한 슬관절 굴곡 구축 - 1례보고 -

        김준식,양문승,Kim, Joon-Sik,Yang, Moon-Seung 대한관절경학회 199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2 No.1

        Ganglion i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s quite rare finding at the time of knee arthroscopy. We experienced a 58 years old female pateint with a ganglion i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who complained gradual development of flexion contracture of left knee joint and treated with arthroscopic excision of ganglion resulted in freedom from flexion contracture of her knee joint.

      • KCI등재

        40세 이상 중·노년의 질병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과 우울증의 관계

        김정운 ( Jung-woon Kim ) , 김준식 ( Joon-sik Kim ) , 임정준 ( Jung-jun Lim ) , 김연수 ( Yeon-soo Kim ) , 이온 ( On Lee ) , 최보율 ( Bo-youl Choi ) , 김미경 ( Mi-kyung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질병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과 우울증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농촌기반 코호트 사업에 참여한 40세 이상 남녀 2,754명(남자 1,025명, 여자 1,7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기초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신체활동 설문과 우울증 척도 검사(K-CESD), 질병유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초평가는 신장, 체중,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신체활동과 우울증 유병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일반사람과 질병을 가진 환자에서 신체활동은 우울증 유병률을 각각 33%, 51% 감소시켰다. 둘째, 주 1회~2회의 신체활동은 질병을 가진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을 51% 감소시키며, 3회 이상은 일반사람 37%, 질병을 가진 환자 33%의 우울증 유병률을 감소시켰다. 셋째, 주150분 미만의 신체활동은 질병을 가진 환자의 우울증 유병률을 43% 감소시켰으며, 주 150분 이상 300분미만의 신체활동은 일반사람 43%, 질병을 가진 환자 52%의 유병률을 감소시켰다. 주 300분 이상의 신체활동은 일반사람에서 38%의 우울증 유병률 감소 효과가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우울증 유병률을 최대로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ACSM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신체활동 수준이 적합하다. 또한, 질병을 가진 환자는 일반사람보다 적은 빈도와 양의 신체활동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sease. [Methods] A survey and basic assessment were conducted for 2,754 (Male=1,025 and Female=1,729) aged 40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rural-based cohort study. The survey included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scale and disease preservation. The basic assessment measured height,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prevalence. [Results] First, physical activity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by 33% and 51%, respectively,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patients with the disease. Second, physical activity once or twice per week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sease by 51%, and at least three physical activities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by 37%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33% of patients with disease. Third, physical activity less than 150 minutes per week reduc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sease by 43%, and physical activity of more than 150 minutes and less than 300 minutes per week reduced the prevalence of 43% of the general population and 52% of patients with disease. Physical activity over 300 minutes per week had a 38% reduction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suggested by the ACSM guidelines is appropriate to reduc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ddition, the patients with the disease was found to be effective with less frequency and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an the general person.

      • KCI등재후보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0년간(1993-2003)의 통계적 방법론에 대한 분석

        김준식(Joon-Sik Kim),권태찬(Tae-Chan Kwon),이충원 (Choong-Won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목 적 : 1993년에서 2003년 사이에 간행된 대한소아신경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사용된 연구 방법과 통계적 방법론의 변화와 오류를 분석하여 더 나은 학회지가 되도록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3년에서 2003년 사이에 간행된 대한소아신경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원서 288편을 대상으로 통계학적인 방법론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 방법은 횡단면적 연구가 232편(80.6%)으로 가장 많았으며 1993-1994년에는 91%(55편)이었으나 기간이 지나면서 70.8%(51편)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동물 실험은 45편으로 15.6%이었으며 기간이 지나면서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 1993-1994년에는 3편(5%)에 불과하였으나 2001-2003년에는 20편(27.8)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코호트 연구는 전체 11편으로 3.8%에 불과하였고 기간이 지나도 변화가 없었다. 논문에 사용된 통계학적인 방법 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것은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또는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가 127편(44%)이었다. 다음은 t-검정이 77편(47.8%)이었으며 독립성 검정이 72편으로 25%이었으며 분산 분석(ANOVA)은 23편(8%)이었으며 상관 분석 및 회귀 분석 15편(9%)이었고 생존 분석 2편(1%)에 불과하였다. 결과 또는 표에 P값만 제시해두고 어떤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19편으로 6.6%나되었으며, t-검정이나 분산 분석의 구체적 방법 및 사후 검정에 대한 언급이 없어 통계적 기술로 부적절하였던 경우까지 포함하면 46편으로 전체 논문의 29%에 달하였다. 연도별로 보면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기술 통계만을 사용한 것이 1993-1994년 53.3%이었던 것이 매 기간마다 감소하여 2001-2003년에는 37%까지 감소하였으며, 이에 반하여 t 검정은 1993-1994년에 18.3%이었던 것이 매 기간마다 증가하여 2001-2003년에는 37%까지 증가하였으며, 결과 또는 표에 P값만 제시해 두고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는지 알 수 없는 경우는 10%대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상대적으로 횡단면적 연구와 기술 통계에 그친 논문이 많았으며,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간단한 t-검정이나 독립성 검정이 주류를 이루었고, 다중비교는 거의 볼 수가 없었다. 결 론 : 대한소아신경학회지의 게재될 논문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연구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통계방법이 적용되어야 하겠고 통계적인 타당성의 향상을 위해서 논문 게재를 원하는 저자와 편집자 양측 모두가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목 적 : 1993년에서 2003년 사이에 간행된 대한소아신경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사용된 연구 방법과 통계적 방법론의 변화와 오류를 분석하여 더 나은 학회지가 되도록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3년에서 2003년 사이에 간행된 대한소아신경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원서 288편을 대상으로 통계학적인 방법론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 방법은 횡단면적 연구가 232편(80.6%)으로 가장 많았으며 1993-1994년에는 91%(55편)이었으나 기간이 지나면서 70.8%(51편)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동물 실험은 45편으로 15.6%이었으며 기간이 지나면서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 1993-1994년에는 3편(5%)에 불과하였으나 2001-2003년에는 20편(27.8)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코호트 연구는 전체 11편으로 3.8%에 불과하였고 기간이 지나도 변화가 없었다. 논문에 사용된 통계학적인 방법 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것은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또는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가 127편(44%)이었다. 다음은 t-검정이 77편(47.8%)이었으며 독립성 검정이 72편으로 25%이었으며 분산 분석(ANOVA)은 23편(8%)이었으며 상관 분석 및 회귀 분석 15편(9%)이었고 생존 분석 2편(1%)에 불과하였다. 결과 또는 표에 P값만 제시해두고 어떤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19편으로 6.6%나되었으며, t-검정이나 분산 분석의 구체적 방법 및 사후 검정에 대한 언급이 없어 통계적 기술로 부적절하였던 경우까지 포함하면 46편으로 전체 논문의 29%에 달하였다. 연도별로 보면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기술 통계만을 사용한 것이 1993-1994년 53.3%이었던 것이 매 기간마다 감소하여 2001-2003년에는 37%까지 감소하였으며, 이에 반하여 t 검정은 1993-1994년에 18.3%이었던 것이 매 기간마다 증가하여 2001-2003년에는 37%까지 증가하였으며, 결과 또는 표에 P값만 제시해 두고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는지 알 수 없는 경우는 10%대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상대적으로 횡단면적 연구와 기술 통계에 그친 논문이 많았으며,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간단한 t-검정이나 독립성 검정이 주류를 이루었고, 다중비교는 거의 볼 수가 없었다. 결 론 : 대한소아신경학회지의 게재될 논문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연구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통계방법이 적용되어야 하겠고 통계적인 타당성의 향상을 위해서 논문 게재를 원하는 저자와 편집자 양측 모두가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Vigabatrin을 투여 받은 소아에서의 시야 결손

        김준식(Joon Sik Kim),이상락(Sang Lak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1

        Vigabatrin(VGB)에 의한 무증상성 양측성 시야결손에 관한 많은 보고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시야 축소의 경우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는 Vigabatrin(VGB)의 투여기간이 다른 연구에 비해 평균 14개월로 짧았던 점과 자동 시야계 검사를 시행한 소아의 부적절한 협조로 인한 검사의 부정확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VEP(visual evoked potential) 방법 등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며, Vigabatrin을 처방함에 있어서 주의와 정기적인 시야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Vigabatrin has proved to be a successful and well tolerated drug used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of partial onset and for infantile spasms(West's syndrome). It is a selective and irreversible inhibitor of gamma-aminobutyric acid transaminase that is associated with visual field defect.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visual field defects in children treated with Vigabatrin. Methods: We performed a complete neuroophthalmologic examination and electrophysiologic studies on 28 patients receiving Vigabatrin. They underwent static perimetry using either full field 81 points or central 30-2 threshold screening program on the Humphrey visual field analyser, followed by the ophthalmic examination to rule out ocular causes for visual field defects. Results: The patients had a mean age of 11.9±3.1 years and the mean treatment duration with Vigabatrin was 14.9 months. 11 of 28 patients were abnormal on static perimetry. Among them, four were false negative, one was false positive and two had fixation loss, which were suggestive of poor cooperation. Four of them had visual field defects including right homonymous inferior quadrantanopia, left incongruous incomplete hemianopsia, bilateral right homonymous hemianopsia, bilateral left homonymous hemianopsia. Conclusion: Visual field examination in children is more difficult than in adults because of a lack of cooperation. Although we could not find any patients with visual field defect from Vigabatrin, vigilance and close follow up are necessary when the drug is prescribed.

      • 인증 및 키 합의를 위한 무인증서 서명 기술

        김준식 ( Joon Sik Kim ),엄지은 ( Jieun Eom ),이동훈 ( Dong Ho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사용자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은 두 사용자의 안전한 통신에 필수적인 세션키를 생성하는 프로토콜이다. 전자서명과 디피-헬만(Diffie-Hellman) 키 합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증 및 키 합의를 수행할 수 있으나, 각각의 파라미터 정보를 모두 공유해야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ID 기반 서명을 이용하여 인증과 키 합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는데, 기본적으로 ID 기반 서명은 키 위탁(key escrow)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 인증과 키 합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무인증서 (certificateless, CL) 서명 기법을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인증 및 키 합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간척농지 논의 BMP 오염부하량 분석

        김준식 ( Joon-sik Kim ),윤춘경 ( Chun-gyeong Yoon ),조문수 ( Moonsoo Cho ),조성진 ( Sungjin Cho ),이효준 ( Hyojun Lee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농업용수의 80% 이상을 논에서 사용하고 있고, 지역이나 토양, 기후 특성, 오염원 종류, 관개 및 시비 등 경작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영농 기법이 존재하고 있으나, 영농 방법에 따른 농업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유출 특성 규명, 배출 특성에 따른 부하량 정량화 기법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며, 다른 토지이용과 수문현상이나 오염배출형태가 현저히 달라서, 기존의 토지이용에서 수행한 배출부하량에 관한 연구결과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매우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논의 비점오염물질 순환기작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논은 지역이나 용수원의 형태, 물관리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국단위의 비점오염 정량화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논의 최적관리기법을 도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척농지 논에서의 비점오염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최적관리기법(BMP)을 선정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논에 적용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BMP 영농방법을 개발 및 적용하여 조사하기 위해 석문 간척지구 내 간척지 논을 연구대상지구로 선정하였고, 관행 영농방법(물꼬높이 7cm, 복합비료) 2필지, BMP 영농방법(물꼬높이 12cm, 완효성 비료) 2필지를 선정하여 관개/배수량/담수심/침투량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험포장을 운영하였다. 관행 및 BMP시험구 비점모니터링 결과, BMP 시험구의 지표배수량은 관행 대비 평균 65.9% (관행: 828.1 mm, 물관리: 282.7 mm) 저감되는 것으로, 지표배수 부하량은 관행대비 평균 TN이 45.8% (관행: 1.36 kg/10a, BMP: 0.74 kg/10a), TP가 57.357.% (관행: 0.128 kg/10a, 물관리: 0.055 kg/10a)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MP 시험구의 총 유입량 대비 지표배수량은 관행 대비 평균 24.7% (관행: 63.7%, 물관리: 39.0%) 저감되는 것으로, 총 유입부하량대비 지표배수 부하량은 관행 대비 TN이 2013년에는 2.6%(관행: 5.5%, 물관리: 9.4%) 증가하나 2014년에는 3.9% 저감되며(관행: 6.8%, 물관리 3.7%), TP도 2013년에는 0.4%(관행: 3.7%, 물관리: 3.3%) 증가하나 2014년에는 0.4% 저감(관행: 2.3%, 물관리 1.9%)되었다. 관행 및 BMP 시험구에서 TN과 TP의 지표 배수부하량은 BMP 시험구의 배수량이 관행구보다 저감 되었으나, 유입량 대비 지표 배수량은 관개량에 따라 증가하거나 저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