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일만 전통 어로 항법과 생업지식 구축

        김준수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70

        영일만 지역 어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어민들이 전승해온 민속지식으로서의 항법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했는지 살펴보려고 했다. 또한 어민들이 전통 항법지식을 통해 그들이 활동하는 지역의 생태적 조건과 어장들에 대한 생업지식이 어떤 모습으로 구축되었는지 알고 그 의의를 밝히려고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의의를 밝힐 수 있었다. 첫째, 지금까지 어로민속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항법지식이라는 영역을 논의의 중심에 둠으로써 어민들이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민속적인 방식을 민속신앙의 영역에 한정짓지 않고 생업지식 자체에도 조명을 할 수 있었다. 둘째, 어민들의 전통 항법지식은 곧 그들이 하루 동안 생업 활동하는 지리적 환경과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어민들의 민속지리를 이해하는 어촌민속 현장조사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ishers used navigation methods from folk knowledge based on a field survey on the fishers of Yeongilman Bay. Also, this study aimed to reveal how ecological conditions of the region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fishing grounds are shown in traditional navigation methods.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eds light on professional knowledge of fishers instead of limiting the scope to the domain of folk belief by discussing navigation knowledge that had been regarded as unimportant in fishing folklore. Second, the traditional navigational knowledge of fishermen was found to be possible as a field survey method for fishing villages, providing clues to the folk geography of fishermen because they are deeply related to the geographic environment in which they live throughout the day.

      • KCI등재

        한강의 생산: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와 인간 너머의 물 경관

        김준수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1

        본 연구는 한국의 발전주의 도시화 과정 속에서 국가의 축적전략과 헤게모니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된 한강의 생산 과정을 탐구한다. 한강의 생산 과정은 발전국가에 의한 ‘국가화된 자연’을 넘어서 한강의 물질적 특성이 발현되는 과정과동반되어 나타난다. 먼저 국가 영역은 끊임없이 한강을 자원화하기 위한 전략들을펼친다. 이는 한강의 물질적 특성 즉 높은 하상계수와 홍수에 의한 범람 등의 ‘자연 극복’의 측면과 더불어 여의도 개발, 강남개발을 목표로 한강에 대한 국가의영역화 과정이 진행된다. 그뿐만 아니라 한강의 하구와 상류는 북한과 보이지 않는 형태의 국경을 형성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발전국가는 북한의 수공(水攻)에 대비한 다양한 물리적·사회적 경계들을 설치한다. 자원과 국경으로서 한강을 바라본 국가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한강에 각종 비인간들을 배치하고1980년대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을 계기로 ‘한강종합개발계획’이라는 메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그러나 국가에 의해 배치된 다양한 비인간 행위자들은 1990년대가지나면서 의도치 않은 결과들을 불러왔다. 특히 수질 악화의 과정과 더불어 장항습지의 등장은 한국의 발전국가로 하여금 새로운 형태의 도시계획과 제도적 전략의 변화를 불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의 생산 과정이 단순히 국가의 계획과 의도대로 흘러간 과정이 아니라 그 사이에 배치된 비인간들의 행위성 발현을통해 혼종적인 형태로 형성되어온 과정임을 밝힌다. 특히 최근 관계 재조정을 요구받고 있는 국가와 한강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한강을 단순히 인간행위자들에 의해 조정된 공간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비인간의 경합을 통해 ‘형성되어 가는 공간’으로 바라보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발전주의 이후의 물 경관에 대해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방법론적 실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Han River as part of the accumulation and hegemony project in the developmental urbanization in South Korea.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Han River is accompanied by various nonhuman actors which beyond ‘State-ized Nature’. First of all, the state constantly embodies the strategies to rendering to resources the Han River. This is the process of state-ization of the Han River with the aim of development of Yeoui-do and Gangnam along with the ‘overcoming nature’ such as overcoming high river bed factor and flood control. In addition, the estuaries and upstream of the Han River form an invisible form of border with North Korea. For that reason, South Korea’s developmental state set up various physical and social boundaries in preparation for North Korea’s water offensive. State that have looked at the Han River as a resource and border, have been deploying various non-humans in the Han River since the 1960s called “Han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This mega river development plan started for preparing 1986 Asian Games and 1988 Seoul Olympics. However, various nonhuman agents deployed by the state have brought unintended consequences in the 1990s. In particular, along with the process of deteriorating water quality, the emergence of Janghang wetland has brought the necessities of new form of urban planning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o the developmental state.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Han River is not merely a process of state plans and intentions, but a process that has been formed in a hybrid form through the manifestation of the nonhuman actors. Especial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n River and the State which is recently requested to be readjusted. The Han River is viewed as merely adjusted by human actors and its intention. But here, I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 of re-interpret the production of Han River as human-nonhuman and state-nature’s intertwined process. Co-constitution of human-nonhuman actors in the urban space ultimately, show us the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post-developmentalism.

      • KCI등재

        “習”字上古聲母考

        김준수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4 中國學論叢 Vol.46 No.-

        習字初文作”習”, 見於蔔辭, 字從水從, 爲將絲炭於架上之形. 濕字本爲水名, 讀作ta, 後世以”濕”代”習”, 因此後人由”塔”爲水名, “塔”本爲濕字之訛體. ≪說文≫認爲濕字從現聲,非是. 濕字是在字上增加日旁而造, 與現字(顯字之省體)無關. 顯字屢見於銅器銘文, 其結構爲從日從從頁, 爲聯字之初文. 由於濕字右半與顯字左半小篆寫法完全一致, ≪說文≫誤以爲皆從現聲, 而實際上二者來源不同, 丙非屬於同一諧聲系列. 又, 顯字古韻禮於元部, 而聲系字古韻全屬於緝部, 二者古音遠隔, 互不通轉. 因此,構擬聲系字之古音, 排除顯字方能得到正確的結論. 鄭張尙芳(;00)將聲系的聲幹構擬作舌根鼻音ŋ-, B-S(;0````)則作小舌塞音q-, 而本文認爲其聲幹應當是流音l-. (= )字見於金文, 結構可析爲從着從節省聲, 在銅器銘文中或讀”習”, 或讀”襲”. 黃德寬(``)認爲字才是襲擊之”襲”的本字. 字與襲字古音密近無疑. 襲字從答聲, 答聲系的聲幹爲流音l-, 由此可推知, 聲系的聲幹亦爲流音l-. 如此構擬,利於解釋濕字的透母讀音的來源, 亦可解決習字的邪母讀音問題.

      • KCI등재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과 직무성과 관계에서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준수,김신열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직업존중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사회복 지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그 가운데 237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은 직무성과와 직업존중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은 직업존중감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사회복 지사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 축적을 위한 네트워크 참 여기회 보장과 직업에 대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지지적 네트워크 구축, 정보교류 및 활동 참여 와 관련한 실천 및 행정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함의 및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job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25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Jeollabuk-do, who are social workers.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paper and pencil survey, and 237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was found that first, social capital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job-esteem. Second, social capital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y mediating job-esteem.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uture implications. First, in order to improve job performance of non-regular social workers, it is suggested to guarante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establishing networks for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Second, there is need to establish a supportive network for non-regular social workers, to assist in increasing pride in their jobs. Lastly, the current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implications related to information exchange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