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활동기반 모형을 이용한 상습 침수 지역의 대피경로 분석
김주영,유연승,이승재,Kim. Jooyoung,Yu. Yeonseung,Lee. Seungjae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자연재해 피해가 증가하면서 세계적으로 이를 대처하기 위해 대피 시스템 개발, 최적 대피 경로 설정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습침수지역의 도로 침수로 인해 도로 기능을 상실하였을 때, 도로 이용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하고 효율적인 도로교통 운영을 위해 대피경로분석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통해 활동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인간활동기반 교통수요분석 프로그램인 MATSim(Multi Agent Transportation Simulation)을 활용하여 상습침수지역인 신월지하차도를 분석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 기반의 활동기반모형을 구축하여 침수지역의 통행패턴을 토대로 도로 침수를 가정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도로 침수시 우회교통패턴 및 대피경로 분석을 통해 도시부 도로 대피 경로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Recently, a research on development of evacuation route system is being carried out to handle the natural disaster occurring due to increasing weather abnormality. This paper deals with a methodology for searching evacuation route and effective traffic operation when roads areas are prone to floods. The methodology is that we made activity based model by using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and then modeling it by applying a flooding scenario in traffic demand analysis program, MATSim in Ssinwol-dong, Kangseo-Gu, Seoul. Therefore, analysis of the result shows that travel pattern can be known in worst scenario cases. And it will be used effectively in decision making for evacuation route or efficient urban road operation when road area is prone to flood, or flooded.
고강도 운동 후 지연성 근육통증 중재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효과에 대한 문헌고찰
김주영(JooYoung K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2
고강도 신장성 운동이나 익숙하지 않은 신체활동은 지연성 근육통증을 일으키며, 이러한 변화는 운동수행력이나 컨디션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지연성 근육통증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사용되어 왔다. 이전의 연구들에 의하면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운동 이후에 발생하는 지연성 근육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으나 또 다른 연구들은 지연성 근육통증의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오히려 몇몇 연구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근비대와 근력과 같은 근육의 적응 현상에 방해가 되는 잠재적 원인이 된다는 결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효과와 관련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사용할 때에는 위험-이익 분석과 함께 전문가로부터 가이드를 받을 수 있어야 하겠다. High-intensity eccentric exercise or unfamiliar physical activity causes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DOMS), which cause a decrease in exercise performance or condition. Therefor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have been used to reduce DOMS.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NSAIDs can reduce DOMS that occurs after exercise, whereas other studies reported conflicting results stating that NSAIDs did not reduce DOMS. Additionally,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NSAIDs can potentially cause muscle adaptation, such as muscle hypertrophy and increased strength. More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iveness of NSAIDs, and when using them, guidance from experts and risk-benefit analysis should be possible.
세계시민의식 관점에서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의 의미 고찰 : 근거 이론을 활용한 국내 기참가 파견교사들의 후속활동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김주영(Kim, Jooyoung),최민영(Choi, Minyoung),송여진(Song, Yeojin),이지민(Lee, Jimin),배현주(Bae, Hyunjoo)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교육교류사업에 참가한 국내 기참가 파견교사들의 귀국 후 후속활동 과정에서의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소를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함으로서 파견교사의 사업 참가 경험이 후속활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세계시민의식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분석, 자료 수집 및 분석, 2012-2019 국내 파견교사 대상 1차 후속활동 전수 조사, 일부 응답자 대상 2차 서면 인터뷰, 전문가 자문, 연구 참여자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의 개방 코딩 절차를 통해 144개의 후속활동 범주들을 도출하였고, 축 코딩 절차를 통해 37개의 하위범주로 연관시키면서 범주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으며, 선택 코딩의 절차를 통해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소 5가지 범주인 ‘지식과 이해’, ‘가치와 태도’, ‘기능’, ‘행동과 실천’, 그리고 ‘세계시민 정체성’을 중심범주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교류사업에 참가한 파견교사들의 후속활동은 개인별 세계시민의식 흐름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계시민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따라서도 후속활동 전개 양상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사업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활동 경험이 귀국 후 어떠한 후속활동을 통해 세계시민의식 함양이 이뤄졌는지 심층적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global citizenship affects the process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the「Asia-Pacific Teacher Exchange for Global Education」lead them into conducting the follow-up activities by analysing the elements of the global citizenship using the grounded theory. In pursuit of this aim, researchers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collected data, conducted surveys of 2012-2019 Korean participants, interviewed the representative participants, consulted with experts, and received comments from the Korean teachers. As a result, 144 concepts from open coding, 37 subcategories from axial coding were developed. Through selective coding, five categories of global citizenship, ‘Knowledge and Understanding,’ ‘Value and Attitude,’ ‘Function,’ ‘Taking Action’ and Identity as Global Citizen were developed. This study result indicates that the participants’ follow-up activities show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ir perception on global citizenship. In addi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spects of their follow-up activities differ based on the factors that developed global citizenship of them.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in-depth empirical analysis of how the program participation affected the participants to make a ripple effect with global citizenship developed through follow-up activities.
김주영 ( Kim Joo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3 No.-
이 연구는 대화분석과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양상을 살피고 교사의 인식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일반적인 구조는 ‘학습내용 정리하기, 평가하기, 과제 제시하기, 차시 예고하기, 수업 종료하기’이다. 이 구조는 학교급, 교과, 교사, 학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추가, 수정, 대체, 생략되기도 한다. 학습내용 정리하기에서는 학습 활동의 과정 정리하기, 학습 내용의 주요개념 명료화하기의 방법을 사용한다. 평가하기는 수업 중 수행한 평가 활동 상기하기, 자기 평가하기 등을 사용한다. 차시 예고하기는 차시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차시 안내하기, 흥미 유발을 위한 차시 활동 안내하기를 주요 전략으로 사용한다. 수업 종료하기의 주요 전략은 교사의 명시적 수업종료 선언하기, 학교의 인사법에 따른 수업 종료하기 등을 사용한다.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계획과 실행 사이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학생수준 파악의 부족,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의 참여 기회 제공 부족, 정리단계의 시간 부족, 정리단계에서 교사 질문 전략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수업 정리단계 교수화법의 교육적 의의를 생각할 때, 정리단계의 교수화법은 수업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과 상황을 고려하여 유목적적이고 계획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teachers’ conversation at the class conclusion stage and to check their perception through dialogue analysis and qualitative case study. Generally class conclusion phase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order: organizing the learned contents, evaluating them, presenting the tasks, previewing the next lesson, and ending the lesson. This structure may be added, modified, substituted, or omit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chool levels, subjects, teachers, or students.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the classroom conclusion phase lies in teachers’failure to grasp student levels, lack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when learning, lack of time in the conclusion phase, and teachers’ lack of question strategies. Given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teacher’s conversation during the class conclusion phase should be carried out in a purposeful and deliberate manner,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and situations in class.
#MilkTeaAlliance : 온라인 반권위주의 동맹의 함의와 국제연대의 가능성
김주영(Kim, Jooyo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3
이 연구는 밀크티동맹(#MilkTeaAlliance)의 함의를 분석함으로써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반권위주의 국제연대의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밀크티동맹의 결성은 2020년 4월 홍콩, 태국, 대만의 트위터 유저들과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 우연히 촉발된 온라인 밈(meme) 전쟁으로 가능했다. 결성 초반 세 지역은 중국식 권위주의에 대한 비판을 강하게 견지했지만, 이후 미얀마 군부 쿠데타를 비판하는 시민불복종운동을 지지하면서 보다 확장된 동남아시아 지역과 연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밀크티동맹은 유연한 연결을 기반으로 한 해시태그와 탈 해시태그 정치가 상호작용하는 장으로서 도덕적 지지의 기반인 동시에 실질적인 국제연대의 방법을 찾고자 하는 실천의 기초로서 의미를 지닌다. 반면에, 다양한 지역적 맥락으로 인해 이들이 초기 의제로 삼았던 중국식 권위주의에 대한 반대가 일그러진 연대를 만들어내는 한계도 발생한다. 이러한 함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우연한 연대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그 이상의 강력한 의제를 바탕으로 규합되지 못하는 상황, 동남아시아 각 지역에서 강화되는 인터넷 검열, 대중의 정치적 각성의 차이가 밀크티동맹을 매개로 한 동남아시아 지역연대의 저변 확장을 저해한다고 분석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nline anti-authoritarian international solidarity in Southeast Asia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of the #MilkTeaAlliance. The Milk Tea Alliance was formed in April 2020 by an online meme war that was accidentally triggered by Twitter users in Hong Kong, Thailand, and Taiwan as well as Chinese netizens. Initially, the online users in the three countries strongly criticize Chinese authoritarianism. However, their motivation of the movement has been evolved and expanded, such as supporting the civil disobedience movement which criticizes the military coup in Myanmar. Furthermore, they showed a tendency to align with the expanded Southeast Asian region. In this process, the Milk Tea Alliance became a place where hashtags and post-hashtag politics interact based on flexible connections. Also, Milk Tea Alliance has the meaning of moral support and a basis to find practical ways of international solidarity. On the other hand, their initial agenda, such as opposition to Chinese authoritarianism, and various regional contexts limit their ability to create a distorted solidarity. Based on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where accidental solidarity occurs sporadically but could not develop a stronger agenda. Furthermore, strengthened Internet censorship and the public’s different level of political awareness in Southeast Asia hinders the expansion of the Milk Tea Alliance’s solidarity movement in a Southeast Asian region.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에서 비트루트 주스 보충의 효과 및 기전에 대한 연구동향
김주영(Jooyoung Kim) 마인드교육융합학회 2022 마인드 교육 Vol.1 No.1
비트루트 주스는 무기질산염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물 활성 화합물이 풍부하게 포함된 기능성 식품이다. 본 논문은 운동유발성 근육손상에서 비트루트 주스 보충의 효과 및 기전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몇몇 연구들에 의하면 비트루트 주스 보충은 운동 이후 근육손상 지표를 개선하는 데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최대 근력을 회복시키고 근육통증 또한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비트루트 주스에 포함된 다양한 피토케미컬이 항산화 및 항염증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명확하지 않다. 앞으로 비트루트 주스의 보충기간 및 시기, 보충량 등과 같은 실용적인 부분에서부터 염증성 반응 및 산화 스트레스 같은 잠재적 기전에 대해서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eetroot juice is a functional food rich in various bioactive compounds, including inorganic nitr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the effectiveness and mechanism of beetroot juice supplementation in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and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beetroot juice supplementation has been positive for improving muscle damage indicators after exercise, especially in restoring maximum strength and reducing muscle soreness. This effect is report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various phytochemicals contained in beetroot juice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s, but it is not yet clear. In the future, more research is needed on potential mechanisms such as inflammatory responses and oxidative stress, from practical parts such as the period and timing of supplementation of beetroot juice and the amount of supplementation.
김주영(JooYoung Kim),정영준(YoungJun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유무선 통합망 환경에서 TCP는 무선망에서의 통신오류 및 핸드오프를 혼잡으로 인한 패킷 손실로 간주하여 혼잡제어 메카니즘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선망에서의 TCP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 Snoop 프로토콜은 종단간의 의미 구조를 유지하면서 무선망의 패킷 손실을 지역 재전송을 통하여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통신오류에는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대량의 무선 데이터 유입시 buffer overflow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버퍼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buffer overflow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여 불필요한 혼잡제어 메카니즘을 호출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자율주행 차량의 인식 및 판단시스템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셋 수집
김주영(Jooyoung Kim),조용우(Yongwoo Jo),최두섭(Dooseop Choi),민경욱(Kyoung-Wook Min),최정단(Jeong Dan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2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8
During the last decade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s been increasingly paid attention throughout researchers. An AI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ethod for the autonomous driving and to develop an AI based system, especially using a DNN (Deep Neural Network), a dataset for training and validating the neural network is essential. For this reason, we develop a data capturing system for perception and planning system of an autonomous vehicle, collect rich data throughout Daejeon metropolitan city, sample and label it to build a dataset. The details of the capturing system and the dataset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실측 자료를 이용한 국내하천의 조도계수 산정 적용성 및 한강의 계획홍수위 검토
김주영(Kim Jooyoung),이정규(Lee Jong-Kyu),안종서(Ahn Jong-Seo)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0 No.6B
국내 3대 하천인 한강, 낙동강, 금강에 대한 조도계수 산정 결과를 바탕으로 FLDWAV 모형과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산정한 조도계수와 기존 하천정비기본계획의 조도계수 그리고 하상토 입경을 이용해 산정한 조도계수를 비교분석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두 모형에 적용한 바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도계수를 이용한 계산 홍수위가 관측치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의 FLDWAV 모형에 의한 조도계수와 다양한 수리특성인자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상관성은 거의 없었다. 끝으로 팔당댐 하류 한강 본류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산정한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HEC-2 모형으로 기존 하천정비기본계획의 계획홍수위를 검토하였으며, 기존 제방의 일부기 안전성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s were reevaluated for the computation of river flow of the Han River, the Nakdong River and the Geum River. The roughness coefficients were estimated by two methods. On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ough-ness is primarily a function of grain diameter and the other is based on the findings that roughness may vary significantly with the flow discharge. The roughness coefficients adopted in each river improvement master plan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FLDWAV in this study, and their applicabilities have been reviewed, using the FLDWAV and HEC-RAS models. The design flood water levels computed by the abovementioned models with the roughness coefficients proposed in this study have show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s of time variation. The roughness coefficients computed using the FLDWAV model showed nearly no close correlation with the various hydraulic characteristic factors, such as grain size and river depth, etc.. Finally the design flood water levels and levee safety about the downstream part from the Paldang Dam of the Han River has been reviewed using HEC-2 model with roughness coefficient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me parts of the existing levees were short of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