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 시트 쿨링용 고성능·저소음 컴팩트 원심팬 개발

        김재현,유서윤,정철웅,장동혁,안민기,Kim, Jaehyun,Ryu, Seo-Yoon,Cheong, Cheolung,Jang, Donghyeok,An, Mingi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6

        본 논문에서는 쾌적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자동차 시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고성능 및 저소음 원심팬을 개발하였다. 먼저 팬 성능 테스터 및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기존 팬 장치의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예측한 유동장 분석을 통하여 팬 허브 팁 근처의 와류 및 팬 허브 상단의 정체된 유동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와류 및 정체 유동을 줄이기 위해 두 가지 설계 요소를 고안하였다. 첫째, 팬 날개와 팬 하우징 최소 간극(cut-off)를 증가시켜 난류강도를 줄이고 그 결과로 전체적인 음압 레벨을 줄이고자 하였다. 둘째, 허브 형상은 정체 유동을 줄이기 위해 형상을 변경하였다. 제안된 설계의 타당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치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팬 테스터에서 측정한 성능 곡선(P-Q curve)과 반무향실에서 측정한 음압 레벨의 분석을 통해서 유동과 소음 성능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high-performance and low-noise centrifugal fan is developed for cooling automotive seats which provide a driver with pleasant driving environment. First,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fan unit was analyzed using a fan performance tester and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s. The analysis of the predicted flow field indicated vortex flow near the tip of fan hub and stagnation flow on the top of fan hub. Two design points are devised to reduce the vortex flow and the stagnation flow observed in the existing fan unit. First, the cut-off clearance which is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an blade and the fan housing is increased to reduce the vortex strength and, as a result, to reduce the overall sound pressure level. Second, the hub shape is more modified to eliminate the stagnation flow. The validity of proposed design is confirme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Finally, a prototype is manufactured with a basis o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 and its improved flow and noise performances are confirmed through the P-Q curves measured by using the Fan Tester and the SPL (Sound Pressure Level) levels measured in the anechoic chamber.

      • KCI등재

        결측치 다중 대체에 대한 연구: 미세먼지 자료를 중심으로

        김재현(Jaehyun Kim) 융복합지식학회 2020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8 No.4

        4차 산업혁명의 빅이슈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다. IoT 센서, SNS, 금융 거래 등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생성, 저장, 처리, 분석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결측치를 포함하고 있는 불완전한 데이터를 이용한 자료 분석은 편의된 추정치와 그로 인한 잘못된 분석 결과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결측치 메커니즘과 결측치 패턴에 대해 알아보고 고전적인 결측치 대체 방법과 다중 대체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실증 연구로 결측치를 포함하고 있는 48,192개의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 2.5)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 통계 언어인 R의 MICE 패키지를 통한 다중 대체 방법을 대체된 데이터셋의 수를 변화시키며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20개의 대체된 데이터셋을 이용한 대체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결측치를 제거한 원자료와 비교하여 원자료가 가지고 있는 모수와 일치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Big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arious types of data that are automatically created, stored, processed and analyzed from IoT sensors, SNS, and financial transactions are using for accurate prediction . However, data analysis using incomplete data containing missing values results in biased estimates and resulting erroneous analyses. In this study, the missing values mechanism and the missing values pattern were explored and the classical method of replacing missing values and the multiple imputation methods were considered. Empirical studies conducted simulations of 48,192 fine dust (PM10) and ultrafine dust (PM 2.5) time series data containing missing values, varying the number of data sets replaced by the MICE package of R, the statistical language. As a result, the mutiple imputation method using 20 imputed datasets was judged to be appropriate and were compared with the original datasets that removed missing values to show that the parameters of the original datasets were consistent.

      • 주민참여형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김재현 ( Jaehyun Kim ),장주연 ( Juyeon Jang ),정지연 ( Ji-yeon Jung ),전지홍 ( Ji-hong Je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논은 비점오염분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논은 담수와 인위적인 낙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토지이용과 달리 비점오염부하량은 농민들의 영농활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논에서의 효율적인 비점오염부하 저감을 위해서는 농민들의 비점오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비점오염부하량의 저감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새만금 유역내 원평천 유역을 대상으로 주민참여 물관리 활동현황을 조사하고 효율적인 논에서의 비점오염부하량 저감을 위한 주민참여 유역관리활동을 위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유역은 원평천 유역으로 유역면적이 370.88㎢이며 전체 면적의 50%이상이 농경지로 전형적인 농촌형 권역에 해당된다. 원평천유역 인근 주민참여 물관리 활동현황을 조사한 결과, 주로 김제시청을 주축으로 Meso 단위의 접근을 나타내었으며, 활동내용은 김제시와 지역주민, 민간단체, 기업체, 군부대 등 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소하천 정화활동 및 수생식물 식재, 생태계 교란식물 제거, 쓰레기 수거 등 환경개선활동을 추진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대상하천은 원평천의 지류인 금구천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총 연장 10km 중 김제시 봉남면 신호리, 종덕리 부근 3km 지역에서 활동을 추진하고 있었으나 동, 리 단위의 Micro 단위의 활동성과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Macro 단위의 활동의 경우, 전북도와 새만금유역의 7개 시군을 주축으로 ‘강살리기 추진단’이 2011년 3월 구축되었지만 초기활동으로 완주, 익산, 부안, 정읍의 4개시, 군을 주축으로 한네트워크 구축 및 하천관리활동을 전개시켜 나가고 있었으며 김제시 원평천 유역과 연계된 활동은 현재로서 미비한 실정이었다. 주민참여 유역관리활동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스스로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이를 위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였다. 커리큘럼의 구성은 환경 및 비점오염관련 기본 소양교육, 마을 농업활동과 유역관리, 유역생활문화에 대한 교육, 유역생활문화의 젼장조사 모니터링, 지역 수질환경모니터링에 대한 교육 및 모니터링, 조사결과 발표 및 홍보를 포함하고 있다.

      • KCI등재

        퇴직연금제도 감독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김재현(Kim, Jaehyun),신수정(Shin, Soojung),이경희(Lee, Kyonghee)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21 사회보장법학 Vol.10 No.1

        퇴직연금제도는 2020년 적립금 규모가 255.5조원에 이르는 등 주요 노후소득보장수단의 면모를 갖추고 있지만, 감독체계는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다. 고용노동부와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각각 사용자와 퇴직연금사업자를 감독하여 이원화되어 있지만, 계약형 지배구조 특성상 금융위원회의 역할이 크다. 금융위의 감독권이 예외적인 위탁조항과 시행령 등으로 주어지는데, 위탁의 범위가 추상적이고 포괄적이어서 헌법 제75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포괄적 위임입법금지의 원칙에 대한 위반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퇴직연금사업자 등 감독대상을 기준으로 감독기관이 지정되다 보니, 주요 연금선진국의 업무 성격에 따른 분담 체계 대비 비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감독체계를 고용노동부로 일원화하되 일부 금융관련 업무는 그 범위와 한계를 명확하게 정한 후 금융감독원에 직접 위탁해야 할 것이다. 한편, 중장기적으로 고용노동부 산하에 퇴직연금 전문감독기관을 설립할 필요가 있다. The Retirement Pension shows inefficiency and complexity in its supervisory system, despite it taking shape as a major national retirement income system with a reserve fund of 255.5 trillion won. Although the pension is supervis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and the Financial Service Commission(FSC) according to its supervised, the nature of the pension’s contractual governance structure allows the FSC to possess a more significant role. The supervisory authority of the FSS proceeds through exceptional consignment clauses and enforcement ordinances. At this point, the scope of the consignment may be abstract and comprehensive, which might violate the Article 75 of the Constitution that is banning on inclusive delegated legislation. In addition, the current supervisory allocation method causes inefficiency compared to other major developed countries with pension systems assigning authorities in accordance with its business character. Solving this issue calls for a central supervisory under the MOEL, with additional support from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on consignment for specific financial tasks under specific extent and limitation. Meanwhile, in the long ru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ized supervisory institution for the retirement pension under the MOELS.

      • XML 테스트 스크립트 기반 단위 테스팅 도구의 설계 및 구현

        김재현(Jaehyun Kim),조용윤(Yongyoon Cho),유재우(Chaewoo Yoo)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신뢰성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많은 테스트 기법 및 도구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소프트웨어의 단위 테스팅을 위해 XML 기반의 테스트 스크립트 언어를 설계하고 테스팅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테스팅 도구는 테스트 대상 소스를 기반으로 테스트 스크립트를 생성해주는 테스트 스크립트 생성기와 테스트 스크립트를 대상 언어로 작성된 테스트 드라이버로 변환해 주는 테스트 드라이버 변환기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간편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한다. 테스트 스크립트를 XML 형태로 기술함으로서 개발자들은 새로운 스크립트 언어의 학습이 불필요하며 대상 언어에 독립적인 테스트 스크립트를 작성 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실행 후 테스트 평가 결과를 XML로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리포트 뷰(View)를 가능하게 한다. 본 XML 기반의 테스트 스크립트 언어와 테스팅 도구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독립적인 부분과 종속적인 부분을 분리하여 여러 가지 프로그래밍 언어의 단위 테스트 환경을 하나로 통합 할 수 있게 해주어 관련 소프트웨어 테스팅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광픽업 스캔 장치를 이용한 미소 구조물의 표면 측정

        김재현(JaeHyun Kim),박정열(Jungyul Park),이승엽(Seung-Yop Lee) 대한기계학회 201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4 No.1

        MEMS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MEMS 공정으로 제작된 미소 구조물들의 검사 및 특성 분석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주사 전자현미경(SEM)이나 원자현미경(AFM) 그리고 기계적 표면측정장치 등은 가격적인 측면에서나 방법적인 측면에서 많은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VD 광픽업 장치를 이용하여 미소구조물을 높이를 측정하였다. 미소구조물 시편에서 반사된 빛의 강도를 측정하여 시편의 영상을 만들어냈고 미소구조물의 높이는 포토다이오드에서 측정된 포커스에러신호(FES)을 통해 구할 수 있었다. 제시된 광 픽업 스캐너는 기존 측정 장치와 비교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정밀한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기존의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ssue of insp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tructures has emerged as a major consideration in design, fabrication, and detection of MEMS devices. However,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techniques, includ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scanning, and mechanical surface profiler, require often destructive process or may be difficult to measure with a wafer scale.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the surface profiles of microstructures using an optical scanner based on a DVD pick-up module. Scanning images of the microstructures are successfully generated using the intensity of reflected light from different depths of the surface profiles, based on the focus error signal (FES) from photodiode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optical scanner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asurement system with high performance and low cost, compared to conventional measurement techniques.

      • 미래 농업을 위한 스마트 발아기 시스템 개발

        김재현 ( Jaehyun Kim ),박경미 ( Gyoungmi Park ),안태혁 ( Taehyuk An ),이상민 ( Sangmin Lee ),이진교 ( Jingyo Lee ),손태주 ( Taeju Son ),한현관 ( Hyunkwan Han ),김동신 ( Dongsin Kim ),고정호 ( Juangho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오늘날 사람들의 평균 생활소득 증가에 따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중에서도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과 그에 따른 반려식물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는 것과 관련된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 기반의 휴대용 발아기를 개발하면 이동이 쉬워 언제 어디서나 식물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여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고 스트레스 해소와 힐링(Healing)을 위해 연구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에 온도, 습도의 센서를 부착한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고, 스마트 기기에서 현재 온도와 습도, 식물 Data까지 관측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농업에서 진보된 스마트 도시농업을 이루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