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강도 전자소자 리드프레임용 Cu/STS/Cu 클래드 메탈제조 및 물리적특성에 대한 열안정성 연구

        김일권,손문의,김용성,Kim, Il-Gwon,Son, Moon-Eui,Kim, Young-Sung 대한용접접합학회 2014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2 No.5

        We have successfully fabricated high strengthening Cu/STS/Cu 3 layered clad metal of $70kgf/mm^2$ grade for electric device lead frame, and investigated thermal effect of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n the Cu/STS/Cu 3 layered clad metal lead frame material at different temperatures ranging from RT to $200^{\circ}C$. The fabricated clad metal shows a good thermal stability under 6% degrading of mechanical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change at $200^{\circ}C$ and also physical properties show stable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ance of over $220W/m{\cdot}K$ and 58.44% IACS upto the $200^{\circ}$. The results confirm that fabricated high strengthening Cu/STS/Cu 3 layered clad metal can be applied for the high performed electrical lead frame devices.

      • KCI등재

        조선 후기 關聖敎의 敬信修行論

        김일권(Kim, Il-gw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4 道敎文化硏究 Vol.40 No.-

        조선전기와 달리 조선후기는 소중화사상의 강화로 성리학 일변도의 사회가 지속되었는데, 그 와중에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군대가 이식한 關廟 신앙이 18세기 무렵이면 다량의 勸善書들을 한문본과 언해본으로 간행하면서 關聖敎라 부를 만한 비성리학적 종교전통으로 크게 확산되는 국면을 맞는다. 본고는 이 조선 후기 관성도교의 확산을 검토하면서 이들이 추구한 수행론의 면모를 敬信信行論이라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공고한 성리학 사회에서 비성리학적 종교흐름인 관성교가 확산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명나라에 대한 尊明大義적 인식뿐만 아니라 관묘가 지니는 武廟로서의 역할 제고, 관성제군이 지닌 충절보국의 충효사상 등이 주목되었고, 또한 청나라 등극 이래 燕行使로 북경을 기행한 지식인들이 사행로 주변의 관제묘와 문창묘 등 생생한 관성신앙 현장을 반복적으로 기록 보급함으로써 관제 인식의 일반화를 가져온 논변도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관성교가 견지한 수행론의 주된 방향은 대중의 敬과 信을 위주로 하는 신행적 실천론에 있었으며, 관성도교의 主神인 三帝君(관성제군, 문창제군, 부우제군)에 대한 崇敬과 충효질서에 대한 敬愛 및 도교적 이념에 대한 信仰은 그 敬信論적 종교신행을 이끌어가는 주요 줄기로 파악되었다. 구체적 신행방법은 삼제군의 畵像을 직접 예배하고, 선악과보의 공과격 권선서들을 독경 신행하며, 積功積善의 가치 아래 삼제군의 표상을 자신의 삶으로 끌어안는 종교적 신행을 독려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三界의 온갖 邪鬼를 제압하고 인간의 올바른 도덕을 覺世시키는 伏魔大帝(관성제군)와 지극한 孝義와 文昌을 권면하는 弘仁大帝(문창제군) 및 대중을 救劫救難하고 修行登仙하는 孚佑大帝(부우제군)를 崇奉하는 관성교 신앙은 조선후기에 새롭게 변동되었던 주목할 만한 비유교적 종교문화양태라 할 것이다. Korean history of Taoism changed generally to three stages in the respect of age. The period of the Three-kingdom States spread out as a Taoist hermit ideology, Koryo period developed as a tendeny of state Taosim, and Choseon period took a new turn of Tanhag Taoism mainly with body practice. As we all know, Choseon dynasty was a country of new Confucianism, oppressing most of the other religious traditions. Through the mode of Confucianism-oriented society, new Taoistic tradition related the Kwan-sung religion are introduced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In this paper, I argued the Kwan-sung Taosim had several complement functions to Choseon society of new Confucianism, for eample, as a military ritual of shrine,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etc. Above all, Choseon scholars and gentlmen were sent regularly an envoy to Beijing of Chinese Ching dynasty, they recorded into many literatures the things they observed personally Chinese Taoism features of Kwan-sung religion. Their observation diaries were read spreadly, so late Choseon people perceived positively the Kwan-sung Taosim. Toward 19th century many peolple believed plenty of Kwan-sung teachings. The major practices of Kwan-sung Taosim are the reverence and the faith in several Taoist gods. The most famous deities are three historical personal gods, the great Kwan-sung, the great Moon-chang and the great Boo-u. The late Choseon people believed and revered the Taoist deities, and they made an effort to harmonize their life with the Taoist teachings.

      • KCI등재

        농진청 국역농서 발간의 학적 성취와 민속문화사적 연구방향

        김일권(Kim, Il-gwon)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이 글은 농업진흥청이 지난 15년간 <고농서 국역사업>(2001-2015) 결과로 산출한 조선시대 국역농서 57종의 발간작업에 대해 그 학술적 성취를 일별하면서, 고농서가 지닌 역사학적, 민속문화사적 의의와 향후 발전적 방향 개진을 논의하였다. 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농사지식의 보급을 위해 농서 편찬에 주목을 하였고, 그것이 태종조 『농서집요』(1414)와 세종조 『농사직설』(1429) 등으로 성취를 보았으며, 여기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전국 8도 지역별 농사 상황이 어떤지를 현지조사하는 문제에까지 나아갔으며, 그 흔적을 『세종실록지리지』를 통해 읽을 수가 있다. 여기에 실린 각종 물산 항목을 심화 연구하여 향후 조선초 농사지식과 실제에 대한 연구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조선사회는 초중기와 후기까지 중국본 농서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높았던 점을 감안할 때, 농서지식의 한중교류사 연구로 확대할 필요성이 높다. 특히 왜 조선에서 멀리 떨어진 원나라 시대의 농서지식을 여전히 필요로 하였고, 이를 통해 어떤 성과를 이루었는지를 심화하고, 또 조선후기의 농서지식기반에 대해 명나라 『농정전서』와 같이 새로운 명청대 농서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리 선조들이 고심하였던 조선 농학의 발달사 및 지식문명사적 교류 연구로도 나아갈 필요성이 크다. 발전적 제언으로 고전농서의 충실한 학술적 번역의 보완 관련이다. 현대 한자사전에 기댄 축자적 번역 위주를 넘어서서 해당 분야의 학술적 전문성이 크게 반영되길 요청한다. 고전문헌은 그 자체로 오탈자 없이 완정한 글은 아니어서 인용과 필사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성격이므로, 그 문헌이 인용하고 있는 중국문헌과의 대조를 통한 원전교감작업의 중요성이 크다. 더욱이 조선시대 고문헌은 대부분 중국고문헌을 재인용하여 편집한 일종의 편집저작물 성격을 지닌 까닭에, 단순한 원전교감 차원 정도가 아니라 방대한 중국원전농서 연구에 대한 학술적 기반이 크게 확충되길 기대한다. 나아가 조선시대 고전문헌은 우리 사회 공동의 지식 유산물인지라 어느 누가 독점하고 배타하는 대상이 아니며, 그 번역은 학술적 공익의 목적 아래 공개적으로 임할 숭고한 작업임이 더욱 공유되길 바란다. 끝으로, 고농서 연구는 현재에서 새로운 한국사적 지식문명사 가치를 추구하는 일이며, 우리 생태환경에 기반한 한국적 자연학의 연구로 확대되는 기반이다. 이런 점에서 농진청 국역농서의 발간은 그 자체가 큰 성과이자, 이제 다시 한국학계에 새로운 학문을 여는 출발점에 있는 학술적 가치의 성취라 이를 만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publication project and its achievement of 57 classified books on farming of Joseon (1392-1910), It resulted from the ‘Korean Translation Project of Classic Books on Farming’ (2001-15) conduc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ies of cultural history and folk culture and their prospect for future development are presented. Joseon from its founding period paid attention to the publication of books on farming to spread farming information. The publication included the Essentials of Agriculture (1414) during King Taejong and Straight Talk on Farming (1429) during King Sejong. They also conducted agricultural surveys of the eight provinces of the nation, which are traced in the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This material provides items worth for in-depth research for expanded studies on the connection between farming information and the real situation of the early Joseon. Early and mid Joseon highly depended on Chinese material, an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exploring the Korea-China exchange. Why did the Joseon people want the farming books of Yuan which was a far distance from them? What did they accomplish through this? For the late Joseon, the basis was provided by the Collection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of Ming, thus those new books of Ming and Qing should be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s. Such comparative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field of developmental history of farming of Joseon, or the history of intellectual exchanges on farming. Another issue is related to the supplementary measures of faithful translations of the classics on farming. Academic professionalism is largely requested to overcome dependence on a modern Chinese dictionary for word-by-word translations. The classic material is not without errors and missing letters, and thus in the course of citation and transcription errors naturally occur. It is important to compare the original Chinese material for the correction of the copied ones. Since Joseon classics are mostly characterized as collected works of Chinese, there is a large demand, beyond simple examination measures, to compose a research basis on which to deal with the enormous amount of Chinese farming books. Finally, the research on the classics of Korean farming at present is the pursuance of a new intellectual history of South Korea. It is the basis of the expanded research of South Korean naturolgy based on its ecological system. In this regard,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edition produc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s not only a splendid achievement but also a new opening for South Korean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조선시대 민속문화 관련 류서류 편찬물 현황과 특성

        김일권(Kim, Il-Gw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0 역사민속학 Vol.- No.32

        조선 지식인들은 전통시대 문물백과전서격인 각종 류서류들을 조선 중후기 이래 꾸준히 편찬하면서, 당대 사회의 제도, 문물, 역사, 지리, 문화, 사상 등 한 사회를 조망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지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집성하고 통찰하고자 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전통 민속과 문화의 지식체계가 축적 전승되었고 당대 사회를 가능할 수 있는 지적 표준을 성립시켜 갔다. 민속문화 관련 31종의 류서를 재분류하고 검토한 결과, 관찬 서류로는 『증보문헌비고』가 거의 유일한 정도였으며, 『지봉유설』, 『성호사설』, 『산림경제』, 『오주연문장전산고』, 『송남잡지』 등 나머지는 모두 개별 성리학자들의 1인 위주 사찬 류서였다. 이것은 중국 사회가 수백명까지 동원한 관찬 류서 작업을 활발히 펼친 것에 비하여 상당히 소략한 수준이어서, 조선 사회가 지식의 공공적 표준화와 공적 확산보다는 개인의 지적 활동에 기반한 지식 공유 체계에 더 심혈을 기울였음을 시사한다. 더욱이 사찬 류서는 활자가 아닌 필사 위주의 유통 구조를 가졌고, 또 성리학의 고거주의적이고 온고이지신적인 학문성이 투영된 까닭에 지식의 창발성보다는 지식의 반복과 집성에 주안목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러한 류서류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우리 민속 문화의 분명한 역사적 준거를 확보하고 우리 문화의 내면성을 읽어내는 중요한 자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I surveyed the per-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so called Ryuseo,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I efforted to show features of the encyclopedic literature and outlines of the development. Specially, I wondered for themselves how to establish their knowledge system, how to make the knowledge flow in the Choseon society. Having re-arranged historically all 31 books of encyclopedic literature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 noticed the fact that most encyclopedic literature was written by individual neo-Confucianists, for example, Jibong-yudol, Seongho-sasol, etc. This intellectual flow showed us the Choseon society was interested in individual intellectual concerns than in public standardization of knowledge system or in spreading of common knowledge. For all that, we can improve an obvious basi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our inner cultural identity about folk-culture traditions through these pre-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of Choseon Dynasty.

      • KCI등재

        壁畵天文圖를 통해서 본 高句麗의 正體性

        金一權(KIM Il-gwon),鄭誠嬉(토론자) 고구려발해학회 2004 고구려발해연구 Vol.18 No.-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historical meaning and identity of Koguryo in cosmological paintings of Koguryo mural tombs. The cosmological paintings of Koguryo are important to research the astronomical history of ancient Korea, and to study the astronomical history of ancient East Asia. Koguryo people painted more stars up to eight hundreds in many mural tombs. Up to the recent, total 103 mural tombs are known. Those mural tombs was constructed during three hundred years from 4th century to 7th century. Among the mural tombs, cosmological tombs having constellations are twenty four tombs. This volume is meaningful in comparing with ancinet Chinese mural tombs. The age of Koguryo mural paintings corresponds to Wei-Chin and Sui-Tang dynasty periods from 3th century to 9th century in China. During these periods, ancient Chinese have constructed about 90 mural tombs. Among them sixteen tombs only have constellation paintings. As this, the volume of Koguryo's astronomical data are more than that of ancient Chiese mural tombs. Koguryo's astronomical contents are more valuable than those of Chinese, too. Because Koguryo's data consist of observational contents of astronomy, on the contrary most of Chinese murals have decorational data. Above all, Koguryo developed new astronomical system not shown in China, that is so I named "Sa-suk-do", four diretional constellation system. They usually painted Big dipper at north wall and the Archer at south wall, the Scorpion at east wall, d1e Orion at west wall. Furthermore they painted the Polaris constellation containing three stars in the center ceiling of tombs. In this case I recognized this system as "O-suk-do", five directional constellation system. This feature is unique in Koguryo, too. We cannot see in Chinese murals. Koguryo also developed not only four gods of guardian system but also five gods of guardian system adding the Yellow dragon at the center ceiling of tombs. This five guardian system intends to set Koguryo the center of this cosmos, as a result Koguryo becomes the prime country in this world. As above, Koguryo cosmological mural data are important to understand our history of ancient Korea, and useful in studying astronomical histtroy of ancient East Asia.

      • KCI등재

        전주시 풍수방위론의 카오스와 코스모스

        김일권(Kim Il-Gw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06 道敎文化硏究 Vol.24 No.-

        전주시에는 매우 다양하고 중첩적인 방위 지표물들이 산재해 있다. 이 글은 전통과 현재가 공존하는 이러한 전주시의 방위 이야기를 그 당대의 관점에서 읽어보려는 의도에서 준비되었는바, 그 과정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풍수이론에 입각하여 단정되는 것의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시대정신과 지표물의 사상 맥락에 따라 온당한 방위 우주론의 관점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조선 태조의 본향으로 인식되면서 전주시는 성역의 도시로 거듭나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건지산과 곤지산 등 이전에 없던 다양한 비보풍수론이 적용 강화되어 왔다. 문제는 이러한 방위론의 상징들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인데, 특히 건지산의 방위를 서북방으로 보는 것은 전통 풍수론의 모식인 문왕팔괘방위론에 따라 당연한 것이지만, 실제 관찰하면 서북이 아니라 동쪽으로 약간 기운 북방으로 읽힌다는 점이다. 이에 풍수지리의 방위론이 아니라 다른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며, 그것은 역론적 우주론에서 중시되는 건곤의 천지사상론 측면에서 해석될 만하다고 여겨졌다. 또한 전주부성의 전체 격국에서 청룡세 역할을 하는 완산칠봉이 서쪽에 두어지고, 서방의 방위신수로 읽히는 기린봉이 동쪽에 자리잡은 것이 일견 방위혼돈으로 여겨지지만, 이곳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형세론을 따르면, 그것은 혼돈이 아니라 남쪽의 성황산을 주산으로 삼아 좌청룡 우기린세를 엮은 고심의 산물이었다고 결론된다. 이렇게 전주의 방위론은 혼돈이 아니라 그 속에 장치된 코스모스의 질서를 온당하게 도출해낼 수 있는 우리의 관점 개발이 중요하다. 그것이 인공물이든 자연물이든 그렇게 함으로써 그곳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안온함과 소통성을 줄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히 방위비보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원론적인 방위론보다 긴 역사를 통하여 전승되어오는 맥락과 그리고 현실을 살아가는 실상론의 형세에 근거하여 주변을 재해석해냄으로써, 우리가 이념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면 동시대를 살아가는 보람일 것이다. The city of Jeonju is one of the most famous cities in Korea from Choseon dynasty till now. The word of Jeonju means perfect village or wholeness of world in Korean language. The city has become famous after Lee daynasty was founded, because the city was believed as a born town of the founder, King Lee Sung-gye. So they have changed the city as a kind of sacred city through geomantic topography. By the way, many names of geomantic mountains are different from real directions, for example, Gunji Mt. and Gongi Mt. meaning north and south are located at northwest and southeast. Girin Mt. meaning west guardian animal is located at east city of the Jeonju. And Wansan seven Mt. called Blue Dragon means east guardian, but it flew down over the west wall of the city. Some directional discordances like these make us chaotic geomancy. However, a chaos state cannot exist as it is, because the people have already hidden the cosmic order in that confused direction. I get to know the most important key point is lied on development of another perspective matching to the proper condition. Jeonju city is composed of high south mountains and flat north field, so we called it south-high-north-low. If we take a view of real geographical point, although the names differ from directions of some places, we could find plausible cosmos systems among cofused geomantic direcions. The contemporaries have considered Sung-hwang Mt. which is risen south as the main montain, and Wansan seven Mt. of east blue dragon is located at west of the city. Girin Mt. meaning west is really located at east outer of the city. As a result, I would like to say that mankind living meaningful life want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ir arounds more sacred, but the way of change viewpoint is not fixed along the times or current thoughts.

      • KCI등재

        화순 운주사 북두칠성 원반석과 산정와불의 고려천문학

        김일권(Kim, Il-gw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한국학 Vol.37 No.2

        이 글은 전남 화순군 운주사 경내 산등성이에 놓여 있는 7개의 북두칠성 원반석과 산정의 초대형 와불에 대한 고려시대 역사천문학 및 불교천문학적 고찰을 시도한 것이다. 하늘의 별자리를 이처럼 거대한 북두칠성 원반석으로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국내 유일의 별자리 거석문화라 평가되고, 각 칠성석의 크기와 배치가 실제 보이는 겉보기 등급과 거리에 비례하도록 의도하였다는 점에서 단순히 신앙 차원만이 아니라 관측천문학 관점이 반영된 우수한 유적이다. 운주사의 창건 시기가 고려시대 11세기 초반으로 상정되었고, 적어도 12세기 초반 무렵에는 사역 건물이 남북 자오선 방향으로 전면중창되었다는 점에서 이 칠성석과 와불의 제작 시기도 이 시기 범주를 따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석가불과 미륵불의 경쟁구도로 설정된 쌍배불감의 존재와 연관하여 산정의 대형 와불은 바로 미래의 구세주인 미륵불 성격을 지닌 것으로 해석되고, 산기슭에 놓인 북두칠성 원반석이 북극성을 가리키는 북쪽방향으로 의도적으로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와불이 바로 북극성 성격임을 보이는데, 그것이 고려의 천문체계를 잘 담고 있는 고려 전본 치성광불화를 통해서 확인되듯이 고려시대에 널리 신앙되었던 북극성 치성광불로 대비되었다. 이처럼 운주사 유적은 이미 1,000년의 세월을 지닌 오래된 역사물이라는 점에서 고려시대 천문학 수준과 당시 사람들의 천문사상 인식을 잘 보여주는 주목할 자료인 것이다. 역사 사료로 전하는 기록이나 명문 각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산정와불을 북극성의 치성광불로 해석하고, 또 쌍배불감을 석가불과 미륵불로 해석하는 가설이 비록 추론성의 한계를 지닌다 하더라도, 운주사 북두칠성 원반석과 북극성 와불은 그것이 지닌 독특한 천문적 문화성과 유구한 역사성으로 말미암아 세계문화유산의 진정성을 충족하는 것이라 평가된다. There are two interesting relics of seven disc stones represented north dipper constellation and the huge Buddha statue lain at the top of Unjoo-temple mountain in Hwasoon-gun, Jeollanam-do, South Korea. Above of all, each size of seven disc stones is mostly different from 2 to 4 meters in diameter and is buil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dipper star by the measure. This fact means the dipper stones of Unjoo-sa were made by magnitude of stars from the beginning of foundation. The excavation data of the museum of Jeonnam University show the early part of Unjoo-sa buildings were build around the first half of 12 centuries because the angle of early buildings was adjusted to the meridian of north and south. This amazing phenomenon is worthy of notice for a kind of huge astronomical stone sculpture. I would like to put emphasis on a Korean astronomical megalithic structure confirmed at first in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he big Buddha statue are lain at the top of Unjoo-temple mountain. By my measure of disposition between the dipper stones and the top Buddha statue, it is similar to relation of the polaris and northern dipper, because the lying statue lay as north direction to seven stones. The composition such as that could be confirmed at a Koryo dynasty Buddhist star chart called Chi-sung-gwang Buddhist Painting containing many Buddhist constellation images. I also argued that the central twin back Buddha of hollow sculptures sitting back to back with each other could be explained to correspond to the Sakya Buddha and Maitreya Buddha. As above, in this paper I studied about astronomical approach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mystic dipper stones and top lying Buddha at Unjoo-temple in Korea.

      • KCI등재

        조선시대 지진기록의 등급별 시기 분포 및 한반도 2천년간 역사지진기록 목록화 연구

        김일권 ( Kim Il-gwon )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91 No.0

        본 연구는 우리 역사 속에 기록된 지진의 상황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삼국, 고려, 조선에 이르는 한국사 2천년간 역사지진 기록 전체에 편호를 붙이면서 그 결과로서 기존성과를 보완한 총 1,733건을 새로 집계하였고, 아울러 이들 전체의 지진기록일을 목록화하여 제시하였다. 지진등급별 분포로 고찰하여, 고강도진으로 A 등급(진도 Ⅷ-Ⅸ) 15건, B(Ⅷ) 18건, C(Ⅶ) 26건, D(Ⅵ) 56건, E(Ⅴ) 289건, F(Ⅳ) 369건, G(Ⅱ-Ⅳ) 960건으로 집계하고 목록화하였다. 다음 시대별로 나누어, 삼국신라시대(BC57~935)는 992년간 95건(연당 0.1건 비율), 고려시대(918[936]~1392)는 475년간 148건(연당 0.3건 비율)이었고, 조선시대는 조선전반기(1392~1622)가 231년간 913건(연당 4.0건), 조선후반기(1623~1910)는 288년간 577건(연당 2.0건)으로 합계 1,490건이었다. 조선시대 지진기록 특성을 보기 위해, 100년 단위별 분포를 추산하였으며, 그 결과 ②16C가 가장 높은 빈도율(614건, 41%)을 보였고, 이후 ③17C(364건, 24%), ①15C(245건, 16%), ④18C(213건, 14%), ⑤19C(54건, 4%) 차례로 기록되었다. 이를 통해 높은 지진 빈도시기가 16C와 17C였고, 19C는 가장 적은 지진안정기로 추산되었다. 조선조 519년간(1392~1910)의 전체 1,490건은 연평균 2.9건 발생율에 해당한다. 다음 단위를 더 세분하여 50년 단위 구간별 통계를 내었으며, 그 결과 ③16C전반 구간(435건, 29%)의 중종-명종대가 현저히 높은 피크를 이루었고,(매년 8.7건 발생율) 다음은 효종-현종-숙종의 3대에 걸치는 ⑥17C후반 구간(243건, 16%, 연간 4.9건)으로, 조선후기 서리기상 변동 중 전반적 저온 현상을 보인 시대성과 일치하는 흐름이었다. 가장 낮은 지진빈도 구간은 차례로 순조-헌종의 ⑨19C전반대(7건, 0.5%, 연간 0.1건), 영조-정조의 ⑧18C후반대(15건, 1.0%, 연간 0.3건), 철종-고종의 ⑩19C후반대(198건, 13.3%, 연간 4.0건)로 나왔으며, 이를 통해 영조후반-정조-순조-헌종-철종-고종조까지 150년간(220건, 14.8%, 연간 1.5건)은 조선 5백년간 중 지진재해가 가장 적은 안정기라 추정되었다. 다음 조선시대 기록 중 고강도 지진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전반기 A등급 기록으로 단종 2년의 < A07단종1455.1.15 > 지진과 근 1년에 걸친 중종 13년의 < A08중종1518.6.22 > 지진 상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만1년간 지속된 동일지역 연속지진으로서 < D36명종 1565.5.18 >의 평안도 상원 지진기록(6개월간 86일치 발생, 1.7일/1회)을 일지화하였다. 다음 조선후반기 고강도 지진기록이 인조대 11년간(1632~1643)과 18C 전후 33년간(1681~1727)에 집중되어 있는 특성을 주목하고서, 이중 예시로 인조 21년(1643) 상황을 좀더 구체화하여, 제1차 < B14인조1643.5.30 > 동래대진, 제2차 < A10인조1643.6.9 > 합천대진, 제3차 < A11인조1643.7.24 > 울산대진으로 집약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는 향후 조선시대 역사학 연구나 기상학 분야에서 자연과 사회에 대한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역사기상학적 연구 방법론의 하나를 개진한 연구의의가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earthquakes recorded for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history during the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periods. By numbering each event it reviews the 1,733 earthquakes, which are listed according to the date of record. The events are classified on one hand by the magnitude from level A (magnitude Ⅷ-Ⅸ) 15 events, B(Ⅷ) 18 events, C(Ⅶ) 26 events, D(Ⅵ) 56 events, E(Ⅴ) 289 events, F(Ⅳ) 369 events, to G(Ⅱ-Ⅳ) 960 events,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period in which they occurred. During the Three Kingdoms (57 BCE~935), Goryeo (918~1392), Early Joseon (1392~1622) and Late Joseon (1623~1910), having respectively the number 95, 148, 913, 577 for a total of 1490 events. Specifically the Joseon period record is organized in 100 year intervals, and the result shows the number of occurrence from high to low as following : 16<sup>th</sup> c.(614), 17<sup>th</sup> c.(364), 15<sup>th</sup> c.(245), 18<sup>th</sup> c.(213), and 19<sup>th</sup> century(54 events). When examined in 50 year intervals, it resulted that the early 16<sup>th</sup> c.(435 events, 29%) marked the highest, the late 17<sup>th</sup> c.(243, 16) the second, and the lowest in the early 19<sup>th</sup>, the late 18<sup>th</sup>, and the late 19<sup>th</sup> centuries. Hence it is estimated that the last 150 years of the 500 year history of Joseon had the least number of earthquakes and therefore was the most stable period for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analysis of A-level magnitudes it focuses on the records of the 2<sup>nd</sup> year of King Danjong (January 15, 1455) and the 13<sup>th</sup> year of King Jungjong (June 22, 1518). There also was the year of unusually frequent earthquake activity in one region during King Myeongjong’s time (1565). The strong magnitude of earthquakes that occurred in the late Joseon were noticed, in particular, as they were concentrated during the eleven year period (1632~1643) and the 33 year period (1681~1727). Such unusual events are closely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three examples of the time, Dongnae (May 30, 1643), Hapcheon (June 9, 1643), and Ulsan (July 24, 1643).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provision of a research methodology regarding nature and society relationship in the complicated and diverse field of historical meteor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