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초 유희 『물명고』의 분류명 내원과 분류체계 연구

        김일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9 No.-

        이 글은 19세기초 한글물명이 부기된 유희의 『물명고』(1824)를 대상으로 여기에 적용된 대중소의 3단계 물명 분류 체계와 분류명 구성의 특성을 고찰한 연구이다. 유희가 매우 특이한 분류명으로 사용한 4종의 대범주명이 지닌 사상적 배경을 고찰하여, 불교의 유정무정 지각론, 북송대 신유학의 『태극도설』에서 기반한 태극동정론과 오행질료론 및 한의학의 본초서가 전개시켜온 오행적 광물분류론이 복합된 것으로 파악하였고, 그 결과 동식물류는 지각의 관점인 정식(情識)의 유무에 따라 제1 유정류는 지각운동이 있는 동물류, 제2 무정류는 지각운동이 없는 식물류를 지칭하는 분류명으로 수립되었고, 광물류는 능동의 유무에 따라 제3 부동류는 불능동하는 고정성의 토석금 광물류, 제4 부정류는 정적이지 않는 유동성의 수화류를 분류하는 이름으로 수립한 것이라 추론하였다. 이들 전체는 동식광물의 ‘생활자연물’에 대한 물명 분류로 조망되고, 그래서 『물명고』는 ‘물명 자연물 세계’에 대한 탐구서 성격으로 규정되었다. 다음 소분류명에서 동물류를 분류한 우충, 모충, 나충, 인충, 개충은 고대 진한시대에 성립된 오행사상적 동물분류설인 오충설(五蟲說)을 그대로 전승한 체제이고, 이때 털이 가는 세모(細毛)의 모충(毛蟲)은 초식동물류를, 털이 얕은 천모(淺毛)의 나충(臝蟲)은 육식과 야생동물류를 지칭하는 분류틀로 사용한 것이라 파악되었다. 나머지 우충(羽蟲)은 조류, 인충(鱗蟲)은 어류, 개충(介蟲)은 패류ㆍ갑각류를 분류하여, 전체적으로 『물명고』의 오충 소분류가 각각 조류, 초식동물, 육식동물, 어류, 패갑류의 분류틀이라 고찰되었다. 여기에 빠진 곤충은 동물류 전체를 포괄하는 광의의 용법과 작은 벌레의 소충류(小蟲類)를 지칭하는 협의의 용법이 있고, 이중 『물명고』는 소충의 충치류를 포괄하는 분류명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남송초 정초의 『통지』(1116) 「곤충초목략」이 공자가 강조한 시명다식(詩名多識)의 물명(物名) 중요성에 의거하여 자연의 조수초목에 대한 분류와 물명 고찰을 적용한 것이어서 유희가 『물명고』를 편찬한 것과 동궤의 문제의식으로 크게 주목되었다. 또한 중간분류명으로 수중동물(鱗蟲, 介蟲)을 묶은 수족(水族)과 동물(毛蟲, 臝蟲)을 묶은 수족(獸族)을 사용한 문제도 아울러 고찰하였다. 최종적으로 물명 자연물을 궁극 대상으로 삼은 『물명고』는 4류-7족-13부의 대중소 3단계 분류체계 아래 총 685항의 물명 표제항을 수록한 것으로 집계되었고, 그중 광물류가 1할 정도(81항, 12%)인 반면에, 나머지 9할(604항, 88%)이 동식물류에 집중된 분포여서, 『물명고』의 물명 연구에 본초서 계통과의 심화 비교가 크게 요청되었다. 또한 『물명고』가 선행된 『재물보』(1798)의 항목을 취사선택한 방식이어서 향후 양자의 비교연구를 통해 한글물명의 문제도 심화할 필요성이 크다 보았다.

      • KCI등재후보

        진한대 방사의 성격과 방선도 및 황로학의 관계 고찰

        김일권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8 동국사학 Vol.44 No.-

        In this paper, I studied the concept of “Bang-sa”, and its religious role and character in ancient Chinese history. Bangsa indicates a kind of earlier Taoist expert or priest. It is during pre-Qin dynasty about B.C. 4 century that Bangsa group appeared first on the front history. They acted lively from Qin dynasty to former Han dynasty. They were people who pursued for becoming Sun-in, an ideal enlightened human being living on the heaven. Ancient people believed they as themselves could be ideal Sunin through learning and training the skills or programs Bangsa suggested. Their births were mostly from ancient Ji nation, present located at Shandong province. This means ancient Bangsunism occurred and developed at Ji province. Bangsa group had an important role for deveoping the Sunism. I argued that it was important to know this Bangsa’s history and Bangsunism’s context in order to understand earlier Taoism in this article.

      • 인텔리전트 초고층 빌딩의 건축환경계획

        김일권 대한설비공학회 1999 설비저널 Vol.28 No.3

        필자가 재작년 초고층 건축견학을 위해 동경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 오페라 시티를 견학하던 중 갑자기 지진이 일어나 방송이 나오고 있었는데 "지금 일어난 지진의 강도가 얼마이고 빌딩이 견딜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지진이 일어난 것이기 때문에 대피할 필요가 없으니 안심하라"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는 운행 중 지진이 일어날 때 가장 가까운 층에 이용자를 내릴 수 있도록 하며 지진이 끝날 때까지 완벽하게 통제되어 멈춰있다"고 했다. 지진이 지나간 이후 장내는 전과 다름없이 평온하였다. 그리고 포디움 부분의 연결통로를 지날 때 벽면 사이에서 나는 각종 새소리는 마치 숲속에서 거닐고 있는 것처럼 느낌이 들게 하였다. 이와 같이 완벽한 피난과 방재에 대한 시스템에서부터 보행자를 위한 어메니티 확보 등 거주자의 안전에서 쾌적함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배려가 건물곳곳에 배어 있었다.

      • 한국 윷의 문화사와 윷판암각화의 천문사상 : 임실의 윷판암각화 발굴과 천문의 도시 단상을 붙여

        김일권 한국암각화학회 2014 한국암각화연구 Vol.18 No.-

        이 글은 전북 임실군 상가윷판유적의 발견과 조사(2014.4)를 계기로 한국 윷판암각화의 연구 사 및 그 분포 상황을 살펴보았으며, 그와 함께 한국사 자료에 나타난 윷의 문화사를 개괄하고 서, 윷판이 지닌 천문사상적 해석 구조를 논의하였다. 윷놀이는 가가호호 남녀노소가 어울려 노는 민족적 보편성과 매우 오래된 연원의 역사성을 지 닌 놀이문화이다. 현재까지 조사결과 윷놀이는 중국과 일본 뿐만아니라 세계 어느 곳에서도 한 국의 윷판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형을 지닌 놀이가 없을 정도로 매우 독특하고 한국적인 문화 체이다. 이런 때문에 윷을 표기하는 기록어 측면에서 대응하는 한자어가 없어 그 상형적 의미가 통하는 사(柶)라는 글자를 개발하였고, 음사할 때는 뉴(杻), 유치(遊齒), 유(臾) 등으로 기록하기 도 하였다. 또는 중국고대놀이 중에서 비슷하다고 여겨진 저포(樗蒲)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저 포는 격자형태를 지닌 오목 놀이여서 우리의 윷판과는 전혀 같지가 않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백제에 윷놀이가 있었음을 기록한『수서』와『북사』의 기록이며, 이를 뒷 받침하는 윷판암각화 연구는 고구려와 백제 및 신라에서 공히 윷판유적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윷을 노는 문화가 세시풍속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채록한 문헌기록은 고려말 문집에서부터 널리 보이며, 13세기 이규보의『동국이상국집』과 14세기 이색의『목은집』등에서는 생생한 윷놀이 장면이 묘사되어 있으며, 주목되는 점은 그 시기가 조선 후기에 보이는 정초 설날과 대보 름 시기가 아니라, 도교적 수경신 문화에 따른 연말 12월 경신일에 전개된 세모놀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연말과 연시라는 해가 바뀌는 시점에 노는 놀이문화로 전개되었는데, 여기에는 윷놀이 자체가 지니는 천문학적 원리로 인해 매년 맞이하는 시간변화의 주기성을 천문놀이로 승화하고 강화하는 관점이 깔려있는 것이라 고찰되었다. 곧 윷놀이에서 종점으로 나가는 네 길은 춘하추 동 사계절의 태양주천운동을 상징하는 바이고, 원형의 29점으로 구성된 윷판 자체는 중심점의 북극성과 이를 둘러싼 사방위 북두칠성을 결합한 북두주천도를 형상화한 것이었다. 이렇게 태 양과 북두의 천문원리를 부여한 윷놀이는 우리 한국 고대인이 개발한 최초의 우주론 모식이라 할 것이며, 그에 따라 시간의 변화 마디를 보이는 연말연초에 윷놀이를 매년 되풀이함으로써 그 천문성과 놀이성을 기리는 것이라 해석되는 것이다. 끝으로 도개걸윷모가 지닌 윷말의 의미를 고찰하면서, 통상 염소로 해석되는 걸은 실상 가축명이 아니라 고구려 오가제도에서 연원된 대 가의 의미이며, 따라서 걸은 크다라는 의미를 지닌 우리말임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모윷걸개도 의 윷말은 고구려에서 동서중남북을 일컫는 방위명칭일 수가 있음을 국내 최초로 제기하였다. This paper is prepared for researching of Korean yut-pan petroglyph distribution and its research history, also Korean history and culture of yut-nori as a Korean typical board game upon a discovery and survey of Sang-ga yut-pan relic in Imsil Korea. In Korea the game of yut-nori is the most famous folk game. We Korean all of men and women or both young and old are playing yut game during every new year season at home and home or village and village. This yut game was recorded old as time, during Baek-je kingdom period of the Threekingdom ages in ancient Korea. Some Confucian scholars of the later Koryo dynasty have written vividly about yut game situation at their literary collections. It is important point that their gaming time was different from todays. They Koryo people have a game during the end of the year, on the other hand, now Koreans game the beginning of the year. Upon investigation, I found that yut-pan board itself was composed with combinations of one center polaris star and four constellation of the Big dipper. This astronomical composition corresponds to 29 dots of round shape of yut-pan board. Ancient Koreans observed the Big dipper diagram of diurnal motion every day, every year and may reconstitute the motion principle itself as a board of yut-pan. An amazing observation like this was projected onto the yut game and the board. Last, I discussed about the five terms origins of yut horses. As a result, I argued that the terms themselves were originated from Koguryo five tribes names. Among them, the term of gul may have means of big or center and middle. So, to my study, each the five yut terms of do, gae, gul, yut and mo are corresponding with pig, dog, big, ox and hor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