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시각적 스타일에 관한 연구 - < Is the Man Who is Tall Happy? : An Animated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를 중심으로

        김이진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3

        최근 들어 활발한 제작과 함께 학문적 관심을 끌고 있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는 이질적인 두 세계가 만난 듯 생소하게 느껴진다. 기존의 연구들이 애니메이션이 다큐멘터리를 위한 도구로서 자격이 있는지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시각적으로 드러난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스타일이 어떻게 다큐멘터리적 의미와 결합하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라는 새로운 장르를 대변하며 주목받고 있는 로우(Roe)의 연구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의 정의 및 분류를 개괄하고, 사례 연구로 공드리(Gondry)의 2013년 영화인 <Is the Man Who is Tall Happy?: An Animated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를 분석하였다. Animated documentary, a new genre that is actively produced and has recently drawn academic attention feels unfamiliar.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animation as a device for documentation, this study takes note of how animation’s diverse styles are combined with documentary meaning. This paper gives a general view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animated documentaries based on research by Roe, who has drawn attention with this new genre. As a case study, this paper analyzes Michel Gondry’s 2013 film <Is the Man Who Is Tall Happy?: An Animated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 KCI등재

        대중영화 속 여성 표상과 초국적 페미니즘 연대의 전망 -영화 <박열>에 나타난 가네코 후미코의 표상을 중심으로-

        김이진 한국여성사학회 2019 여성과 역사 Vol.0 No.31

        This essay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Kaneko Fumiko in the popular film “Anarchist from the Colony”. The paper confirms how women’s representations are reproduced in popular film and discusses the prospect of transnational feminist solidarity suggested by this film in the tide of feminism between Korea and Japan. Before the film was released, the solid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towards Kaneko was linked to the area where she had lived. There were also representations of Kaneko in other artistic genres such as novels and plays. Howeve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film has aroused public interest in her both in Korea and Japan. The depiction of Kaneko Fumiko in this film can be understood in three ways. First of all, the film does not focus on reproducing her thoughts. Nevertheless, it describes Kaneko as a subjective and dignified woma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ilm made use of Kaneko’s handwritten notes and trial records while emphasizing historical evidenc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n emphasis on film directing,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consciousness of the tide related to feminism in Korean society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film. While presenting both the aspect of Kaneko’s feminism and making it invisible at the same time, it presents a new image of women that is different from the earlier representation of Kaneko Fumiko and the depiction of Japanese women in Korean films. Secondly, the film focuses on the love of Kaneko and Park Yeol. Although this is similar to existing representations of Kaneko, it shows the solidarity among subordinate subjects through the description of Kaneko’s and Park’s pledge to live together. Kaneko was able to sympathize with Koreans through he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s an unregistered person. Through this empathy, she finds herself in Park as an “enlarged ego”. In addition, the pledge to live together proposed to Park by Kaneko shows not only solidarity beyond nationality but also solidarity beyond gender. The content of the pledge that Kaneko proposes to Park, and the process of filing a marriage in prison shows she struggled to resist the modern family system as a woman. Finally, the film symbolizes the relationship of Kaneko and Park as companions and lovers through a photo depicting the two as a couple. After Kaneko’s death, the photograph was interpreted obscenely by Japanese political forces. However, the image of the two has been reinterpreted positively, as their image is popularized. The film was released at the beginning of the tide of feminism in Korea, and was introduced in Japan when the wave of feminism was reverberating through Korean literature and books. The representation of Japanese women produced by Korean film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eeking interchange of transnational feminism through popular films. 영화 <박열>에 나타난 가네코 후미코의 표상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본 영화는 가네코의 사상을 재현하는 것에 중점을 둔 영화는 아니나, 가네코를 주체적이고 당당한 여성으로 묘사한다. 다음으로 영화는 가네코와 박열의 사랑을 중심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기존의 가네코 표상과 맥을 같이 하지만, 동거서약에 대한 묘사를 통해 민족과 젠더를 넘어선 연대를 보여준다. 더불어 가네코와 박열이 옥중에서 혼인신고를 하기까지의 경위를 통해 가네코가 근대 가족 제도에 종속되지 않고자 저항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 속에서 제시된 가네코와 박열의 사진은 가네코의 사후 일본 정치 세력들에 의해 외설적으로 해석된 바 있으나, 영화가 대중적으로 긍정적인 반향을 일으키면서 퇴폐적이라고 여겨지던 사진의 이미지가 탈피된다. 본 영화는 한국에서 페미니즘의 조류가 일기 시작한 때에 공개되었고, 일본에서도 한국의 문학과 서적을 통해 페미니즘의 물결이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시기에 소개되었다. 한국에서 그려낸 일본인 여성의 표상이 영화를 통해 일으킨 반향은 대중 영화를 통해 초국적 페미니즘의 교류를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ESG 평가체계 현황 분석 연구 : 환경영역(E)을 중심으로

        김이진,류현정 한국환경연구원 202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21 No.-

        ■ 연구의 주요 내용 ○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글로벌 핵심 키워드로 급부상하며 ESG 경영 및 투자에 대한 사회적 요구 급증 ○ 본 연구는 ESG 관련 최신 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ESG 안착을 위한 방향성 제시가 주요한 목적이며, 특히 ESG 요소 중에서도 환경영역(E)을 중심으로 평가체계 관련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시사점 도출 ○ 본 보고서는 ESG 출현배경 및 연혁, ESG 개념, 국내외 ESG 추진동향 및 관련 생태계, 주요 ESG 평가체계 및 평가사례,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및 연구적 측면의 함의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 ■ 정책 제안 ○ ESG에 대한 이해 향상과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 마련과 관련 이해당사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방안 모색 필요 ○ ESG 관련 주요 정보의 충분하고 투명한 공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ESG 정보 공시체계 확립이 최우선 ○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산업 특성과 글로벌 시대인 점에 걸맞게 국제적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ESG 정보 공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글로벌 지침을 준용한 국내 체계 마련과 기업 지원 필요 ○ 글로벌 표준을 기준 삼되 국내 여건 등을 반영해 정보 공시 대상과 범위, 원칙, 공시가 필요한 주요항목 등에 관한 내용을 담은 ESG 정보지침/기준안/모범규준을 마련해 제공 ○ ESG 체계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설정 및 관계부처 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일관된 정보 공시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체계 간 유기적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 확립 ○ 환경영역(E)과 관련하여, 기후환경적 리스크의 식별-평가-관리체계 개발 및 관계자들의 역량 배양을 위한 노력과 적극적인 지원 필요 ○ 환경영역(E) 중에서도 기후변화가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로서 간주되는 점을 감안해, 기후 변화로 인한 리스크와 영향, 대응전략 등에 관한 정보의 공시 및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 조성 ○ 적극적이고 혁신적인 ESG 활동을 통해 실제 환경적 성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의 공시 및 평가 질서 확립

      • 온실가스 감축 관련 국가 계획 현황 및 개선방향 연구

        김이진,이수철 한국환경연구원 2013 수시연구보고서 Vol.2013 No.-

        우리나라는 2009년 말에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BAU 배출량 대비 30% 감축하겠다는 국가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확정·발표하였다. 이어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의 제정을 통해 감축목표를 법제화함으로써 목표에 구속력을 부여하였다. 이처럼 목표의 실현을 위해서 관련 법제의 정비작업을 실시함과 더불어 다수의 계획들을 수립·조정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계획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계획들의 경우 감축목표와의 부정합, 계획들 간의 상충성 등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된 계획들이 감축목표 달성과의 유기적 연계에 대한 고민 없이 수립되는 경우 감축목표의 달성에 어려움을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올해는 새로운 정부로 정권교체가 이루어졌으며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수립이 진행되는 시기로 감축목표와의 정합성, 계획별 실효성, 계획 간 연계성 관점에서 관련 계획들에 대한 총체적인 현황 진단을 통해 개선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관련 계획의 수립 근간이 되는 법제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온실가스 감축 관련 국가 계획들의 수립 현황을 파악하고, 계획의 주요내용과 추진체계를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관련 국가 계획의 수립 및 개선방향 설정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립·시행되는 계획들이 형식적인 수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국가 목표의 달성을 위한 연동하는 계획으로서 효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개선을 검토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계획들 간의 상호·상하관계를 고려하여 계획들이 순차적으로 수립·시행될 수 있도록 계획들의 수립시기를 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온실가스 감축 관련 계획의 수립·관리를 포함해 기후변화 관련 업무의 추진에 있어 우선적으로는 국무총리의 행정각 부처에 대한 조정·통할권을 적극 활용하고, 장기적으로는 전담 조직/부처의 신설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이행결과보고서의 작성 등 계획의 이행을 관리 및 평가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과 함께 실적을 토대로 한 개선 및 환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넷째, 얼마 전 새롭게 출범한 녹색성장위원회를 정부 자문기구로서 적극 활용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는 국무총리 혹은 국회를 보필할 수 있는 민간전문가들로 구성된 기후변화 자문기구의 설치와 활용을 검토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기후변화라는 것이 지속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장기적인 사안이라는 점에서 장기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중장기 목표의 달성을 위해 부문별·단계별 목표와 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해당 기본계획상에 적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일곱째, 에너지기본계획 및 전력수급기본계획상에 수요 전망 및 목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산하여 명기할 것을 제안하였다. 올해는 특히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수립과 함께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 제2 차 에너지기본계획 그리고 제2차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전략 5개년 계획의 수립이 진행되는 시기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안들을 참고·반영할 수 있는 적기라고 여겨진다. 이들 국가 계획들에 대한 개선을 통해 온실가스 국가 감축목표의 실현에 일조할 수 있는 계획들 간의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수립·시행을 기대해본다. In 2010 Korea adopted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The act defines Korea`s policy approach to climate change and binds Korea`s mid-term greenhouse-gas(GHG) reduction target which was internationally announced in 2009. It also stipulates that national plan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GHG mitigation are established. Accordingly, several national plans related to mitigation have been newly established or adjusted to meet the objectives of the act. However, the issue of inconsistency among such plans has been raised, and some of the plans appear to go against achieving the reduction target.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views the national plans relevant to GHG emission and their reduction including Comprehensive Plan on Combating Climate Change, National Basic Energy Plan, and National Strategy and Five Year Plan for Green Growth. Based on the overall examination of such plans, this study identifies major problems of the plans and draws up key policy implications for their improvement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GHG reduction target.

      • KCI등재

        영상 기록의 수행성에 관한 연구

        김이진 한국영상학회 2020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8 No.5

        During the 2000s, the boundaries between documentary films and artworks using record images became blurred, and convergence and transformation among genres have prevaile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new topograph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its two orientations considering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as an enhancement for both. The two image recording orientations used here originate from the desire for conservation and possession. Conserv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value of records accomplished by observations and indexical images, while possession is disregarded as a residual characteristic in the mainstream of visual documentation, in which an agent of record is reflected.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which is executed between the two conflicting desires, is performative. Performativity, referring to the acts of being fermented and created only through production and without an objective reference to authenticity illuminates the behavioral aspects of image recording and provides a conceptual basis demonstrating the value of its possessive characteristic.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research by Stella Bruzzi, who asserted that documentary production is a performative act, and attempts to complement the notion of performativity in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through th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of image recording, which it is felt she overlooked. According to Erika Fischer-Lichte, temporary and incidental properties are prerequisites of performativity during performances. With an analysis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image record and performance and a reconsideration of performativity by John L. Austin, who discovered the concept, this study intends to reexamine the performativity of documentation via the moving image. In addition, based on the idea of Austin, who saw the subject of the utterer and the world of customs as the conditions under which performative utterance is properly put into effect, conservation and possession in image recording are repositioned into a new relationship of thesis-antithesis-synthesis. 2000년대를 전후하여 기록적 영상을 사용하는 영화와 미술작품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장르 간의 융합과 변형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영상 기록의 새로운 지형을 영상 기록이 가진 두 지향성과 둘 사이를 조율하는 수행성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영상 기록의 두 지향성은 보존과 소유의 욕망에서 비롯되어, 보존은 지표적 실사영상, 관찰자적 태도를 통해 성취되며 기록물의 가치와 직결되었고, 소유는 기록 주체가 반영되는 특질이자 주류의 영상 기록에서 잉여적 특질로 폄하되어 왔다. 두 상충하는 욕망 사이에서 실행되는 영상 기록은 수행적이다. 진위를 판별할 객관적 참조 대상 없이, 오직 수행됨을 통해 발효되고 창출됨을 의미하는 수행성은 기록의 행위적 측면을 조명하며 영상 기록이 가진 소유적 특징의 가치를 증명할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다큐멘터리 제작을 수행적 행위라고 주장한 브루지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그가 간과한 영상 기록의 일회성과 사건성을 통해 영상 기록의 수행성 개념을 보완하고자 한다. 피셔-리히테에 의하면, 일회성과 사건성은 퍼포먼스 공연에서 수행성이 발현되는 전제조건이다. 본 연구는 영상 기록과 퍼포먼스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수행성을 최초로 정의한 오스틴의 언어철학적 개념을 재고하여 영상 기록의 수행성을 재규명한다. 또한, 발화자라는 주체와 관습이라는 세계를 수행문이 적절하게 발효되는 조건으로 본 오스틴의 연구로부터 착안하여, 영상 기록의 보존과 소유의 특징을 새로운 정반합의 관계로 재배치하고자 한다.

      • KCI등재

        米軍占領後の国民の線引きと母性の選択肢 ― 韓国と日本における「混血児」の国際養子縁組 ―

        김이진 한국일본학회 2023 日本學報 Vol.- No.135

        이 글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점령을 받은 일본과, 냉전체제 하에서 한국전쟁을 경험한 한국에서 태어난 ‘혼혈아’에 주목하고, 양국의 법과 제도를 분석함으로써 ‘혼혈아’가 비가시화와 배제의 대상이 되어가는 양상에 대해 고찰했다. 또한 이러한 제도적 측면과 더불어 사회적인 인식이 ‘혼혈아’와 이들의 생모에게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혼혈아’를 미국으로 입양 보낸 생모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일본 정부는 우생보호법을 개정하여 ‘혼혈아’의 출생을 억제하려고 하였으며, 한국 정부는 미국의 난민구호법에 의거하여 ‘혼혈아’를 해외로 보냈다. 주로 한국의 전쟁 고아와 ‘혼혈아’의 구제를 위해 개정된 미국의 이민제도는 결과적으로 일본의 ‘혼혈아’의 해외입양 또한 가능하게 만들었다. 한 편 한국과 일본에서 ‘혼혈아’가 비가시화와 배제를 강요받고 있는 가운데 ‘혼혈아’의 어머니들은 미군을 대상으로 매춘을 한 여성이라는 편견에 노출되었고, 이는 ‘혼혈아’의 출산과 양육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한일 정부는 해외입양을 ‘혼혈아’를 국외로 배제시키는 방법으로 보았으나, 일부 ‘혼혈아’의 어머니들은 해외입양을 아이들이 차별을 피해 해외로 가는 방법이라고 인식했다. 본 논문은 ‘혼혈아’의 생모들이 가진 다양한 관점과 선택을 가시화하고, 여러 어려움과 제약이 있는 가운데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려고 한 여성들의 주체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