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채의 의미작용을 통해본 한국과 중국의 문화정체성: 베이징올림픽과 평창 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김이은,이주은 한국영상문화학회 2019 영상문화 Vol.0 No.34

        Color is the most sensual design element that can instantly determine our visual culture, and it is a very primitive, historical symbol system that has embraced ethnic characteristics. The national image reproduced in color is formed and communicated through the intersecting actions of contemporary symbols with historically significant symbols, and the intended effect of the design is realized. I selected two Olympics in Asia since 2000,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and the 2018 PyeongChang Olympic Games, as the focus for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cultural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dentities and color consciousness of Korea and China by analyzing the effects of color-significance used in visual design elements, costume design and in the opening image of the performances used in the two Olympics. It is the core of the video age to study the color images and symbolism unique to each country and build a national image strategy that can provide co-operation with the cultural industry. 색채는 우리의 시각문화를 순식간에 결정할 수 있는 가장 감각적인 디 자인 요소인 동시에, 민족적인 특성들을 담아 온 지극히 원초적, 역사적 상징체계이다.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이른바 이미지의 시대에 와서는 색채의 위상은 더욱 복합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색채로 재현된 국 가이미지는 동시대적인 취향을 반영한 기호들과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상 징들의 교차적인 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소통되며 그 지점에서 디자인의 의미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아시아 지역에서 열린 두 올림픽인 2008 베이징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두 국가의 문화정체성을 이미지의 색채의미작용으로 비교한 것 이다. 두 올림픽에서 사용된 시각디자인요소와 의상디자인, 개막식 공연 의 영상이미지에 사용된 색채작용을 두 나라의 문화정체성 및 색채의식의 상관관계로 도출해내었다. 한 국가 고유의 색채이미지와 상징성을 연구하 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산업적 시너지를 동반할 수 있는 국가이미지 전략 을 세우는 것은 영상시대의 핵심이 되고 있다.

      • KCI등재

        압출성형된 무청으로 제조한 야채스프의 면역활성 증강 효과

        김이은 ( Yi-eun Kim ),조은지 ( Eun-ji Cho ),전형광 ( Hyeong-kwang Jun ),류기형 ( Gi-hyung Ryu ),성낙윤 ( Nak-yun Sung ),변의홍 ( Eui-hong Byu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8 산업 식품공학 Vol.22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야채스프(NEVS)와 압출성형 무청을 첨가하여 제조한 야채스프(EVS)의 면역활성 차이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의 골수에서 분리한 미분화 골수세포를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로 각각 분화 시킨 후 EVS와 NEVS를 500 및 10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세포 증식능 및 사이토카인(TNF-α, IL-6 및 IL-1β)의 분비능이 EVS처리구에서 더욱더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활성화된 탐식 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탐식세포의 항원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 조직적합성 복합체(MHC class I 및 II)의 발현이 EVS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유리한 비장세포에 NEVS와 EVS를 처리하여 세포증식능 및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IFN-γ 및IL-2)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EVS 처리구에서 사이토카인의 함량이 더욱더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NEVS와 EVS를 투여된 마우스의 비장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IFN-γ, IL-2 및 TNF-α) 분비능을 측정한 결과 EVS 처리구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NEVS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압출성형 처리된 무청을 첨가하여 제조한 야채스프의 경우 기존의 야채스프에 비교하여 면역활성이 월등히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comparison of immunological activity between vegetable soup made by fresh and extruded radish in in-vitro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and mouse splenocytes) and invivo models. In cell survival tests, extruded radish added to vegetable soup (EVS) and non-extruded radish added to vegetable soup powder (NEVS) were treated with bone-marrow derived macrophages, dendritic cells, and mouse splenocytes, and showed no cytotoxic effect at a dose below 1000 μg/mL. EVS treated cells had greater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terleukin (IL)-6, IL-1β, IL-2, interferon (INF)-γ] production when compared to the NEVS treated group. Cell surface marker (CD 80/86, MHC class I/II) express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was evenly increased in the EVS treated group. In in-vivo study, administration of EVS increased for the CD4 and CD8 T cell population in splenocyte and cytokine production (IL-2, IFN-γ, TNF-α) but not Th2 type cytokines (IL-4). Therefore, adding the extruded radish i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vegetable soup to increase immunological activity against immune cells.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연구

        김이은 ( Ei Eun Kim ),차경애 ( Kyung Ae Cha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8 외국어교육연구 Vol.22 No.1

        제2언어 습득이나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어휘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성공적인 학습을 위하여 어휘 학습 전략을 효율적으로 가르치는 일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의 4학급 학생 156명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들이 주로 어떠한 전략을 사용하는지, 또한 수준별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어휘 학습 전략 유형은 무엇인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연구 결과는 첫째,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은 결정 전략과 인지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을 수준별로 나누었을 때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결정 전략, 사회적 전략, 기억 전략, 상위 인지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를 논의하였다. Although vocabulary learning is an important goal in literacy and plays a central role in reading abilit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ducted in a Korean context. This study examin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The second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tegy use and their proficiency levels. A total of 156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based on a modified version of Schmitt``s(1997) taxonom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was analysed. Two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at: (1) ``determination``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among six categori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strategies; (2) groups divided by proficiency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ir use of vocabulary strategy, i.e., higher level learners used ``determination`` strategy(from discovery strategy), and ``social,`` ``memory,`` and ``metacognitive`` strategy(from consolidation strategy) more frequently than lower level learner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suggested.

      • SCOPUSKCI등재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김이은(Yi-Eun Kim),조은지(Eun-Ji Cho),변의홍(Eui-Hong Byun) 한국식품과학회 201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는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CTP)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인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화방지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해마 유래뇌신경세포에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를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 독성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뇌신경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산화방지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하고 지방질 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산화방지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은 산화방지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에 유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in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CTP).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1,1-diphenyl-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reducing power and FRAP of CTP were increased dose-dependently.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neuroprotective effect of CTP was tested in HT22 mouse hippocampal cells. CTP treatment exhibited non cytotoxicity at dose levels below 500 μg/mL. Within this optimal concentration range, CTP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₂O₂-treated HT22 cells. Furthermore, CTP treatment increase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and decreased malonaldehyde (MDA) levels in HT22 cell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CTP) possesses antioxidant activities and displays therapeutic potential as a useful source material in the development of brain disorder treatments targeting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 KCI등재

        폭력의 시대: 노예 톰의 비폭력적 저항

        김이은 ( Leeeun Kim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7 근대 영미소설 Vol.24 No.1

        This paper attempts to read Uncle Tom by focusing on his nonviolent resistance. Uncle Tom is one of the more distorted characters due to misrepresentations in popular play productions, vaudeville skits, minstrel shows and films. Uncle Tom has been criticized particularly by the Afro-American critics because of their claim that his obedience has solidified and perpetuated the white supremacy and the institution of slavery. This paper, however, argues that Tom`s nonviolent resistance should neither be considered docile nor reconciled to bondage against his will as he subjects himself to his white masters. In other words, Tom`s resistance can be considered more as an active protest against unfair violence rather than passive submission to brutality. Slavery contains within itself violence, thus intensifying numerous sectional, political, social and domestic conflicts. Instead of a revolutionary black hero to overturn the violence-ridden society, Stowe creates an obedient Uncle Tom full of self-discipline, sacrifice and communal love. Under the extreme violent circumstances, only Tom`s nonviolent resistance can break the vicious cycle of persistent violence and move the wicked, despaired and brutalized people into action. However, by depicting the appalling death of this saint-like Tom, Stowe draws the attention of the readers to the absurdity of slavery, which defines a dignified human being as a marketable property by dismissing values such as faith, motherhood, love and nonviolence.

      • KCI등재
      • KCI등재

        두 겹으로 증폭된 “말할 수 없음”을 일깨우기 -해리엣 제이콥스의 『노예소녀의 삶에 일어난 사건들』

        김이은 ( Leeeun K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침묵을 강요당한 노예여성이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서 노예제에 대한 충실한 묘사를 전달해주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침묵이 지닌 의미를 독서대중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단순한 피해자로 전락하기 보다는 주인의 끊임없는 성적인 접근에 대해 기지넘치는 말대답을 보여주었던 브렌트의 활력은 자신의 치부를 드러내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고 이로 인한 서술의 모호함을 수반한다. 본고는 이러한 균열이 단순히 그녀의 수치심에서 비롯된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과정에서 ‘말할 수 없음’을 더욱 강조하는 장치로 기능함을 살펴볼 것이다. 제이콥스는 여성노예로서 겪어야 했던 치욕적인 경험들을 기록함으로써 감히 들여다볼 수 없었던 포장된 남부가정의 기이하고도 잔인한 행태를 전달해준다. 그러나 제이콥스의 위대함은 역사적인 사료보다 더 진실에 가까운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적나라하게 그려낸 노예제의 핵심을 독자는 여전히 모를 수도 있다는 자각을 일깨운 점에 있다. 노예들이 겪는 끔찍한 신체적인 고통에 더해 그들에게 허락된 언어로는 표현되지 않는 극단적인 절망감과 모멸감의 심연은 그녀의 필력으로는 끝내 전달될 수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이콥스는 백인 독자가 흑인 작가로부터 온전하게 듣지 못해 의심하게 되는 바로 그 지점에서 노예의 복잡한 내면을 읽어주길 요청한다. 그리고 그녀의 이야기는 오랜 시간이 지나 사료와 기록을 통해 노예제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자부하는 21세기의 독자들에게도 경험하지 않고서는 결코 온전하게 알 수 없는 노예제와 노예의 삶을 연구과제로 남겨준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a slave girl struggling to give a true-to-life picture of the slavery against the silence forced upon her. In addition to the cruelties and physical tortures, the slaves were doubly bound because they were unable to confide in each other and form their own bond among themselves. Trying to appeal mainly to the Northern white female readers, Harriet Jacobs focuses on the sexual abuses on the slave women but creates a much different character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lave girl as a passive victim. Jacobs portrays Linda Brent who talks back and speaks up against her master, Dr. Flint. Furthermore, in order to escape seduction by her master, Brent enters into a sexual liaison with another white man, which would have made the contemporary genteel readers uncomfortable. In describing this affair Jacobs cannot depict the ‘unspeakable’ because she is incapable of finding appropriate expressions to convey her inner psychological turmoils which are often beyond the readers’ experience and imagination. Even though Jacobs tries her best to narrate the wrongs, evils and depravities of the slavery as much as possible, slavery is still beyond her description due to its indescribable abominations. Her book is valuable not merely because she records an accurate and vivid reality of the slavery, but because she awakens the readers to the extreme difficulties of grasping the truth of the sla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