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세스 중심방식에 기반한 비동기식 유한상태기의 자동생성을 통한 분산 비동기식 제어부의 유도

        김의석(Euiseok Kim),이정근(Jeong-Gun Lee),이동익(Dong-I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8 No.7·8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식 상위수준합성기 제작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비동기식 제어부의 자동생성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목적시스템의 사양으로써 주어진 제어데이타흐름그래프로부터 일련의 체계적인 변환과정을 통하여, 제어부를 구성할 제어회로들에 대응하는 계층적으로 분할된 비동기식 유한상태기들의 집합을 유도한다. 유도된 비동기식 유한상태기들은 현존하는 비동기식 제어회로 합성기를 통하여 해저드 없는 비동기식 제어회로들로 합성되며, 이들은 상호간에 4단계 핸드셰이킹에 기반한 신호교환을 통하여 동작하면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계층적으로 분할된 비동기식 제어부를 구성한다. 획득한 제어부는 계층 · 분산적이며, 면적, 성능 및 합성시간의 측면에서 기존방식을 통하여 생성한 제어부에 비해 우월하다.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method to build an asynchronous control unit automatically as a part of an asynchronous high-level synthesis procedure. In this method, a set of hierarchically decomposed asynchronous finite state machines(AFSMs) are derived from a control/data flow graph(CDFG) through a systematic procedure. Through an asynchronous logic synthesis tool, those derived AFSMs are synthesized into asynchronous controllers, which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4-phase handshaking protocol and compose an asynchronous control unit. The suggested method produces superior asynchronous control units in the aspects of area, performance, implementability and synthesis time compared to previous methods.

      • 언폴딩에 기반한 유한페트리넷의 실용적 도달가능성 분석

        김의석(Euiseok Kim),이정근(Jeong-Gun Lee),이동익(Dong-I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7 No.6

        본 논문에서는 유한페트리넷의 도달가능성에 대한 효율적인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도달가능성 분석은 유한페트리넷의 동적 성질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근본이 되는 분석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유한페트리넷의 경우, 도달가능성 분석은 분석시간과 요구되는 메모리 양의 측면에서 지수승의 복잡도를 요구하게 되며 많은 경우 상태공간폭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한페트리넷의 분석을 위한 중간모델인 언폴딩(unfolding)상에서 장소(place)간의 구조관계 분석을 통하여 시간 및 메모리의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도달가능성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구조적 제약 없이 모든 종류의 유한페트리넷에 적용 가능하다. This paper suggests an efficient reachability analysis method of bounded petri nets. Reachability analysis is a fundamental basis for studying the dynamic properties of any discrete event systems. However, it takes at least exponential execution time and memory space to verify in general petri nets. That is, state space explosion problem may occur. In this paper, we attack problems of previous approaches - state space explosion and restrictions to applicable petri net classes - by formulating the reachability problem as set operation over structural relations among places on an unfolding.

      • KCI우수등재

        블록체인 혁신성 연구

        김의석(Euiseok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8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3 No.3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중앙 금융기관 없이 개인과 개인 간의 온라인 지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중지불 문제의 해결을 포함한 ‘비트코인(Bitcoin)’이라는 개인 간 전자화폐 시스템을 제안한 이후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에서 산업혁명 사이클 전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범용기술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이 이러한 범용기술로서의 급격한 확산과 활용이 혁신이론 관점에서 어떠한 혁신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블록체인은 ‘물리적 기술’의 특성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사회적 기술’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술혁신과 사회혁신을 동시에 수반하는 혁신성을 가지고 있었다. 블록체인의 다양한 혁신성에 대한 본 연구의 접근은 블록체인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정책적 의사결정에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fter Satoshi Nakamoto published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in 2008, Blockchain has been GPT (General Purpose Technologies) that affect the whole cycl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nnovativeness of Blockchain. Because of Blockchain’s ambidextrous characteristics, Blockchain has two kinds of innovativeness, technological innovation by physical technology and social innovation by social technology. Thus,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strategy for Blockchain.

      • KCI등재

        대학의 기술지식 생산 속성 및 동적 변화 분석

        임정빈(Jung-Beani Lim),김의석(Euise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대학교의 역할과 가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과거 교육, 연구, 봉사 중심의 대학교에서 교육과일치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 그리고 연구와 기업가적 가치 생산을 요구받는 현재의 기업가적 연구중심 대학의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대학교가 생산하는 지식도 변화하여 왔다. 과거에는 대학교에서 과학지식(학술논문) 생산에 큰 힘을 쏟았다면, 최근에는 기술지식(특허) 생산에도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들이 생산하는 기술지식의 속성을 정의하고 그 속성에 따라 국내 대학교들이 생산하는 기술지식의 방향성을 연구하였다. 국내외에서 진행된 기업가적 대학과 지식흐름의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보여주었고, 국내 대학에서 등록한 대학특허를 기반하고 재조정하여 도전적 기술지식과 혁신적 기술지식을 수치로 나타내었다. 도전적 기술지식은 특허에서 과학문헌을 인용하여, 과학지식에서 기술지식으로 도전적으로 전환한 기술지식을 가리키며, 혁신적 기술지식은 해외의 특허를 인용하며, 해외의 기술지식을 먼저 국내로 도입한 기술지식을 가리킨다. 연구 결과, 과학기술중점대학교의 도전적, 혁신적 기술지식 생산은 국내 종합대학보다 많았고, 시간 변화에 따라 국내 대학들은 모두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기술생산에 많은 결과를 만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대학에서 암묵적으로 생산 및 전달되는 가치를 평가에 반영하지 못하였고, 해외 대학의 결과값도 포함하지 못한 점은 연구 한계점으로 남지만, 대학의 기술지식 속성을 고려한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roles and values of universities are chang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The roles of universities in the past were to provide education, research, and service. Later,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emerged with the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research. Currently, this role has been transformed into that of an entrepreneurial research-oriented university. The knowledge that universities produce has also changed. In the past, universities focused on producing scientific knowledge (academic papers), but recently they are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producing technical knowledge (patents). In this paper, the attributes of the technical knowledge produced by entrepreneurial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were defined, and the direction of the knowledge produced by domestic universities was studied according to its attributes. Research on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and knowledge flow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was used as a preceding study, and both challenging and innovative technical knowledge were expressed numerically based on the university patents registered by domestic universities. Challenging technology knowledge refers to technical knowledge that has transitioned from scientific knowledge to technical knowledge by citing scientific literature in patents. Innovative technology knowledge refers to technical knowledge that cites foreign patents and introduces foreign technical knowledg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challenging and innovative technical knowledge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was higher than that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at all domestic universities were delivering results in their roles as entrepreneurial research-oriented universities producing technology over time. Unfortunately, the technical knowledge of universities was analyzed only based on patent information, so the value implicitly produced and delivered by them could not b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Also, overseas universities were not included.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pened a new chapter in the research of technical knowledge produced by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