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미세먼지 관련 지식과 태도가 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은휘,하영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is study investigated predictors of the behavior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descriptive study were 186 nursing students at K university in G city from May 1 to 14 in 20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level of knowledge(10.6/15), attitude(59.94/75) and behavior(42.56/60) were relatively high.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behavior were attitude(β=.591, p<.001), smoking(β=-.134, p=.049) and respiratory disease(β=.133, p=.025), and explained 40.1% of it.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nursing stud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gainst particulate matter must be focused on attitude change.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미세먼지 관련 지식, 태도 및 행위의 수준과 미세먼지 관련 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G시에 소재하는 K대학 간호대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일부터 14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t-test, 일원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미세먼지 관련 지식(10.6/15), 태도(59.94/75), 행위(42.56/60)는 모두 비교적 높았다. 미세먼지 행위의 유의한 예측인자는 태도(β=.591, p<.001), 흡연력(β=-.134, p=.049), 호흡기계 질환(β=.133, p=.025)이었고, 설명력은 40.1%이었다. 미세먼지 지식은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β=.067, p=.254). 간호대학생의 미세먼지 관련 건강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태도 변화에 초점을 둔 효과적인 미세먼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연구

        김은휘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5

        본 연구는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한 내적 강화 요인인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이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된 융합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하는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71명 의 임상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5년 9월 20일부터 10월 4일 사이에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직무만족도는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 으나(r=.439, p<.001), 마음챙김과 직무만족도(r=-.067, p=.583), 자기효능감(r=-.142, p=.241) 간은 유의한 상관관계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β=.429, p<.001), 설명력은 25.9%이었다(F=5.772, p<.001). 마음챙김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14, p=.844). 본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주요한 요소로 임상간호사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 증진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 개발과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This is a convergence study to examin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For this explanatory survey research, 71 clinical nurses working for a general hospital in D city were recruited.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4 in 2015 and analyzed with PASW Statistics (SPSS) 18.0 program.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r=.439, p<.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mindfulness (r=-.142, p=.241) or mindfulness and job satisfaction (r=-.067, p=.583). Self-efficacy was the only significantly influencing factor on job satisfaction (β=.429,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efficacy could be a key facto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and many trials had to b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increase it for enhancing clinical nurse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은휘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9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수준을파악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에 소재한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부터 5월 사이에 자료수집을 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정보개발, 정보평가의 하위영역이 낮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β =.311, p =.001), 학업적 자기효능감(β=.184, p =.048) 순으로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F=12.237, p <.001), 설명력은 16.1%이었다.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해 보다 체계적인 상황 중심의 간호교육 커리큘럼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문제해결능력 함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and verifying the impact of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problem solving in nursing students, with fousing on digital literacy, which is emerging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and May 2022 from 118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K City,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nursing students generally have good digital literacy, but they struggle with specific areas like materi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evaluation. Nurs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β=.311, p =.001), followed by academic self-efficacy (β=.184, p =.048),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oblem-solving ability (F=12.237, p < .001), as explanaing 16.1% of the variation. To improve nurs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problem solving, developing a more structured and situation-oriented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is need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온라인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휘,나윤주,최문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온라인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이 전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과 비교하여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 4학년 간호대학생으로, 온라인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 19명, 전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대조군 19명으로 총 38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13일부터 10월 2일까지이며,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two sample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중재 후 임상수행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 교육 효과를 비교한 결과,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 임상수행능력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온라인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은 전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과 더불어 효과적인 교육방안이 될 수 있다.

      • 혈액투석환자에서 천자 바늘구경의 크기가 투석적절도, 정맥압, 통증과 지혈시간에 미치는 효과

        은휘;옥진;인영;백경원;시숙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 2006 중앙간호논문집 Vol.10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eedle size for adequancy of hemodialysis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Method; This study included 34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HD)therapy thrice per week for at least 1 month at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between March and May 2006. These patients were sequentially performed with four weeks interval. The effects of needle size for hemodialysis adequancy were measured with Hemodialysis adequancy(Kt/V) and venous pressure, pain score, clotting time according to 16G and 15G needl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emodialysis adequancy(Kt/V) was sigruficantly increased from 1.35 to 1.43 as increasing in needle size. 2. Venous pressure during HD was sigruficantly decreased from 117.65mmHg to 90.29mmHg as increasing in needle size. 3. Pain score was not sigruficantly different between 2.18 poing using 15G needle and 2.02point using 16G needle. 4. Clotting time was not sigruficantly different between 12.3min using 15G needle and 1O.1min using 16G needle. Conclusions; Using 15G needle than 16G one was more effective than using 16G needle for hemodialysis adequancy (Kt/V)

      • KCI등재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은휘(Kim, EunHwi),고영지(Ko, YoungJi),상남(Kim, Sang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포함하는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질집단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K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실험군 44명)과 전통적인 간호연구 수업(대조군 41명)에 참여한 학생이다. 자료는 2015년 8월에서 10월 사이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PASW Statistics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은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효과를 보였고(t=2.97, p=.004), 집단 간 학습만족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t=2.45, p=.016), 학업성취도(t=0.88, p=.384)에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학생의 역량증진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경험을 포함하는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의 적용이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a capstone nursing research course for nursing student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ubjects were 85 third year nursing students(Experimental group=44, control group=41). The experimental group had taken part in a capstone nursing research course and the control group did a traditional nursing research course. Data, regarding ability of problem-solving, an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study, were collected from August 27 to Octobor 31 in 2015 and analyzed with two sample t-test using PASW Statistics (SPSS) 18.0 program. Ability of problem-solv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2.97, p=.004) and satisfaction of stud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t=2.45, p=.016). But achievement of study (t=0.88, p=.384)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pplication of capstone nursing research course has to be extended to increase nursing competencies.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

        성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의사소통 능력이 보건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용경,김은휘,최문지,하영선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23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8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eacher efficacy, awareness of sexual media liter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health teacher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included 102 health teachers in K-do.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 to 12,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the SPSS 29.0 program. Results: The influential factor for teacher efficacy was communication competence (β = 0.34, p < 0.001). This factor accounted for 22.5% of the teacher efficacy among health teachers. Conclusions: To develop a program that increases teacher efficacy among health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