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일상 속 연령주의 척도 타당화

        김은하,박정수,Eunha Kim,Jeongsoo Park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30 No.1

        This study validated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Everyday Ageism Scale to measure subtle ageism in day-to day lives. A total of 498 adults aged 60 and abo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involved measuring the everyday ageism scale,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self-perception of aging scale, depression (SCL-90R),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Tthe first group(n=198)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second group(n=30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testing. As a result, if was confirmed that K-EAS consist of 10 items and 3 dimensions (i.e., exposure to ageist messages,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K-EAS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In specific,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were correlated with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nega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depression. However,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Also, the K-EAS provided additional explanation of depression even when excluding the effect of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The result confirme that K-EAS is reliable and vali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use of K-EA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셀프다큐를 활용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은하(Kim, Eunha)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셀프다큐를 활용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김창대(2002)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사적 비주얼 이미지를 통해 자기반영성(Self-reflectivity)을 확장하고, 타인의 피드백을 통합하여, 진정한 자기 이미지를 확장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총 8회기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서울?경기 지역 두 대학교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통제집단,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자기개념과 대인관계 향상정도를 확인하고 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개념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기존의 다른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교집단과 비슷한 정도의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 연구 및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self-documentar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al process C, Kim(2002) proposed. It is composed of 8 sessions and one follow-up session, which has an intention of self-expansion through self-reflectivity with self-image and integration with other people's feedback.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self concept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판 불공정에 대한 인식 척도의 타당화

        김은하 ( Eunha Kim ),김해빈 ( Haebeen Kim ),김지윤 ( Jiyoon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2

        불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Belief in an unjust world: BUW)는 세상은 불공정하며 사람들은 자신이 노력한 것에 비해 그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믿음으로,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BUW를 측정하는 척도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BUW를 측정하는 도구로써 유용성을 인정받은 “불공정에 대한 인식 척도”(Unjust Views Scale; UJVS)를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였다. 이를 위해, 연구 표본 1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의 1개 문항을 삭제한 4개 문항, 단일요인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표본 2를 대상으로 모형 1(BUW와 BJW의 역산 문항으로 구성된 단일요인 모형), 모형2(상위 1요인(공정에 대한 믿음)과 하위 2요인(BJW, BUW)으로 구성된 second-order 모형), 모형 3(BUW만으로 구성된 단일요인 모형)을 비교한 결과, 모형 3, 특히 수정지수를 반영한 수정된 모형 3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렴타당도, 준거타당도, 증분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한국어판 불공정에 대한 인식 척도(Korean Unjust Views Scale; K-UJVS)는 한국인에게 사용하기에 타당화한 도구로 확인되었다. Belief in an unjust world(BUW) refers to a belief that the world is unjust and people do not get what they de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Unjust Views Scale (UJVS), a scale currently utilized in the U.S. to measure BUW. For this,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hich resulted in 4 items and one factor. We also compared the fit of Model 1 (single factor structure-BJW and BUW as one dimension), Model 2 (second factor structure-BJW and BUW loading onto a latent factor of unjust world views), and Model 3(un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of UJV)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ound that the revised Model 3 was statistically better than Model 1 and 2. The tests of convergent, concurrent and incremental validities revealed strong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Korean Unjust Views Scale.

      • 분야 간 협력을 통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한 소고: SRV철학 기반의 실제를 중심으로

        김은하(Eunha Kim)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과 긍정적 성과를 성취하기 위한 실천 방향을 탐색하는 일환으로 사회적 역할 가치화(SRV) 철학에 기반한 분야 간 협력의 실제를 활용하는 타당성과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문헌을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독특하고 지속적인 지원요구를 가진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이 나아갈 실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으로 첫째, 연구주제들이 현장에서의 실천전략으로 제시할 수 있는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점, 둘째, 발달장애인 지원요구를 고려한 다분야간의 협력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현하기 어렵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관련 분야간 초학문적 협력의 방법을 중심으로 실행되는 도식으로 볼 수 있는 개인중심 계획의 개념 적용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 평생교육이 직면한 두 가지 어려움을 완화하고 평생교육의 질적 제고를 도울 수 있을 것을 보았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질적인 발전을 위해 현장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importance of utilizing the practice of cross-sectoral cooperation based on the social role valuation SRV philosophy as part of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chieving positive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unique and continuous support needs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led to the following; first, the lack of specificity that research topics can present as practical strategies in the field, second, despite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between multi-disciplinary areas considering support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this is difficult to realize. On this basis, the concept of PCP, an be seen as a schematic that focuses on the method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related fields was proposed. This will alleviate the two difficulties faced by lifelong educ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ggestions were made for field and follow-up studi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청각장애 학생 영어교육 실태

        김은하(Eunha Kim) 한국통합교육학회 2020 통합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청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어교육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여 양국의 영어교육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 준거에 부합하는 한국 논문 10편, 일본 논문 20편을 채택하여 영어 수업의 실태, 청각장애 학생 영어 능력, 교육방법 적용의 세 가지 주제를 범주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어 수업의 실태는 양국 모두 교수·학습 방법의 부족, 교재 부족, 교사의 영어 전문성 부족, 연수 부족 등의 어려움을 비슷하게 나타냈지만, 일본의 연구가 대상 폭이 넓고 내용이 세분화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청각장애 학생의 영어 능력은 실험연구를 통한 단어 수준의 연구나 발화에 대한 음향적 분석이 대부분이며, 교육방법의 적용은 미국 수어나 큐드 스피치의 도입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한국의 청각장애 학생 영어교육은 연구 대상의 확대, 공적 영어시험 대응, 교과 내용적 측면의 분석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국 모두 청각장애 학생의 주요 의사소통 양식이나 교육환경을 고려하여 통합교육 환경에 있는 학생들의 연구도 필요하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b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earch papers dealing with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To this end, 10 Korean papers and 20 Japanese papers that me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ree categories, such as the status of English classes, English ability of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methods. In the current state of the English class in both country, difficultie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ack of teaching materials, lack of professionalism in English, lack of training and so on were simila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Japanese education had a wider target age and subdivided contents than Korea education. In terms of the students English ability, most of researches performed in both countries were experimental word-level research or acoustic analysis of speech. Fo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method, the researches in both countries suggested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sign language or cued speech. Conclusively, it was found that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in Korea needs to be expanded in terms of research age, to deal with public English tests, and to analyze the subdivided subject contents. For both countries, researches regarding major communication mod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re needed for better understanding on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Englis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 KCI등재

        성별 저임금근로의 위험과 임금격차

        김은하(Eunha Kim),백학영(Hakyoung Baek) 한국노동연구원 2012 노동정책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여성 저임금근로자가 남성 저임금근로자에 비해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입장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저임금근로의 위험을 성별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저임금 일자리의 성별 임금격차를 실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요인을 통제했을 때에 성은 저임금근로의 위험에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둘째, 개인특성과 관련하여 여성의 연령은 저임금 위험과 무관하였고 경력단절 이후 일자리를 잡기 시작하는 시점인 청소년기의 자녀가 있는 여성의 저임금근로 위험은 높았다. 셋째, 일자리 특성과 관련하여 비정규직으로 인한 저임금근로 위험 정도는 여성이 더 컸으며, 서비스 종사자인 여성은 저임금근로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넷째, 저임금 노동시장에서의 임금격차 분해 결과 여성은 자신의 생산성 수준보다 낮은 임금보상을 받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저임금 노동시장에서 여성 근로자의 능력과 가능성이 노동시장에서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제시한다. 따라서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들이 능력과 재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 개입이 요청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sex differences in low wage risk and gender wage gap. To analysis this, we use 2010 data of the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separate it according to sex for comparis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is a determinant of low wage employment with controlling other variables. Second, regarding the individual factors, women’s age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low wage employment and women’s education has more effects on low wage employment than men’s. And women’s children aged 13 to 17 have significant effect on her low wage employment. Third, relating to job characteristics, women’s atypical work has more effect on low wage employment than men’s. The effectiveness of the size of workplace and union is higher on men’s low wage employment. For women, working in service sector is a significant predictor in determining their low wage employment. Fourth, although women’s productivity is more higher than men’s in low wage labor market, the non-productivity-related women’s wage is lower than their counterparts’. These finding suggests that there is sexual discrimination in low-wage labor market and that women’s labor is undervalued for her real value.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이 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치료적 요인 분석

        김은하(Kim, Eunha)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자기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집단에서 나타나는 성장촉진요인이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교 상담전공 학부생 45명이 집단상담 수업시간에 이루어진 세 개의 자기성장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매회기 제출한 경험보고서를 내용분석하여 치료적 요인을 추출하였다. 전체 8회기동안 제출한 경험보고서 중 누락된 것을 제외하고 총 331개의 경험보고서에 나타난 치료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소감문에서 가장 많이 확인된 치료적 요인은 자기이해(34.44%)였고, 집단 응집력(20.54%)과 대인관계 학습(16.31%), 정화(8.16%)가 그 뒤를 이었다. 둘째, 1회기에는 치료적 요인이 비교적 적게 나타나지만, 회기가 거듭될수록 경험되는 치료적 요인의 수가 증가하였고, 5-6회기에 다소 줄었다가 7회기에 회복세를 보이면서 마지막 8회기에 현저히 많은 치료적 요인을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원들이 주로 경험한 주요 치료적 요인 네 가지, 즉 ‘자기이해’, ‘집단응집력’, ‘대인관계 학습’, ‘정화’는 각 회기별, 집단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 연구 및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factors from group counseling using the reflection journals obtained from 45 undergraduate student participants in three 8-session group counseling as a part of the class. Total 331 weekly reflection journals were used to examine therapeutic factors to contribute to students’ grow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stated therapeutic factor was self-understanding(34.44%) and group cohesiveness(20.54%), interpersonal learning(16.31%), and catharsis(8.16%) followed. Further, the number of therapeutic factors increased or decreased as the session processed and was the most in the last session. Lastly, the numbers of four major therapeutic factors, "self-understanding", "group cohesiveness", "interpersonal learning," and "catharsis," were various depending a session and a group. Implications for the counselor training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인중심계획 촉진자 훈련(Person-centered planning facilitator training) 프로그램 개념 모델 기초 연구

        김은하 ( Eunha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개인중심계획(PCP, person- centered planning)의 촉진자를 훈련하는 프로그램의 개념적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국내외의 실제 교육 프로그램들을 찾아 살펴보았다. 짧게는 10년에서 30년에 이르는 역사를 가진 각 기관들에서 제공하고 있는 PCP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은 PCP의 철학, 개념과 모델 및 적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PCP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은 워크숍 형태의 면대면 교육, 영상과 교육자료 및 웨비나 형식의 온라인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국내 PCP 촉진자들과의 핵심집단면담을 통하여 국내 PCP 촉진자 훈련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PCP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은 PCP 이론과 더불어 PCP 촉진자의 역할과 촉진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내용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둘째, PCP 촉진자 훈련프로그램의 구성은 교육 대상의 전문성과 교육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PCP 촉진자 훈련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수립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PCP촉진자 훈련의 교육 방법은 면대면 교육을 중심으로 하되 온라인 커뮤니티와 컨설팅 및 자료제공을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며, 중급 이상의 PCP 촉진자가 교육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호간의 전문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이 적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교육 및 서비스 현장에서 PCP의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onceptual model of a program to train PCP facilitators to promote the best practice of person-centered plann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er searched the actual training program for PCP facilitator. The contents of th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each institution with the history of 10 to 30 years were the philosophy, concept, model and application of the PCP. Thes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s consisted of face-to-face training in the form of workshops, and online training such as video, training materials, and webinar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domestic PCP facilitator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field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content of th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with the systematic facilitation technology for PCP. The composition of th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organized in a systematic and continuous manner by dividing the areas or phases according to the facilitator-to-be`s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purpose. It is appropriate to use PCP facilitator training method as an auxiliary means to provide online community and consulting and data centering on face-to-face educ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made to activate the application of PCP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ducation and services.

      • KCI등재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김은하(Eunh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COVID-19로 시간에 따라 변화한 원격수업 지원의 차이, 수업 형태에 따른 수강의 장단점, 수업 외의 어려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종합대학에 재학 중이며 2020년과 2021년에 대학에서 강의를 수강한 청각장애 대학생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방법은 반구조화 질문을 이용한 초점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을 카테고리화 하여 질적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결과 원격수업 지원의 변화는 교수자와 학생 모두 원격수업 시스템에 적응하였으며 속기 지원이 도입된 대학이 있어 긍정적인 변화가 있지만, 여전히 지원요구에 대한 미진한 대응이 어려움으로 남아있다. 수업 형태에 따른 수강의 장단점은 면대면 수업에서는 즉각적인 교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도 동반되었다. 원격수업의 장점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는 편이성과 재생성을 들 수 있다. 수업 외의 어려움에서는 교류 단절의 어려움, 수업 외 과제 수행 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학의 수업 내외 지원의 질적 개선’, ‘교수자의 수업 형태의 장점을 살린 유니버설 디자인 러닝에 기반한 교수법’, ‘교수자 및 함께 수강하는 학생들을 위한 상호 이해 교육’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support for distance learning classes that changed over time due to COVID-19, the pros and cons of taking classes according to class types, and difficulties outside of classe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University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who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and took lectures at the university in 2020 and 2021. The research method was a focus group interview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have adapted to the distance learning system, and some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shorthand support for changes in distance learning class support. As for the pros and cons of taking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class, face-to-face classes have the advantage of immediate exchange, but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wearing a mask. The advantages of remote classes include convenience and reproducibility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and place. In terms of difficulties outside of class, difficulties in disconnecting exchanges and difficulties in performing assignments outside of classes appeared.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se points, ‘quality improvement of support inside and outside of classes’,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instructor's class type based on Universal Design Learning’, and ‘education to understand hearing impairment for teachers and students taking classes together’ we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