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은하,박정수,Eunha Kim,Jeongsoo Park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30 No.1
This study validated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Everyday Ageism Scale to measure subtle ageism in day-to day lives. A total of 498 adults aged 60 and abo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involved measuring the everyday ageism scale,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self-perception of aging scale, depression (SCL-90R),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Tthe first group(n=198)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second group(n=30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testing. As a result, if was confirmed that K-EAS consist of 10 items and 3 dimensions (i.e., exposure to ageist messages,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K-EAS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In specific,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were correlated with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nega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depression. However,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Also, the K-EAS provided additional explanation of depression even when excluding the effect of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The result confirme that K-EAS is reliable and vali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use of K-EA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김은하(Eunha K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일본의 특별지원교육은 대상자들의 자립이나 사회참가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고 특별한 배려 아래 적절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별지원교육 대상자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부자유, 지적장애, 병약·신체허약, 자폐증이나 정서행동장애, 학습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이다. 대상아동들은 특별지원학교나, 일반학교의 특별지원학급, 통급지도에 배치 될 수 있으며 취학은 지자체마다 학생 본인과 부모의 의견을 존중하여 교육위원회가 결정한다. 발달장애인지원법이 제정되면서 발달장애에 해당하는 학습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아동의 조기발견과 지원에 힘쓰게 되었다. 장애의 조기발견은 주로 영유아 검진과 취학 전 검진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진단 후 아동, 보호자, 교사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해서 순회상담 지원과 같은 순회지원 사업을 실시하여 아동의 진단부터 취학 후의 지원까지도 간접적으로 지원해 준다. 특별지원학교에서는 특별지원 코디네이터를 선정하여 학교와 학교 밖을 연계하여 학생들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일관된 특별지원교육을 위한 지역의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김은하(Eunha Kim),백학영(Hakyoung Bae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2
본 연구는 생활고 자살 사망자에 주목하여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적 특성, 기본적 생활보장 경험을 분석하여, 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정책적 개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앙심리부검센터 자살 사망자 전수조사 데이터(2013-2017)와 행복e음 추출 데이터를 결합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살 사망자 중 40% 정도는 생활고를 겪었으며, 경제적 문제가 확인된 사례를 기준으로 볼 때 생활고 자살 사망자는 66% 정도에 이른다. 생활고 자살 사망자의 상당수는 근로활동을 하거나 구직활동 상태에 있었으며, 부채나 갑작스러운 소득감소, 지속적 빈곤이 두드러졌다. 이들은 국민기초생활보장이나 차상위계층 지원, 즉 기본 생활보장으로부터 배제되는 경우가 많았고, 기본 생활보장을 받는다 하더라도 공적 보호는 자살 사망을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본생활보장 체계의 강화와 예고되지 않은 갑작스러운 사고나 사건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처하게 된 이들을 위한 지원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This study aims to seek the polices for preventing suicide and expanding social safety net by analyzing the hardships of life and experiences of public livelihood supports of suicide deaths. This study used the combining data, Suicide Death Data (2013-2017) of Korea Psychological Center(present. 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and the public information from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Haengbok-E-eum). About 40 percent of suicide deaths were in economic problems and that was 66 percent among people identified the direct suicide reasons. Lots of suicide-murders were economically active or searching for job and suffering from debt, sudden income reduction and chronic poverty. They were excluded from public supports such as National Basic Livelihood Support and support schemes for the near poor. These could not prevent commitment suicide even though being in support systems. More and stronger support schemes should be introduce to block suicide deaths from economic hardship and ordinary hazard.
김은하(Eunh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COVID-19로 시간에 따라 변화한 원격수업 지원의 차이, 수업 형태에 따른 수강의 장단점, 수업 외의 어려움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종합대학에 재학 중이며 2020년과 2021년에 대학에서 강의를 수강한 청각장애 대학생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방법은 반구조화 질문을 이용한 초점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을 카테고리화 하여 질적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결과 원격수업 지원의 변화는 교수자와 학생 모두 원격수업 시스템에 적응하였으며 속기 지원이 도입된 대학이 있어 긍정적인 변화가 있지만, 여전히 지원요구에 대한 미진한 대응이 어려움으로 남아있다. 수업 형태에 따른 수강의 장단점은 면대면 수업에서는 즉각적인 교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도 동반되었다. 원격수업의 장점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는 편이성과 재생성을 들 수 있다. 수업 외의 어려움에서는 교류 단절의 어려움, 수업 외 과제 수행 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학의 수업 내외 지원의 질적 개선’, ‘교수자의 수업 형태의 장점을 살린 유니버설 디자인 러닝에 기반한 교수법’, ‘교수자 및 함께 수강하는 학생들을 위한 상호 이해 교육’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support for distance learning classes that changed over time due to COVID-19, the pros and cons of taking classes according to class types, and difficulties outside of classe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University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who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and took lectures at the university in 2020 and 2021. The research method was a focus group interview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have adapted to the distance learning system, and some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shorthand support for changes in distance learning class support. As for the pros and cons of taking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class, face-to-face classes have the advantage of immediate exchange, but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wearing a mask. The advantages of remote classes include convenience and reproducibility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and place. In terms of difficulties outside of class, difficulties in disconnecting exchanges and difficulties in performing assignments outside of classes appeared.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se points, ‘quality improvement of support inside and outside of classes’,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instructor's class type based on Universal Design Learning’, and ‘education to understand hearing impairment for teachers and students taking classes together’ were proposed.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시마드(La Cimade) 사무총장, 마들렌 바로(Madeleine Barot)의 삶과 활동에 관한 연구
김은하 ( Kim Eunha ) 한국교회사학회 2024 한국교회사학회지 Vol.68 No.0
본 연구는 20세기 글로벌 위기 속에서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을 보호하기 위해 헌신한 마들렌 바로(Madeleine Barot)의 삶과 활동을 분석하고, 그녀의 이야기를 대한민국 사회에 소개함으로써 현대 사회에 적용 가능한 글로벌 시민의식을 함양하고자 한다.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중 난민 구호 활동을 전개한 마들렌 바로의 인도적 저항과 기독교적 헌신, 마들렌 바로의 생애와 활동을 통한 글로벌 시민의식의 중요성과 이를 실천한 개인의 영향력을 재조명함으로써 시마드(CIMADE)와 같은 조직에서의 그녀의 활동이 전시 상황에서 교회와 사회의 연대와 평화 증진에 기여한 사례로, 젊은 세대에게 국제 시민으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Visiting Professor,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work of Madeleine Barot, who dedicated herself to protecting human life and dignity amid the world crises of the 20th century. Introducing her story to South Korean society,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cultivation of a global citizenship that is applicable to modern times. The research reported here highlights Barot’s humanitarian resistance and Christian dedication in her work with CIMADE during World War II. Her work, particularly in refugee relief, illustrates the significant role that church and societal solidarity play in promoting peace in wartime.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global citizens as seen through Barot’s life, reaffirming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the individual’s commitment to global citizenship.
‘셀프다큐를 활용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은하(Kim, Eunha)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셀프다큐를 활용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김창대(2002)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사적 비주얼 이미지를 통해 자기반영성(Self-reflectivity)을 확장하고, 타인의 피드백을 통합하여, 진정한 자기 이미지를 확장해 나가는 것을 목적으로 총 8회기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서울?경기 지역 두 대학교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집단, 통제집단,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자기개념과 대인관계 향상정도를 확인하고 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개념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기존의 다른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교집단과 비슷한 정도의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 연구 및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self-documentar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al process C, Kim(2002) proposed. It is composed of 8 sessions and one follow-up session, which has an intention of self-expansion through self-reflectivity with self-image and integration with other people's feedback. As the result of conducting the program,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improvement in self concept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김은하(Eunh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1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deaf children. Participants were 100 deaf children (Japanese) from the first to six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for the deaf. Each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an appare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patterns of correlation between visu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ading ability.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a first path through first-belief tasks to contextual emotion tasks, and a second path through two-level tasks to second-belief tasks and to contextual emotion tasks. The low reading ability group showed the first path. On the other hand, the high reading ability group showed the second path of more difficult tasks in perspective-taking. This indicates that the high reading ability group uses high level of recursive thinking for contextual emotion task.
김은하(Eunha Kim),이재현(Jae-Hyun Lee) 한국전자파학회 201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8 No.5
최근 기술의 증가로 인하여 전 분야의 전자제품은 더욱 경량화, 집적화되어가고 있으며, 안테나 역시 출력의 향상으로 전송선로 단에서의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해석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의 안테나로부터 전송선로에 유기되는 노이즈를 예측하기 위하여 이론적 해석을 하였으며, 이를 전자기 시뮬레이션 해석과 비교, 검증하였다. 외부 안테나의 대표적인 예로서 본 논문에서는 전기 다이폴을 상정하였고, 이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해 전송선로에 유기되는 전압, 전류를 얻어내기 위하여 수정된 전송선 방정식(modified telegrapher’s equations)을 이용하여 수식을 유도하였다. 유도된 이론식은 전송선로에 대하여 전기 다이폴이 임의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전송선로에 대하여 다양한 위치에 있는 전기다이폴에 의한 노이즈를 조사하였다. At present the general trend of modern electronics is toward smaller packages and high performance. As an antenna requires high powers, the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roblems of the transmission line stage is becoming crucial day by day. In this paper, a transmission line exci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s from an infinitesimal electric dipole antenna is analyzed using the modified telegrapher’s equations. The analytical equations are derived for arbitrarily positioned electric dipole with reference to a transmission line. To verify our approach, the induced voltage and current at the terminal were computed by the proposed approach and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the electromagnetic simulation solver. Furthermore, the induced currents at the terminal of a transmission line excited by the electric dipoles at various posi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our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