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개방 정책의 성립기(1979∼1982), ‘사회주의 정신문명 건설론’의 제기와 그 실천운동

        김은수(Kim Eunsoo) 중국근현대사학회 2020 중국근현대사연구 Vol.88 No.-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futur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is the ‘China dream’ and ‘China model’. The important core spiritual and cultural construction plan here is the basis of the theory of socialist spiritual civilization construction promot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since Deng Xiaoping era. From 1979 to 1982, this paper puts forward the theory of socialist spiritual civilization construction, observe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basic policie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studies the process in which the movement of ‘five talks, four beauties and three loves’ is selected as the concrete ideological movement and propaganda campaign plan to practice the theory of socialist spiritual civilization construction. At the Fourth National Congress of literary and art workers held on October 30, 1979, Deng Xiaoping put forward the strategic principle of ‘grasping both material and spiritual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In the 1980s, the leading grou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eaded by Deng Xiaoping had a profound thought on the propaganda work for the youth. Deng Xiaoping stressed the need to adhere to the orthodox communist spirit represented by Mao Zedong Thought and Yan"an tradition. In the opening speech of the 12th Party Congress held in September 1982, the “theory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n the opening speech of the 12th CPC National Congress was formally formalized for the first time. The article 24 of the general handout of Chapter I of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dopted on December 4, 1982, formalizing the theory of socialist spiritual civilization construction into the core polic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February 1982, the CPC organized a mass campaign of ‘five talks and four beauties’ with teenagers as the object and ‘building spiritual civilization’ movement Politeness month campaig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three loves’ movement, which emphasizes patriotism, socialism and the lov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five talks, four beauties and three loves’ movement, attempts to restore the Chinese people"s propaganda work on the Chinese people"s trust i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hich has been shaken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up.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 ‘치료’ 개념 도입을 위한 시론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5

        현재 우리 청소년들은 풍요로운 환경 속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학 업, 학교폭력, 따돌림, 사회적 무관심 등으로 인한 극복하기 어려운 정신적ㆍ심리적 스트레스 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 스트레스나 정신적 불안은 그들로 하여금 내적 만족감이나 행복감보다는 학교폭력이나 자살, 비행, 일탈과 같은 청소년 문제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 현 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청소년 문제는 외부적 억압이나 강제가 아닌 그들이 가진 정신적 고 통과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 구는 우리 초중등학생들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 함양을 목표로 하는 도덕과에서 이러한 고통 과 상처를 치유하고, 그들의 정신적ㆍ심리적 중압감을 해소할 수 있는 내적 장치로서 ‘치료’ 의 개념이 도입ㆍ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전제 아래 그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탐색하고자 한 다. 이를 통해 우리 초중등학생들의 도덕성 발달과 인격 함양을 공고히 하고, 종국적으로 유 덕한 인격을 갖춘 21세기 우리 사회의 건전한 시민으로 성장시키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introduction of 'cure' in moral education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moral education. Currently our adolescent are living in a wealthy environment. Nevertheless, they are suffering from mental and psychological stress to be difficult to overcome their problems such as academic scores, alienation & bullying and social indifference. At last they express their psychological stress and mental anxiety to juvenile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suicide, delinquency, deviation. In this regard we need to change our view point of our children and youth. We should not see them in negative side but sympathize with their inner pain and insecurity. I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y to explore 'cure' and then attempt to introduce and establish it in moral education as the internal device of moral education which eliminate psychological stresses to pain our children and teen-ager and heal their emotional wounds. Through this study I'll intend to help our elementry, middle and high students to develop morality and cultivate good character, and finally hope to grow up moral citizens of 21st century with virtuous character in our society.

      • KCI등재후보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과 발전 역사에 대한 연구

        김은수 ( Eunsoo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삼위일체 교리’(the Doctrine of the Trinity)는 기독교의 성경적인 신 이해의 정수를 요약하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의 전체로서 기독교 신학의 총괄이자 신앙고백의 핵심 기초이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의 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한 위대한 신학적 기여들을 통하여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이 이루어졌다. 여러 세기 동안의 치열한 신학적 교리논쟁을 거쳐 정통적인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공교회 신앙고백의 핵심인 ‘사도신경’(the Apostles’ Creed)과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the Nicea-Constantinople Creed, 325년 & 381년)과 아타나시우스 신경(the Athanasian Creed, 6/7세기)으로 정립되었고, 이후 잇따르는 모든 확장된 신앙고백서들의 기초가 되었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에 있어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에 있어 위대한 신학적 기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먼저, 동방교회 교부들에는 리용의 이레니우스(Irenaeus of Lynons, ca.130-200), 오리겐(Origen, ca.185-254), 아타나시우스(Athanasius, ca.296-373), 그리고 3명의 ‘카파도키안 신학자들’로 불리는 가이사랴의 바실(Basil of Caesarea, ca.330-379),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Gregory of Nazianzus, ca.329-389), 니사의 그레고리(Gregory of Nyssa, ca.335-395)가 있다. 그리고 서방교회 교부들에는 터툴리안(Tertullian, ca.160-225), 그리고 히포의 어거스틴(Augustine of Hippo, 345-430)이 특히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발전 역사를 고대 동/서방교회의 정통 교부 신학자들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탐구하며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삼위일체론과 관련한 각 시대의 핵심 논쟁점과 이에 대한 주요 신학자들의 특징적인 이해와 독창적인 공헌이 과연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 그러한 동/서방교회 교부들의 ‘공교회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이해에 있어 공유되어야할 핵심 사항들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정리하여 제시함과 동시에, 그것이 오늘날 한국교회의 왜곡된 삼위일체론 이해를 올바로 교정함에 있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the very essence of Christian biblical understanding of God, the summary of Christian theology as a whole, and the ground-foundation of confession of faith. Especially,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catholic church’ had been developed and established by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Fathers. Through the severe theological controversy during several centuries in the ancient Church,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had been established in the Apostles’ Creed, the Nicea-Constantinople Creed(325 & 381), and the Athanasian Creed(6/7 century) as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confession of faith. Especially, in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the establishing of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had been made by the contributions of the following important Church Fathers. In Eastern Church, there were Irenaeus of Lynons(ca. 130-200), Origen(ca. 185-254), Athanasius(ca. 296-373), and the three Cappadocians, that is, Basil of Caesarea(ca. 330-379), Gregory of Nazianzus(ca. 329-389), Gregory of Nyssa(ca. 335-395). In Western Church, there were Tertullian(ca. 160-225), Augustine of Hippo(345-430). In this study, I focused on in special concentration such an important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Fathers’ understandings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at process of analysis, I examined the kernel controversial point in each era, and the important and creative contributions of the theologians. Finally, I suggested a helpful propositions for a more proper understanding in the church of Korea according to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ancient catholic church’.

      • KCI등재

        성경적인 ‘창조 교리’ 이해와 현대적 도전들에 대한 재조명(I): ‘무로부터의 창조’(Ceratio ex Nihilo)를 중심으로

        김은수 ( Eunsoo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8 No.-

        창조 신앙은 기독교 신앙고백의 가장 본질적인 핵심 요소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기독교의 창조교리(the Doctrine of Creation)에 있어 그것의 본질적인 성격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에 대하여 기독교회는 고대 교회교부들로부터 여러 정통개혁주의 신학자들과 다양한 신앙고백서들에 이르기까지 전통적으로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가 성경적인 참된 교리임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가르쳐 왔다. 그러나 최근에 기독교 신학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창조에 대한 이러한 전통적인 이해가 전혀 비성경적일 뿐만 아니라 신학적으로도 심대한 왜곡과 더불어 수많은 난점을 제공하는 원천적인 근거가 되고 있다는 공격적인 주장이 다양한 관점에서 점증하고 있다. 이러한 신학적 경향은 비단 교의학(조직신학) 분야뿐만 아니라 현대 성경 신학, 교리사, 그리고 과학신학과 같은 신학연구의 다양한 분야에서 전통적인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 교리를 거부하면서 ‘[초기] 혼돈으로부터의 창조’(Creation out of Chaos)를 주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주장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최근의 창조 교리와 관련하여 심각한 신학적인 논쟁들을 염두에 두면서, 전통적인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 교리를 거부하는 최근의 여러 신학적 경향들을 다각도로 분석하면서, 특히 전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인 여기에서는 이 교리와 관련한 현대적인 신학적 논쟁점들을 (1) ‘성경신학적 관점’ 및 (2) ‘교리사적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독교 신학에 있어 ‘무로부터의 창조’ 교리가 가지는 성경적, 신학적 정당성과 적절성에 대하여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The biblical belief on creation is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in the Christian confession of faith. In this doctrine of creation, traditionally, its essential theological concept has been understood as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from the ancient church Fathers to the various orthodox Reformed confessions of faith. Recently, however, there are many theologians who reject and attack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as a non-biblical and theologically distorted understanding from various theological disciplines. That is to say, many theologians who belong to not only contemporary dogmatics(systematic theology) but also biblical studies, doctrinal historic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scientific theological studies, assert tha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biblical/theological understanding is not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but ‘Creation out of Chaos’. Therefore, considering as such very significant contemporary theological controversies on the doctrine of creation, this study tries to critically analyze the views and assertions which reject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reation out of Nothing’(creatio ex nihilo) in the perspectives of (1) biblical studies, (2) historical studies of doctrine; and discern its biblical and theological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in the perspectives of biblical studies and doctrinal historical studie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및 대학서비스가 한국체류에 미치는 영향 - 남·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

        김은수 ( Kim Eunsoo ),한예리 ( Han Yeri ),김효선 ( Kim Hyos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0

        이 논문은 최근 정체 상태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선택을 높이고 보다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중국인 유학생들의 지원동기에서부터 교육과정, 학교서비스, 인간관계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한 영역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성별로 체류의사에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도출하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 나아가 이들이 졸업 이후 우리나라에서 적극적인 경제활동인구로 활약하고 국제사회에서 지한(知韓)·친한(親韓) 인사로서 한국과 중국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로 양성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campus life and college educational services on Chinese students’ decision on whether to stay in South Korea after their graduation. To pursu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collected 187 data. After selecting a clear data set, the study finally used 126 response data to analyze campus life, college educational services, study motivation, relationships, and other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T-test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almost all the aspects compared with their female counterpart.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rovided that gender differences influences Chinese students’ intention to stay in South Korea after gradu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has suggeste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인지주의적 감정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9

        본 연구는 도덕적 감정의 토대로서 감정의 의미를 인지주의적 감정론의 관점에서 파악해 보고, 이를 통해 도덕교육적 의미 함축을 탐색하고자 한다. 도덕교육에서 감정의 문제는 이전과는 달리 도덕적 지성과 행동을 연결하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정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들로 인해 그 이론적 체계화는 많은 난관에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의 건전한 인격완성 및 도덕적 행위의 발현을 목표로 하고 있는 도덕교육 또한 이론적ㆍ실제적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의 감정에 대한 문제를 감정의 핵심적 속성을 합리성에 두고 있는 인지주의적 관점에서 조명해 봄으로써 기존의 난점들을 어느 정도 해소할 뿐만 아니라 일련의 공적 행위로서 도덕교육이 추구하는 도덕적 감정교육의 정당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meaning of emotion on the basis of moral emotion in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and to find its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Issues of emotion in moral education have been perceived to carry out the role of connection between moral intelligence and behavior, and for this reason,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ed. Nevertheless theorization of emotion has been encountered lots of difficulties due to its various attributes. Therefore moral education which aims at the completion of learner's healthy character and revelation of moral behavior also has many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theoretical and actual side.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ies to solve many difficulties throughout considering emotion in the view point of cognitive theory of emotion which assumes rationality of emotion and to justify education of moral emotion in moral education as a series of public act.

      • KCI등재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그림 지각 관련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은수 ( Kim Eunsoo ),정민수 ( Jung Min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담뱃갑 경고그림(graphic health warnings; GHW)은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가격 금연정책의 하나이다. 그러나 흡연은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GHW가 모든 국가에서 흡연율을 일정하게 낮출 것이라고 속단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한국의 남성 청소년이 GHW를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전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웹패널 서베이다(N=645). 종속변수는 GHW를 본 후 응답자들의 정서적 이성적 지각이며, 독립변수는 응답자의 자기 효능감, 반응 효능감, 모험추구행동이다. 부모의 교육수준과 흡연여부, 응답자의 용돈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교화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흡연 고등학생은 모험추구행동을 많이 할수록, 흡연 고등학생은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흡연 대학생은 반응 효능감이 높을수록 GHW의 공포와 혐오에 대한 정서적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GHW의 객관적 폐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이성적 지각에 대해서는 고등학생의 경우 흡연 유무와 관계없이 반응 효능감이 높을수록, 흡연 대학생의 경우 반응 효능감이 높고 모험추구행동을 많이 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반응 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GHW를 청소년들이 정서적이고 이성적으로 올바르게 지각하는데 가장 중요한 해법이라는 점을 보여주므로 관련된 세심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Covering tobacco packages with the Graphic Health Warnings (GHW)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nti-smoking policies implemented around the world. We examined factors affecting male teenagers` perception of the GHW. This study used a web-based panel survey data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in Korea, which was supported by the NRF (N=645).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emotional and rational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after looking at GHW. We analyzed the data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s by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level and smoking status, and the allowance of each respondent.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for the emotional perception of GHW, nonsmok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nsation seeking behavior, and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self-efficacy, and smoking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response-efficacy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GHW as frightening and terrible. Second, for the rational perception of GHW,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response-efficacy, regardless of their smoking status, were more likely to reach the rational decision that they should quit smoking because the GHW objectively showed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ncreasing the response-efficacy of teenagers is the most important key to induce them to perceive GHW appropriately.

      • KCI등재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 Kim Eunsoo ),박제인 ( Park Jein ),정종구 ( Jeong Jonggu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法學硏究 Vol.27 No.1

        보건의료정보는 개인정보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인간의 존엄과 가치(헌법 제10조) 및 사생활의 자유(헌법 제17조)에 의해 인정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라는 기본권으로서 헌법상 보장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사회생활을 위해 어느 정도는 제한될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과 어울리기 위해서는 공익적인 목표를 위해 불편을 감수(헌법 제37조 제2항)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개인정보의 보호와 이용은 상충관계에 있으며, 딜레마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은 반복적으로 지속되어 왔다. 문제된 상황 또한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 원이 보유 및 관리하고 있는 보건의료정보를 빅데이터로서 운영하여 국민의 복리후생을 높이려는 시도(“이용”)에 대해 일부 시민사회 단체가 반대(“보호”)하게 되면서 유발되었다. 한국과 유사한 국민개보험을 실시하고 있는 대만의 사례를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법현실과 대만의 법현실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문제된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해법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유사한 건강보험제도를 가지고 있는 대만은 이미 한국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겪었고, 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향하는 보건의료정보의 활용에 대한 건강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의 반발은 이미 2012년에 대만의 인권단체(TAHR)가 전민건강보험(NHIA)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다투었던 사안과 매우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① 국내의 보건의료정보 활용 현황 및 보건의료정보의 보호와 활용 맥락에서의 관련 규제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② 국내 건강보험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갖고 있는 대만의 보건의료정보 활용현황에 대해 정리하고, 이러한 제도가 형성되는 데에 강한 영향을 끼친 TAHR vs NHIA 사건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③ 보건의료정보의 활용 맥락에서 TAHR vs NHIA 판결의 핵심적인 논점들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④ TAHR vs NHIA 판결의 논점들이 국내의 상황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보건의료정보의 활용에 대한 법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protected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It is becaus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n his or her own personal information is guaranteed as a fundamental right in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utility of health information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due to the fact that health information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life. The efforts to resolve the dilemma whereby utilizing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re conflicted between each other have been made continuously. In line with these efforts, some governmental agencies or departments in South Korea have announced series of policies related to data-utilization in big data context. However, some civil societies showed strong disagreement on the governmental policy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that several governmental agencies collected. In this regard, one legal case in Taiwan, which has similar health insurance system in terms of public insurance with South Korea, needs to be examined in detail. It is because comparative legal analyses between South Korea and Taiwan are helpful to resolve the situation, which is stated above. Taiwan has embraced a sort of social consensus concerning the above issue after experiencing social conflict. Thus, the decision of the Taiwanese court in TAHR vs NHIA is closely analyzed based on the regulatory and systematic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nations regarding health information.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followings: ① how health information is utilized in South Korea and How health information is regulated under current legal regimes; ② how health information is utilized in Taiwan with the introduction of TAHR vs NHIA based on the description of health information system in Taiwan; ③what are the main decisions and legal reasoning of TAHR vs NHIA; and ④ what can be learned from TAHR vs NHIA in relation with health information.

      • KCI등재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 화장품 구매행태와 뷰티관광 참여에 대한 연구

        김은수 ( Eunsoo Kim ),정민수 ( Minsoo Jung ) 한국미용학회 2015 한국미용학회지 Vol.21 No.5

        The Korean Wave (Hallyu) of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South Korea in 2013 amounted to one-third of the total foreign tourists. The Chinese tourists mostly purchased cosmetic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hopping patterns of Chinese tourists with a focus on South Korean cosmetic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beauty touris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with Chinese female tourists (n = 713) aged twenty or above who visited South Korea during the Chinese lunar new year in February 2015. Facto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study the influential factors of Korean beauty touris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pondents` desire to repurchase items increased 3.26 times as the cosmetics benefits and preference for South Korean cosmetics increased. The wish to participate in beauty tourism also increased 1.24 times as a favorable impression of South Korean culture increased. Third, the desire to repurchase South Korean cosmetics increased 3.68 times and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beauty tourism increased 2.04 times as participation in general tourist products increased. Strengthening the benefits obtained from buying cosmetics and the preference factors are thus necessary to raise Chinese tourists` rates of repurchasing South Korean cosmetics. Chinese tourists` favorable impression of South Korea through the Korean Wave is also necessary to manage. In addition, diverse tourist products must be created and memories of these trips must be marketed to elevate the image of Korean beauty (K-beauty) and to energize the cosmetics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