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2) -지난 50년간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윤주 ( Kim Yoonjoo )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1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studies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raw implications from it. There have been rapid increases of research in 2000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t is a recent tren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has imported the concept of heritage language while previous studies applied the concep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mother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and bilingu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372 research articles from the criteria of regions, research themes, teaching methods,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ers need to deepen the discus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by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of other disciplines as well as overcoming deviation of regions, research themes etc.

      • KCI등재

        한국어교육 분야 문식성 연구 현황 및 향후 과제

        김윤주 ( Yoonj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문식성 연구 현황을 분석한 연구이다.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시기별, 학습자 대상별, 문식성 유형별로 분류하여 연구 성과와 양상을 살펴보았다. 총 62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 논문이 발표된 이래 문식성 연구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대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유형별로는 문화적 문식성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문식성, 다중 문식성 관련 연구가 특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의 문식성 환경 제공 주체로서 부모 대상 연구가 좀 더 많아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인을 위한 직업 문식성, 재외동포 및 KSL 학습자를 위한 계승어 및 이중언어 문식성에 대한 연구도 점차 많아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식성 유형의 개념 정립 및 교수요목 설계, 학습 활동 구안 등에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of literacy studies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uthor categorizes total sixty-two research articles by times, objects, and literacy types. Then, the author evaluates the achievements and aspects of them. As a result, the author identifies that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rease of literacy studies since the first literacy study had been published in 2007. The author also finds that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college students' cases. As for the type, cultural literacy studies was the most popular subject while there have been steady increases in academic and multilateral literacy studies.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literacy research which can deal with parent cases, occupational literacy for adult and bilingual literacy for oversea Korea and KS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erv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literacy concept development, teaching item design, and devising of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문식성 연구 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지난 25년간(1996~2021)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김윤주 ( Kim Yoonjoo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본고에서는 문식성 연구 성과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RISS를 통해 문식성 관련 학위논문을 검색하면 1,197편의 논문이 나온다. 이들 중 본고의 목적에 적합한 301편의 학위논문을 추출하였다. 이들 학위논문의 서지 정보를 표기하여 엑셀파일에 자료를 구축하였다. 논문의 초록, 핵심어, 목차 등을 살펴 본고의 목적에 맞도록 다양한 항목과 내용을 기록하고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자료들을 대상으로 시기, 전공 분야, 연구 대상, 문식성 유형에 따라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논점을 정리했다. 1990년대에 3편에 불과했던 학위논문이 2000년대 73편, 2010년대 187편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2020년대는 2021년 3월 현재 38편이 발표된 상황이다. 논문의 총량은 국어교육, 미술 교육, 한국어교육, 유아교육 순으로 많았고, 대상별 논문의 총량은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유아 등의 순이었고, 성인 대상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문식성 유형으로는 시각적 문식성, 기본 문식성, 매체 문식성 분야 많았고, 학문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앞으로는 학교 내 문식성 뿐 아니라 가정, 직장, 지역사회까지 공간이 확대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며 다양한 매체에 기반한 복합양식, 다중 문식성 등의 문제도 더욱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issue of literacy research outcomes by reviewing academic thesis. The author extracts 301 dissertations from keyword search in RISS and categorizes the studies with the criteria of time, research area, research objects, and literacy types. After analyzing the trends and research issues, the author produces the following evaluations; The number of academic thesis dealing with literacy have been growing from 1990s when there were only three academic thesis in that era. Korean language education, art education, KSL,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the main areas that produced literacy research. From the standpoint of research objects,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groups for literacy research. As for literacy types, visual literacy, basic literacy and media literacy were popular research subjects and there are growing numbers of studies that deal with academic literacy, cultural literacy and critic literacy.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literacy research areas encompassing family, workplace, and community. Also, the authors argues that multilateral literacy research based on various media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 KCI등재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발표 양상 연구

        김윤주 ( Yoonjoo Kim ) 한국화법학회 2016 화법연구 Vol.0 No.3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a presentation as demonstrated by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The focus of the analysis is to find out if there are weaknesses in the manner the students give a presentation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which aspects of the presentation require reinforcement.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uthor is able to provide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instructors need to teach the importance of clarifying the genres of an official oral presentation and the ways of signaling them. Second, instructors need to emphasize the teaching of both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aspects of an oral presentation. In addition, sufficient practice should be seriously undertaken in order to achieve fluency in giving a presentation. Third, instructors should teach the students how to use complementary visual materials in organizing the presentation contents. Lastly, they need to teach crucial concepts and how to select contents to include in a presentation based on their areas of specialization. In so doing, the students will learn the important aspects of a good presentation; identify appropriate contents to include; and demonstrate the official way of presenting orally.

      • KCI등재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윤주 ( Kim Yoonjoo )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4 No.-

        This study deals with the academic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can be traced in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specifically speaking, this study is about application of the theme-based instru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lass contents. For this end, the study delves into several issues; definition of academic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s, contents of the education model, appropriateness of the academic Korean language education defin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 current level of related studies in this area. Also, this study deals with overview of contents-based instruction, specific models of contents-based instruction, and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of the models for KSL education. Lastly, this study provides operational alternatives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 by designing syllabus and forming texts, tasks, and activities for the KSL class. (Hansung University)

      • KCI등재

        인도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현황 분석 및 시사점

        김윤주 ( Yoonj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인도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인도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았고, 그동안 발표된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모두 추출하여 세부 영역별로 분류한 후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학에서는 교육 방안 연구가 가장 많고, 교육과정, 교재, 학습자 언어, 대조분석 연구가 일부 있었으며, 내용학에서는, 어휘, 문법 영역이 가장 많았고, 말하기, 쓰기, 비언어적 요소 등의 연구가 약간씩 이루어진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인도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한 면밀한 파악이 먼저 있어야 할 것이고, 두 언어 간 대조분석 등 기초연구가 더 필요하며, 언어 기능 교육은 물론 비언어적 요소 및 문화 교육, 학습자 특성, 교사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인도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향성 제시를 위한 지침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in India. For this end, the author looks at the history and the pres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After that the author collects dissertations and studies dealing with India's Korean language educations and analyzes research themes of them. As a result, the author finds out that studies dealing with teaching methods cover the majority of the pool while curriculum, textbooks, learner’s language, contrastive analysis are the minor research area of the p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s studies,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deal with vocabulary, grammar, speaking, writing and culture.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should be thorough analysis regarding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dia. The author also emphasize that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Indian language is needed. If researches regarding technical side of language education, non-language components, learner’s language, and teachers issues are conducted.

      • KCI등재

        「2012 한국어 교육과정」과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 비교 분석 및 시사점

        김윤주 ( Yoonj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2012 한국어 교육과정」과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명시된 교육 목표, 대상, 내용 체계, 등급, 성취기준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KSL 교육 대상 학습자의 언어적 특성 강조, 학습 한국어의 개념 재정립 및 하위 구성 요소 정교화, 문화 영역 강조, 언어 재료의 추가 확대 등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초ㆍ중ㆍ고등학교 KSL 교육의 발전을 위해 한국어 교육과 타교과와의 연계 방안, 등급별 언어능력 기술을 위한 성취기준 문장 형식의 정교화 방안, 교육과정의 학년별 세분화 방안, 교수학습 방안 및 평가 방안 제시, 교사 역량 강화 방안 등을 위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KSL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방향성 제시를 위한 지침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of 2012 and 2017 KSL Curriculum for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author focuses on the educational goals, target students, education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each curriculum. The analysis confirms that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from 2012 curriculum to 2017 curriculum; putting more emphasis 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SL students, redefinition of academic Korean language, elaboration of educational components of the programs, emphasizing cultural areas of KSL education, and expansion of linguistic materials. With this analysi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study for finding alternatives of connecting KSL subjects and other academic subjects, elaborat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linguistic capabilities levels, suggesting teach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and measures for enhancing teachers capacity.

      • KCI등재

        미국 ESL 교육과정 "WIDA" 고찰을 통한 KSL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김윤주 ( Yoonjoo Kim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2

        미국의 ESL 교육과정 WIDA는 2004년 처음 발표된 이래로 2007년, 2012년 두 차례 더 내용이 수정 보완되어 발표되었다. 학교생활과 교과 수업 맥락에서 학문적 언어능력을 향상시켜 같은 학년의 학업을 수행함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 WIDA가 추구하는 근본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ESL 교육과정이지만 타 내용교과와의 연계성을 중시하며 타 교과에서 추출한 주제와 장르는 물론 인지적 기능 유형,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반한 교과별 담화의 특수성까지 담아내고자 시도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학년군 체제의 변화가 가장 큰데 초·중학교는 각 학년별 기준을 제시하고 고등학교는 9-10, 11-12학년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특히 2012년 WIDA에서는 ESL 교육과정이 장차 이들 학습자로 하여금 대학 수학과 직업 준비를 위한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갖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으며, 지역성과 학교의 특수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변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미국의 ESL 교육과정의 변화 과정과 현재의 체계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우리의 KSL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바에 대해 제언하였다. 현재 한국어 교육과정의 생활 한국어 학습 한국어의 이원 체계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하며, 현재의 학교급 체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언어 등급별 숙달도 수준을 기술함에 있어서도 문장 형식을 좀 더 정교화 하여 의미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용교과 영역과의 연계와 관련해 한국어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 수준까지 명시해야 하는가에 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하며, 내용 중심 교육과정 도입을 위해 이론적으로 기술적으로 숙달할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안내가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문화 영역의 명시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American ESL curriculum, WIDA, introduced in 2004 have been revised twice in 2007 and 2012.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WIDA is improving academic language fluency in the context of school life and curriculum of certain grade. Therefore, WIDA emphasizes extracting themes, genres, cognitive functions, 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other curricula for ESL educational contents. For this end, WIDA provides educational goals of every grad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SL programs while introducing two grade clusters goals in High School programs. Meanwhile, 2012 WIDA elucidates that ESL curriculum should be helpful in preparing college education and job preparation and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of KSL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past evolutionary paths of American ESL curriculum. There is a need to revise grade clusters of KSL system. Contents of KSL texts should be elaborated reflecting fluency criteria of each grade. Consensus should be made regarding how much contents of other curriculum need to be imported KSL curriculum. Guidance for KSL teachers should be provided because they need to have opportunities in mastering theories and practices of contents-based KSL education. Lastly,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on the way of projecting cultural aspects to KSL contents.

      • KCI등재
      • KCI등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김윤주 ( Kim Yoonjoo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79

        본고의 목적은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 이중언어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중언어강사는 본래의 담당 교과인 이중언어교육보다 다문화교육을 더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중언어강사들은 교재와 학습 자료의 부재, 교수법에 대한 지식 부족, 일반 교사 및 관리자와의 관계,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불안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이중언어강사라는 점에는 보람과 가치를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점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근본적으로 이중언어강사 양성은 해당 시도교육청 내 일선 학교에 대한 충분한 현황 파악이 있은 후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이중언어강사의 현장 배치 역시 다문화 학생 재학 현황 및 필요한 지원 언어 등에 대한 수요 파악 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재와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공유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이중언어강사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부모로서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일반 교사와 관리자, 신규 교사를 위한 연수 및 재교육 프로그램에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강좌를 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이중언어강사의 재교육 강좌도 더욱 다듬고 개발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내용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학력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 및 자원 활용 차원에서 이중언어교육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를 활용할 가능성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ssessing the role fulfill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finding some issues, and suggesting developmental alternatives for making best use of instructors. In order to do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author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o bilingua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methods show that bilingual instructors take on more classes in the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bilingual education which is their original area of responsibilities. This situation has caused many problems; lack of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insufficient knowledge on teaching method, un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other full-time teachers and managers, unstable employment and anxiety. However, many bilingual instructors see that their roles are important and valuable despite all those problems they have to take on. Having assessed current situation of bilingual instructors, the author suggests several alternatives for better uses of bilingual instructors. In order to have good plans for providing bilingual instructors, sufficient reality-checks over all schools in a jurisdiction of municipal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first place. Second, place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need to reflect the educational demands such as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need of certai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re are needs i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and ways of sharing of those materials and information. Fourth, it is very recommendable to have a program connecting bilingual instructors with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haring educational experience as parents of bilingual students. Fifth, classes that focus on the need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job training classes for incumbent full-time teachers, managers and incoming teachers. Sixth, better re-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quality. Finally,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as instructors would be a good option since it is also a good alternative for social engagement aspect as well as bilingu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