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내설악 화전민 취락과 너새집 분포

        김우선 운곡학회 2024 운곡논총 Vol.15 No.-

        In this article, the research area is the valley section of Baekdamsa(백담사)~Yeongsiam(영시암) including the branch valleys of Gilgol(노동), Gomgol[백담리], and Yeongsidong(영시동), and Neolhyeobigol[광협동]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Inner Seorak[內雪嶽]. This area belongs to Yongdaeri, Bungmyeon, Injegun, Gangwondo. I investigated the historical distribution of neosaejip(너새집) by various records of three periods; Joseon dynasty, Japanese occupation, and post Korean war. All the materials such as Sansuyuki(산수유기), historical records, and regional geography books of Chosun; topographic maps of Japanese occupation with related documents and photos; modern topographic maps and documentary photos of post Korean war gave me essential basis. Research result is that there were at most fifty neosaejips from Baekdamsa region to Yeongsiam, including the Garyeokchon(갈역촌), Oegapyeong(외가평) where used to be a horse relay of Joseon. On the line of 12 kilometers’ main path through Baekdam and Suryeomdong(수렴동) valley, there were such temples as Baekdamsa, Chukseongam(축성암), Yeongsiam, Wonmyeongam(원명암) and Oseam(오세암). Various size of neosaejips were located with small arable land originated from slash and burn field along this main line including two branch valleys(Gilgol and Gomgol) and Neolhyeobigol placing in the middle of Jeohangnyeong(저항령) path. Till the early 1970s after Korean war, about 10 neosaejips remained but all of them were demolished by government policy, the readjustment project of slash and burn field. In the last year of the project, 1979, the last remaining neosaejip in Inner Sorak was disappeared by forced removal of Injegun. Now in bush and woods, there can be found only some indistinct sites of neosaejip with crashed stone wall. Since the designation of Seoraksan as the fifth national park of Korea, 1970, there has been some remarkable accomplishment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But the three hundred-year long human landscape and cultural assets were erased totally, such as neosaejip and slash and burn field in the area of Inner Seorak, Yongdaeri, Bungmyeon, Injegun. Based on this research,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involved, Inje-gun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 urge the active restoration project of neosaejip as a kind of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of such project will be contribut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Injegun as well as promoting lots of tourists’ understanding about human environment of Seorkasan national park.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일원, 백담사~영시암과 널협이골, 길골 등에 분포했던 내설악 너새집을 대상으로 하여 조선시대의 산수유기, 일제강점기의 기록 및 1대 5만 지형도, 6.25 전쟁 이후의 지형도와 사진 기록 등을 근거로 각 시기별 분포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내설악 너새집은 조선시대 역말인 갈역촌(용대리 외가평)을 포함, 현재 국립공원 지역인 백담사 일원에서 영시암에 이르기까지 약 4km 구간에 걸쳐 최대 50여 채가 분포했다. 이들 너새집은 백담사-축성암-영시암-원명암-오세암을 잇는 경로상 입지를 기본 축으로 널협이골, 길골, 곰골 등 백두대간 저항령을 넘어가는 계곡길에도 분포해 있었다. 대부분의 너새집은 화전 개간 이후 숙전화된 경작지 농사 및 사냥과 약초 채취 등을 생업으로 하는 이들의 터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백담사~영시암 지역의 너새집은 6.25전쟁 이후 1970년 초까지 존재했다. 그러나 정부의 화전정리사업 및 국립공원 지정 등과 맞물려 1979년경 내설악에 남은 마지막 한 채까지 모두 철거되었으며, 여러 곳에 남아있는 돌담 등 집터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설악산 지역은 국립공원 지정 이후 자연생태계 보존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보여왔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래 1970년대 초까지 근 300여 년간 인제군 북면 용대리, 내설악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의 흔적 등 인문경관은 모두 지워지고 말았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공원공단과 인제군 등 관계 기관이 나서서 백담계곡에 한 군데만이라도 이곳을 터전으로 하여 살아왔던 화전민의 자취인 너새집을 복원, 전시함으로써 탐방객들에게 설악산의 인문환경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적극 추진하기 바란다.

      • KCI등재

        지명어 후부요소 ‘덕(德)’의 지리적 분포와 특성 - 북한 지역을 중심으로

        김우선,현종 한국지명학회 2023 지명학 Vol.38 No.-

        이 논문은 북한 지명 가운데 형태소(후부지명요소)가 ‘덕’인 지명에 관한 연구로 북한의 ‘덕’ 지명을 전수 조사하여 지명 유래, 토지 이용, 덕 지형 형성과 분포에 따른 분류를 하였다. 『조선향토대백과사전』에서 소개하고 있는 북한 지역의 ‘덕’ 지명은 모두 7천여 개 가량이며, 함경남북도와 양강도, 자강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인 분포를 보인다. 반면에 황해도, 평안도, 강원도 지역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덕’ 지명은 남한의 강원도 지역에서도 일부 보이기는 하나 형태나 성인상으로는 북한의 덕과 다르다. 연구 결과 북한의 덕 지형과 지명은 그 유래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고려와 조선시대 이래 지역 주민의 경제활동 및 생활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덕 지형의 분포는 경동성 요곡운동에 따른 지반의 융기량이 큰 해안과 하안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화산폭발에 따른 현무암 분출이 대규모로 이루어진 개마고원 지역에도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IS 연구 방법을 통해서는 덕 지명 분포와 지형 특성 파악을 시도하였으며, 북한 최대의 덕인 오수덕을 사례로 하였다. 북한의 ‘덕’ 지명을 통해서는 식생과 토양뿐만 아니라 농경, 목축, 광업 및 기와와 항아리 등 생활 관련 물품 제조 등 덕땅 이용 방식을 추적해 볼 수 있다. 군사 요충지에 위치한 덕에는 고구려~고려 시대 이래로 성을 쌓는 등 방어 시설이 들어섰다. 조선시대에도 성과 봉수대, 창고, 서당, 향교, 절 등이 덕에 세워졌으며, 성덕, 연덕, 창덕, 서당덕, 향교덕, 절덕 등의 지명으로 남아있다. 북한은 정권 수립 이후 규모가 큰 덕 지대의 마을 전체를 이주시킨 후 집단농장을 설치하였으며, 그에 따라 새로운 ‘덕’ 지명이 생겼다. 집단 이주에 따른 마을 ‘덕’ 지명의 변화 사례도 이번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흉요추 이행부 원인에 의한 후장골릉 부근 요통

        김우선,최훈,황영섭,오광조 대한통증학회 2000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13 No.1

        Pain around the posterior iliac crest area is usually attributed to disorders of the lower lumbar or lumbosacral spine. However, low back pain arising from the thoracolumbar region is common and it is very similar to low back pain of lumbosacral origin. Low back pain of thoracolumbar origin is clinically distinguished from other nonspecific low back pain syndrome. It is characterized by symptoms localized at one posterior iliac crest innervated by posterior branch of Tu spinal nerve. Patients never complain of T12 spontaneous pain at the thoracolumbar junction. Only localized tendemess over involved segments of thoracolumbar junction can be noted. We report two cases of posterior iliac crest pain of thoracolumbar origin which was relieved by the treatment on the thoracolumbar j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