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적 화학 요법에 대한 전향적 연구 -최종보고-

        김용진,김병식,김용호,육정환,오성태,박건춘,Kim Yong Jin,Kim Byung Sik,Kim Yong Ho,Yook Jung Hwan,Oh Sung Tae,Park Kun Choon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환자에 있어서 수술 후 서로 다른 보조화학요법이 장기 생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0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만 15개월간 서울 아산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위 절제를 시행한 환자 중, 장막침윤이 없는 3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수술 후 병기가 IA인 131예, 장막침윤이 있는 34예, 그리고 치료를 거부한 17예를 제외한 135명(1군: 5-FU+cisplatin 정주, 2군: mitomycin C정주+경구용5-FU, 3군: 경구용 5-FU)의 의무기록 분석과 전화추적을 실시하여 재발양상, 생존율, 및 위암관련 사망률을 각 군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121명에서 추적이 가능해 $89.6\%$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재발은 1군 4명, 2군 7명, 그리고 3군 6명 이었으며, 세 군의 전체생존율은 1군 $89\%$, 2군 $84\%$, 그리고 3군은 $82\%$이고, 위암관련 사망환자만을 고려한 질병특이 생존율은 1군 $92\%$, 2군 $86\%$, 그리고 3군은 $88\%$로 나타나 이들 세 군간에 전체생존율 및 질병특이 생존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전체생존율: P=0.6875, 질병특이 생존율: P=0.7120). 결론: 장막침윤이 없는 위암 환자에서, 치료효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 보조요법을 시행할 경우 경구용 항암제를 이용한 방법이면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보조요법을 시행치 않는 대조군을 포함한 대단위 무작위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Purpose: We reported our preliminary result in 2001. At that time, the follow-up period was too short to evaluate the survival benefit of adjuvant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without serosal invasion. Therefore, we followed those patients for 66 months to determine the long-term effects of adjuvant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recurrence pattern, the survival rate, and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of 135 patients by reviewing their medical records and calling the patients or their relatives. All enrolle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intention-to-treat analysis of efficacy. Results: The follow-up rate was $89.6\%$ (121/135), and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66 months. Among the 135 patients, 4 relapsed in group 1 (5-FU+cisplatin), 7 in group 2 (mitomycin C+oral 5-FU), and 6 in group 3 (oral 5-FU only).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89\%$ in group 1, $84\%$ in group 2, and $82\%$ in group 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overall survival rates and the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s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 Oral chemotherapeutic agents have an acceptable effect for adjuvant chemotherapy compared with intravenous agent. However, a large-scale,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ncluding a control group, is needed for an exact evaluation.

      • KCI등재

        생쥐 난포의 체외배양 중 생식샘자극호르몬에 따른 미세리보핵산 발현 양상

        김용진,구승엽,김윤영,오선경,김석현,최영민,문신용,Kim, Yong-Jin,Ku, Seung-Yup,Kim, Yoon-Young,Oh, Sun-Kyung,Kim, Seok-Hyun,Choi, Young-Min,Moon, Shin-Yong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4

        목 적: 미세리보핵산 (microRNA, miR)은 전사 후 (post-transcriptional) 단계에서 목표 유전자 (target gene)의 발현을 억제하여 세포의 발달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난포의 성장과정 중의 miR 발현 양상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존 연구는 생쥐 난포의 체외배양 후 생식샘자극호르몬 (gonadotropin)과 사람융모성생식샘자극호르몬 (hCG) 첨가에 따른 난자와 난구세포에서의 miR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생후 12일된 생쥐 (C57BL6)의 난소 적출 후, 전동 난포 (preantral follicle)를 분리하여 무작위로 $20\;{\mu}L$ 점적의 배양액만 있는 군 (control group), 재조합 난포자극호르몬을 첨가한 군 (FSH group), 재조합 황체형성호르몬을 첨가한 군 (LH group), FSH와 LH를 같이 첨가한 군 (FSH+LH group)으로 나누어 배양하였다. 난포가 충분히 성장하였을 때, 다시 hCG를 첨가한 군 (hCG (+) group)과 첨가하지 않은 군 (hCG (-) group)으로 나누어 hCG (-) group에서 난자와 난구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36시간 후, 배란된 난자 난구세포 복합체 (cumulus oocyte complex, COC)에서 난자와 난구세포를 각각 분리하여 RNA를 추출하고, mmu--miR-16, -miR-27a, -miR-126, -miR-721 등의 miR에 대한 primer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결 과: 배란율과 MII 난자 생성율은 다른 군들에 비해 FSH+LH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각 군내의 난자와 난구세포 사이에서도 miR 발현 양상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또한, 난자와 난구세포에서의 miR 발현 양상은 각 군간 차이가 있었으며, hCG (+)군과 hCG (-)군간에도 차이를 나타냈다. 결 론: 생쥐 난포의 체외배양 중 난자 및 난구세포에서의 miR 발현 양상은 gonadotropin의 종류 및 난자의 성숙도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결과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추후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MicroRNAs (miR) are known to repress target genes at post-transcriptional level and play important roles in development and maturation of cell. However, the expression profiles of miR during ovarian follicle maturation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Here, we design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rofiles of miR in oocytes and granulose cells (G-cells) after in vitro culture according to gonadotropins and adding hCG. Methods: Ovaries from 12-day-old mice (C57BL6) were removed and preantral follicle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20\;{\mu}L$-drop of culture media with supplementation of either rFSH, rLH, or rFSH+rLH. After their full maturation, follicles were incubated with rhCG and rEGF. RNA was isolated from oocytes and G-cells, and real-time PCR were performed with primers of miR known to be expressed in the mouse ovary (mmu-miR-16, -miR-27a, -miR-126, -miR-721). Results: FSH+LH group showed the highest ovulation and MII rates among gonadotropin groups. The profiles of miRs in oocytes and G-cells differed according to gonadotropin groups and adding hCG. The profiles of miRs showed divergent changes between oocytes and G-cells. Conclusion: miR expression profiles are altered by gonadotropins and supplementation of hCG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murine follicles. Target gene study must be necessary to validate these findings.

      • 자가 정맥 이식을 이용한 수지 접합술

        김용진,김형건,김형주,박진철,Kim, Yong-Jin,Kim, Hyung-Kun,Kim, Hyung-Ju,Park, Jin-Chul 대한미세수술학회 1998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7 No.1

        We carried out 107 replantations of amputated digits since last 1988. Among them, clean Gillotine amputation was 19 digits, mild crush amputation was 51 digits, severe crush amputation was 28 digits and avulsion type amputation was 9 digits. Vein grafts were used on 24 of these cases. The donor site of the vein graft was the volar aspect of the ipsilateral wrist or lower forearm. The average length of the vein graft was 1.8cm(1.0-3.0cm)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vein graft was 1.5mm(1.0-2.0mm). Sixty-one of 107 digits were successfully replanted for an 57% success rate. The survival rate of the replantation using the vein graft was 66.7%. We analysed the functional results of the successfully replanted digits according to Nakamura and Tamai's criteria. The functional results of the replantated digits using vein graft were better than that of without using vein graft(more than fair results, 81.2% vs 73.3%). We conclude that the jucidious use of autogenous vein grafts in digital replantation surgery will improve the survival rate and promote the functional result.

      • KCI등재

        삼상 분리형 자속커플링 전류제한기의 2차 권선의 턴 수 및 결선 방향에 따른 전류제한 특성

        김용진,두호익,두승규,김민주,이동혁,한병성,Kim, Yong-Jin,Du, Ho-Ik,Doo, Seung-Gyu,Kim, Min-Ju,Lee, Dong-Hyeok,Han, Byoung-Su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2 No.8

        The separated three-phase flux-coupling typ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FCL) is composed of a series transformer and superconducting unit of the YBCO coated conductor.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in the transformer were wound in series each other through an iron core and the YBCO coated conductor was connected with secondary coil in parallel.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through winding number of coil 2 and winding direction in the flux-coupling type SFCL. Through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additive polarity condition and lower winding number of coil 2 have advantaged from the point of view of fault current limiting and burned of YBCO coated conductor.

      • KCI등재

        C3 신염의 병리

        김용진,Kim, Yong-Jin 대한소아신장학회 2013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7 No.1

        사구체에 면역글로불린은 음성이면서 C3 만 침착되는 경우,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 C3GN을 의심하여야 한다. 광학현미경으로는 세포의 증식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지만, 전자현미경으로는 EDD가 내피세포 밑으로 혹은 메산지움 등에 침착함을 확인하여야 한다. 대체보체경로의 조절이상이 원인임으로 혈청 C3 치를 비롯하여 CFH, CFI, CFB 등을 측정하여야 하며, C3 nephritic factor, anti-factor H 자가항체 등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체 조절이상을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조사해 보아야 한다. 예후는 안정적이지만, 치료는 대증적이다. 이론적으로 보체의 활성화를 저지하는 약으로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C5 항체인 eculizumab으로 치유된 보고도 있다. C3 glomerulonephritis (C3GN) is a recently described entity that shows a glomerulonephritis on light microscopy, bright C3 staining and the absence of C1q, C4, and immunoglobulins on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and mesangial and/or subendothelial electron-dense deposits on electron microscopy. The term 'C3 glomerulopathy' is often used to include C3GN and dense deposit disease (DDD), CFHR5 nephropathy, those of which result from dysregulation of the alternative pathway of complement. C3GN shares some aspects of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MPGN, late stage of post infectious glomerulonephritis and other glomerulonephrtis. When C3GN is considered, measurement of serum complement proteins including C3, CFH, CFI, CFB and testing for the presence of C3 nephritic factor, anti-factor H autoantibodies are necessary. To screening for mutations, genes that encode complement regulators should be evaluated. This disorder equally affected all ages, both genders, and typically presented with hematuria and proteinuria. In both the short and long term, renal function remained stable in the majority of patients.

      • KCI등재후보

        로봇의 다축 모션 제어용 AC 서보 모터 드라이버 구현

        김용진,배영철,김광헌,Kim, Yong-Jin,Bae, Young-Chul,Kim, Kwang-H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2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3

        An effort for motion control of multi-axis in robot have been continued rec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implementation method for AC servo driver that can be easily motion control of multi-axis in robot. This proposed method implement EtherCAT communication technologies of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based on single optical core method that applied WDM for communication between control stage which is upper and AC servo drive stage. 최근에 로봇에서 다축 모션 제어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에서 다축 모션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는 AC 서보 드라이버를 구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먼저 상위의 제어기 단과 드라이버단 사이의 통신을 위해 WDM 방식을 적용한 싱글 광 코어 기반의 양방향 광 EtherCAT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한다.

      • KCI등재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병리와 분류

        김용진,Kim, Yong-Jin 대한소아신장학회 201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6 No.1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은 경화증을 주 병변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일차성 사구체 질환의 하나이면서 진행된 사구체 질환의 형태적 변화를 기술하는 단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사구체에는 경화증, 유리질 형성, 거품세포의 출현, 발세포의 공포화, 광륜형성 등이 보이고, 간질의 섬유화와 염증세포의 침윤, 세뇨관의 위축, 혈관의 비후 및 내막 섬유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면역형광검사에서 부분적으로 IgM과 C3 등의 침착을 보이지만 면역관련 질환은 아니다. 전자현미경 검사에서는 발세포의 손상 현상으로 세포질 내의 공포화와 족돌기가 상실되는 것이 중요 소견이다. 2004년 표준화 된 FSGS의 분류는 과거의 형태학적 변형들을 모아서 임상과의 상관관계를 지웠다. 그 결과 tip형이 가장 예후가 좋으며, collapsing형이 가장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분류가 증례에 따라서는 적용하기가 애매한 경우가 많고, collapsing형을 FSGS에 분류하는 것에 대한 반론 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임상적으로는 FSGS를 원인에 따라 분류하여 거꾸로 형태학적 공통점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사구체의 수가 적어서 일어나는 과여과로 인한 FSGS는 perihilar형이 많고 유전적 질환에 의한 것은 diffuse mesangial sclerosis가 특징인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FSGS는 이와 같이 아직도 밝혀져야 할 것이 많은 질환이며,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is the name of the primary glomerular disease as well as the terminology to describe the secondary phenomena of any other glomerular diseases. It is characterized by sclerosis, hyalinosis, foam cell infiltration, vacuolar change of podocytes, and halo formation in the glomerulus. Throughout the interstitium, lymphocytes infiltration, tubular atrophy and vascular changes are accompanied. Occasionally, IgM and/or C3 depositions are noted in the sclerotic areas. Electron microscopically, diffuse effacement of foot processes are seen in non-sclerotic area like minimal change disease. Podocyte injury patterns including vacuolar changes are frequently examined. Recently, Columbia group has suggested morphologic classification of FSGS and they demonstrated very good prognosis of tip lesion and poor prognosis of both collapsing and cellular types. However, the pathogenetic classification has been suggested by others; hyperfilteration, podocyte injury, genetic lesions etc.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understand and treat this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