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쉘 하이퍼큐브 구조를 갖는 코드북을 이용한 벡터 양자화 기법

        김영근,라정범 대한전자공학회 1995 전자공학회논문지-B Vol.b32 No.11

        When vector quantization is used in low rate image coding (e.g., R<0.5), the primary problem is the tremendous computational complexity which is required to search the whole codebook to find the closest codevector to an input vector. Since the number of code vectors in a vector quantizer is given by an exponential function of the dimension. i.e., L=2$^{nR}$ where Rn. To alleviate this problem, a multiple shell structure of hypercube feature maps (MSSHFM) is proposed. A binary HFM of k-dimension is composed of nodes at hypercube vertices and a multiple shell architecture is constructed by surrounding the k-dimensional hfm with a (k+1)-dimensional HFM. Such a multiple shell construction of nodes inherently has a complete tree structure in it and an efficient partial search scheme can be applied with drastically reduced computational complexity, computer simulations of still image coding were conducted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verified.

      • KCI등재

        부산지역 고용지원서비스 유형에 따른 업무성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영근,이근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1

        This study first researched the system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through workers of various agencies related to employment, and then analyzed how the system affect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vider's job performanc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n the system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the market oriented public employment services hav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job performance. However, the process-centric public employment support services are still emphasized.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network- centric employment support services is relatively incomplete. Therefore, the employment support services system should be a systematic, collaborative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oriented type of network in the work of relevan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side. 지식기반 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경제는 고용 없는 성장이 지속되고 또한 금융위기로 인한 저소득층 및 청년계층의 고용 문제는 매우 큰 사회적 화두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에서도 고용과 관련된 정책을 가장 중요한 정책 중의 하나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연구는 고용관련 부산 지역 내 다양한 기관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고용지원서비스 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유형이 고용지원서비스 수행자의 직무 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고용지원서비스 유형에서 시장 중심의 고용지원서비스가 고용지원서비스 수행자들에 대한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절차 중심의 고용지원서비스가 강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네트워크 중심의 고용지원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어, 관련기관 및 조직내부의 업무과정에서 체계적이고 협력적이며 신뢰와 협력 관계를 지향하는 네트워크 유형의 고용지원서비스 체제가 더욱 필요로 할 것이다.

      • KCI등재

        두 개강외 및 척추강외 신경섬유초종 : CT와 MR 소견

        김영근 대한영상의학회 1994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0 No.1

        Purpose: Neurilemoma or schwannoma is a benign tumor originating from the Schwann cell of the peripheral nerve sheath. Most frequently this nerve sheath tumor arises in cranial nerves, occasionally in extremity nerves and rarely in tetroperitoneum or mediastinum. We reviewed to determine CT and MR characteristics of extracranial and extraspinal neurilemoma.Materials and Methods: Eleven CT and 4 MR examinations in 12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Results : Extracranial and extraspinal neurilemoma were demonstrated as well-defined, round or voal, inhomogeneously enhanced masses(l1/12), located In the region of a known nerve ganglia or pathway, orperispinallyl. The densities of the tumors were lower than the adjacent muscles on the pre-enhanced CT scan, and becams more strongly enhanced than the tumors were similar to adjacent muscles on the T1Wl and high signal intensities to that of adjacent muscies on the T2Wl. Gd-enhanced MR shows inhomogeneous peripheral or wall ehancement.Conclusion : The typical location as well as CT and MR imaging characteristics may be helpful in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the extracranial and extraspinl neurilemoma 목 적: 신경섬유초종은 말단 신경초의 Schwann 세포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으로 주로 두 개 및 척수강내, 사지, 종격등 그리고 드물게는 후복막강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저자들은 두 개 및 척수강외에서 발생한 신경섬유초종의 CT 및 MR 소견을 분석하여 그 진단에 도움이 되는 소견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총 12명의 환자에서 11예의 CT와 4예의 MR영상을 얻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두 개 및 척수강외에서 발생한 신경섬유초종은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원형, 난원형 또는 소엽상의 불균일한 종괴로 신경총, 신경경로 혹은 척추측방에 위치하고, 조영증강 전 CT 및 MR에서 주위근육보다 저밀도(신호강도) 혹은 동등한 밀도(신호강도)로 보이고, 조영증강 후에는 동등한 밀도(신호강도) 혹은 고밀도(신호강동)로 조영증강을 보였다. 결 론: 종괴의 특징적인 위치와 CT 및 MR 소견으로 두 개 및 척수강외에서 발생한 신경섬유초종의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불안에관한기독교적이해와목회상담적접근

        김영근 성결심리상담연구소 2009 성결심리상담 Vol.1 No.-

        불안으로인하여고통을겪고있는사람들이많다. 이들중에는불안으로인하여수면에어려움을겪는경우도있고심각한신체적인장애나심리적인장애를겪는경우도있다. 불안은건강한정서로서사람들의삶에적당한긴장과유익함을제공할수도있다. 그러나부정적인증상으로서사람들의일상생활을힘들게하기도하다. 또한대인관계에치명적인장애를주기도하고하나님과의영적생활에어려움을제공하기도한다. 본연구에서는불안에대한일반적인이해를시도했다. 불안의원인과치료법, 학습론적입장, 정신분석적인입장, 심리학적인입장, 행동주의적인입장, 신학적인입장, 그리고신앙적인입장등으로나누어서살펴보았다. 또한불안과기독교신앙의관계를다룬뒤에불안장애극복을위한목회상담적인접근을시도했다. 불안극복을위한목회상담은네가지영역에서시도되었다. 첫째는소리로접근하기이다. 둘째는은총으로인도하기이다. 셋째는목회상담자의자질갖추기이다. 넷째는글쓰기고백활용하기이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plores more desirableapproach of pastoral counseling for human beings suffering fromanxiety. Rollo May emphasized that anxiety is a part of all humanbeing. Above all, anxiety about death is the source leading to otheranxieties. Man often suffers from the mental disease because he istroubled in the mind about the complexities of destiny 문themeaning of exist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anxiety, we conducted a psychoanalytic,behavioral, existential and biblical interpretation. With each area ofinterpretation the results were anxiety included a constructive andnegative. As to the therapeutic methods for anxiety, we analysed withpsychoanalytic, behavioral, existential and biblical approach.Consequently we discovered the disintegration of personality and theresulting therapeutic measure in Christianity. Christianity did not teachman to escape from anxiety, but rather exhort him to confront it.Biblical unique methods for the anxiety included an application ofBible, a prayer, a Bible reading. Approaches in pastoral counseling forthe anxiety are as follows: firstly, careful listening and support;secondly, leading to God’s grace; thirdly, competent pastoralcounselor with a good personality and faith; use of writing confessionas an effective counseling method.In conclusion, anxious persons revealed a decrease of anxiety andthe possession of an ultimate peace through knowing Jesus Christ bythe pastoral counseling and by the application of God’s reaction.

      • KCI등재

        동아시아 재해 거버넌스 :인간의 안전보장과 생명정치의 기원

        김영근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ial change seen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disaster governance(politics) in East Asia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safety state’,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post-COVID19 era. The “3.11 Corona Pandemic(2020.3.11)” phenomenon leads to fear of an infectious disease disaster, bringing abou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How has disaster safety governance developed by 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nd what is the policy ideology for human security?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ection I provides an overview of national governance by discuss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 ‘safety state’. Section II dissects disaster and safety governance(thought or ideological politics) or in East Asia. In Section III, the 3.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vs. the Transformation of Disaster Governance in East Asia, it is divided into post-COVID19 (AC) and analyzed biopolitics and ‘disaster safety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security. In the concluding remarks(Section IV), the transformation of national governance as seen through East Asian ‘disaster politics’ is evaluated and tasks for establishing a post-disaster safety study are drawn. In the case of Korea and China, infectious disease-related institutions have a top-down vertical cooperation structure, including policy enforcement functions. In contrast, Japan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institution focuses on horizontal cooperation through division of role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nd a policy in which China's 'crisis management' puts human safety as its top priority. Also it is not easy to find a policy to move away from the traditional disaster governance led by the state to a disaster governance with a 'reversed image'. Korea and Japan are implementing disaster governance with biopolitics, ensuring human security as their top priority.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주목받고 있는 ‘안전국가(safety state)’ 논의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의 재해 정치 혹은 거버넌스의 변용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인류는 ‘3.11 코로나 팬데믹’ 선언 이후 재해 공존의 시대에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대변혁을 경험하고 있다. 동아시아 국가별(한중일) 재난 안전 거버넌스가 어떻게 전개해 왔으며, 인간의 안전보장을 위한 사상(思想) 혹은 정책이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Ⅰ절에서는 ‘안전국가’의 기원 및 국가의 거버넌스에 관해 개관하고 있다. 제Ⅱ절에서는 진재와 안전의 사상을 키워드로 동아시아의 재해 정치(사상) 혹은 거버넌스에 관해 해부한다. 제Ⅲ절에서는 동아시아 재해 거버넌스의 변용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안보의 관점에서 생명정치 및 ‘재난안전공동체’에 대해 분석한다. 제Ⅳ절에서는 동아시아 ‘재해 정치’에 관해 평가하고 포스트 재난안전학의 구축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 있다.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의 경우, 전통적으로 중앙정부가 총괄하는 탑다운 방식의 수직적 협력 구도라 할 수 있다. 한편 일본은 각 관련 기관별 수평적 역할 분담이 특징이다. 중국의 ‘위기관리’가 인간의 안전보장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는 정책 제시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국가 주도의 전통적 재해 거버넌스에서 벗어나 ‘역(逆)이미지’의 재해 거버넌스로 전환하려는 시도가 엿보인다. 이에 비해 한국이나 일본은 생명정치 즉 인간의 안전보장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재해 거버넌스를 전개하고 있다.

      • KCI등재

        국민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성 고찰

        김영근,라수현,최동현,박철형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4

        In this era, people are experiencing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COVID-19 and the Ukraine-Russia War, which threatens the mental health of the people. In response to the threat to mental health caused by socioeconomic conditions, the citizens are also urging intervention in mental health issues at the national level. In response, the government is proposing the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by preparing measures for mental health, such as “Comprehensive Measures for Mental Health and Welfare of All People” (proposed). However, there is no legal basi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Due to these problems, various moves have been made to legislate psychological counseling, but no agreement has been reached due to differences in the standards of various factor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Because of this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necessity and rol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systematic review of national policies. Therefore, in this study, terms such as “mental health” and “legaliz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combined and searched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using search engines such as RISS, DBpia, KCI, and Google Scholar. Through the data we searched, 1. the actual and current status of people’s mental health, 2. the state’s intervention and limitations in mental health, and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to complement the limits of the state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role of psychological counselors required by national policies and the basis for them in performing their roles, establish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erms, integrating, organizing job content in psychological counseling NCS modules. Based on the results, six directions for legalizing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also presented. 현시대의 사람들은 코로나19,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사태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의 정신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른 정신건강의 위협에 따라 국민들 또한 국가 차원에서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온 국민 마음 건강 종합 대책, 제2차 정신건강 복지 기본계획(안)”을 수립하는 등 정신건강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며 심리상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심리상담 관련 법적 근거가 부재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심리상담 법제화를 위한 다각적인 움직임을 시도하였지만, 심리상담에 대한 여러 요인들의 기준이 상이하여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정책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심리상담의 필요성과 역할을 정립하고, 기존의 상이한 법제화 안건들과 심리상담 법제화의 움직임, 심리상담 NCS 모듈과 심리상담 관련 용어의 정립 및 통합, 각 학회별 자격에 대한 고찰 작업을 통해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신건강”, “심리상담 법제화” 등의 용어를 조합하고 RISS, DBpia, KCI, Google Scholar 등의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관련 문헌 자료를 탐색하였다. 탐색한 자료들을 통해 1. 국민의 마음건강 실태 및 현황, 2. 마음건강에 대한 국가의 개입 및 한계, 3. 국가의 한계 보완을 위한 법제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 정책에서 요구하는 심리상담사의 역할과 해당 역할 수행의 주체에 대한 근거, 심리상담 용어의 정립, 심리상담 NCS 모듈에서의 직무 내용 통합 및 정리, 심리상담 자격 및 수련 내용의 구성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한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 6가지를 논의 부분에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