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머니의 부모신념과 아동의 자기 지각과의 관계

        김연하,조복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7 생활과학논집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beliefs on child rearing, intelligence, and education and children's self perceptions. More specifical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egree of maternal beliefs about child rearing, intelligence, and educational goal; to assess the levels of children's self perception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maternal beliefs based on the gender and birth order of children; to see differences in the self perceptions of children as a function of their gender and birth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beliefs on child rearing, intelligence, and educational goals and children's self percep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189 three-grade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were located in Pundang-gu, Sungnam-si. The silf perceived competence and self-worth of children were assessed by the Self perceptions Profile for Children(Harter. 1985). Mothers' Beliefs Questionnaire, developed by Okagaki and Sternberg(1993), was used to obtain the data on maternal beliefs about child rearing, intelligence, and eductional goal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thers in this sample emphasis on the creativity, independence,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their children. While children felt that they could relatively make a friend easily and were self-worthy, they perceived themselves less competent in the areas such as behavioral conduct and physical appearance. Mothers emphasized on developing independence to the first-born children more than to the second-born childre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others' beliefs based on the gender of children. Compared with girls , boys perceived themselves more competent on the athletic abilities and physical appearance. Children shose mothers gave higher importance ratings to problem solving skills were likely to perceive themselves competent in the scholastic performance. IN addintion, mothers who placed greater value on conformity had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less competent in scholastic ablilties. The more mothers gave higher importance ratings to verbal skills, independence, and problem soving skills, the more children felt competent on behavioral conduct items. Materna beliefs on the educational goals,particularly the social goa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levels of global self worth in children.

      • KCI등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감성지능 간의 관계

        김연하,김민주,Kim, Yeon Ha,Kim, Minju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2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B 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의 상급종합병원과 4개의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 근무하고 있는 봉사자 중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서면으로 동의한 봉사자 1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원봉사활동 특성, 직무 스트레스, 감성지능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IBM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2.16점이고 감성지능은 4.65점으로 측정되었다.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감성지능은 교육수준과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r=-0.196, P=0.013). 결론: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교육수준, 월수입과 감성지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환자와 가족에게 돌봄을 제공하고 팀의 일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지지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hospice volunte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58 hospice volunteers at hospitals in B city. Occupational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spice volunteers were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 for occupational stress was 2.16 points out of 4 and 4.65 out of 7 for emotional intelligence. The scores for occupational st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income in hospice volunteers. Occupational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0.196, P=0.013). Conclusion: A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to offer volunteers with new hospice-related trends. To ensure quality car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t should be helpful to encourage hospice volunteers to build a social network to enhanc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

        중년여성의 중년기 위기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연하,김애리 한국생활환경학회 2019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crisis and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orm 212 middle aged women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cluding Mid-life Crisis Scale, Korean versions of Center for Epidemiology Studies Depression Scale(CED-D) and Korean versions of Dignan Ego-identi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id-life crisis and ego-identity variables were mean centered due to multicollinearity issues. The mid-life crisis C(centering)(β=0.60, p<.001), ego-identity C(β=-0.20, p<.001), Interaction parameters of mid-life crisis C and egoidentity C(β=-0.16, p<.001)were significant predictors which explained 75.1% of the variance reported in depres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go-identity were influencing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crisis and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ego-identity in building strategies to prevent depression when developing programs for middle aged women undergoing mid-life crisis.

      • KCI등재

        어머니의 출산 후 6년간 우울증상 궤적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정서통제 곤란

        김연하 육아정책연구소 2019 육아정책연구 Vol.13 No.2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ajectories of maternal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from childbirth to 6 yearsand to examine differences of children’s emotional controlling difficulties at first grade by the trajector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53 mothers and children, which is a subset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 Trajectories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were analysed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emotional controlling difficulties by trajectories were examin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Mothers were classified into Low(42.21%), Moderate(47.71%), and High(11.08%) groups based on their severity and chronicity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from child birth to 6 years.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of children’s emotional controlling difficulties at first grade by maternal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Children of mothers in Moderate and High groups displayed more emotional controlling difficulties at first grade than children of mothers in Low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thers’ chronic depressive symptoms should be understood as an developmental risk factor for young children. For mothers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children, relevant prevention, screen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출산 후 6년간 우울증상 궤적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정서통제 곤란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패널에 참여한 1,553명의 어머니와 그 자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우울증상 궤적은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고, 어머니의 우울궤적에 따른 자녀의 정서통제 곤란 차이는 공변량 분석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들의 우울증상은 낮음(42.21%), 보통(47.71%), 높음(11.08%)의 세 궤적으로 분류되었다. 어머니들의 우울증상 궤적에 따른 아동의 정서통제 곤란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통 또는 높음 집단 어머니들의 자녀는 낮음 집단 어머니들의 자녀에 비해 초등학교 1학년 때 정서통제 곤란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만성적인 우울증상은 자녀의 건강한 발달을 위협하는 가정내 위험요인이며, 이를 예방하고, 위험군을 선별하거나 중재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편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기 기질 유형과 만 9세 미디어 사용의 종단적 관계

        김연하 육아정책연구소 2021 육아정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유아기(만 3세) 기질 유형에 따라 만 9세 미디어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와 10차년도 자료를 회귀분석, 군집분석, 공변량분석, 이분형 로지스틱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만 3세 때 측정한 기질의 하위요인 중 만 9세 때 미디어 사용과 관련이 확인된 정서성과 활동성 중심으로 아동의 기질을 유형화 한 결과, 높은정서/높은활동(30%), 높은정서/낮은활동(14.3%), 낮은정서/높은활동(19.4%), 낮은정서/낮은활동(29.9%)으로 분류되었다. 높은정서/낮은활동 유형이 만 9세 때 미디어 과의존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다. 유아기 기질 유형이 이후 과도한 미디어 몰입을 선별할 수 있는 조기 지표로서 가치가 있음이 새롭게 조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link between temperament types at age 3 and media use at age 9. The 4th and 10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cluster analysis, analysis of covariance,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emotionality and activity levels at age 3 were associated with media use at age 9. Children were cluster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emotionality and activity levels at age 3; high emotionality/high activity (30%), high emotionality/low activity (14.3%), low emotionality/high activity (19.4%) and low emotionality/low activity (29.9%). Children in the high emotionality /low activity group were more susceptible to media overuse than their peers in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value of temperament styles as an early indicator for screening media overuse.

      • KCI등재후보

        모바일 정치광고 문화의 메시지 유형에 대한 인게이지먼트 속성이 유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연하,오지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Mobile is becoming a daily routine, not just a new means of communication, but also an essential factor in the modern political culture. Although many political candidates use mobile as their primary means of promotion in election campaign culture and strategy, research on the mobile use of political ads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e promotion of text messages via mobile is becoming a modern political culture, and therefore the use of mobile messages that can be more sophisticated and more attractive to voters is needed.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n engagement factor on the voter response of text messages on the mobile use of political candidates under the above background. We collected and analyzed text messages used in previous elections and divided them into information-type, manial-to-information, information-dependent attributes that affect voter response(satisfaction, benefits, attention) through 120 men and women across the country with voting rights. First, the analysis shows that in the messages of mutual understand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ndidate's attitudes are satisfaction and benefi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vote are satisfaction. Second, manipulated messages indicated that satisfaction and benefits affected the attitudes of candidates, and that factors that affected will to vote were satisfaction and attention factors. Third, information-type messages revealed that satisfaction and benefits affected the candidate's attitudes, and satisfaction and attention factors affected their willingness to vote. Research into the effect of engagement factors on voter response by message type in elections, where success or failure is often determined by one or two votes difference, provides an effective message management strategy. Research into the effect of voting factors on voter response by message type can therefore develop an effective message management strategy and will determine the outcome of future elections with one or two votes to be determined by the gap in practice. 모바일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넘어서 일상이 되어가고 있으며 현대정치 문화에서도 모바일을 활용한 홍보는 필수 적인 요인이 되어 있다. 많은 정치 후보자들이 선거 캠페인 문화 및 전략에 있어 모바일을 비중이 높은 홍보수단으로 활용 하고 있지만 이에 비해 모바일을 활용한 정치 광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모바일을 활용한 문자메시 지 홍보는 현대 정치 문화로 자리 잡아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좀 더 정교하고 유권자들의 호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모 바일 메시지 활용이 필요한 시점임을 알 수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하에 모바일을 활용한 정치 후보자들의 문자 메시지에 대한 인게이지먼트 요인들이 유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선거에 사용되었 던 문자메시지를 수집 분석해 상호 이해형, 조작형, 정보 전달형으로 나누고 선거권이 있는 전국 남녀 120명을 통해 인게 이지먼트 속성(만족, 유익성, 주목성)이 유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서베이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상호이 해형 메시지에서 후보자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족과 유익성이고 투표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족인것으로 나타났다. 둘쨰, 조작형 메시지에서는 만족과 유익성 요인이 후보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투표의향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족과 주목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 전달형 메시지에서는 만족과 유익성 요인은 후보자 태도에, 만족과 주목성 요인은 투표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게이지먼트 요인이 메시지 유형별로 유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효과적인 메시지 운용 전략을 펼칠 수 있으며, 한 두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기 도 하는 선거에서 향후 더 발전적이고 정교한 선거 캠페인 문화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도형의 닮음 수업에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분석

        김연하,신보미 한국학교수학회 202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6 No.2

        본 연구는 도형의 닮음 단원에서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학생 중심의 탐구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이 보이는 학습의 특징을 의사소통 관점에서 분석하여 도형의 닮음과 관련되는 교수학적 시사점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알지오매스를 활용하여 삼각형의 닮음 여부를 탐색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이 수행한 탐구 활동의 의사소통 양상에 비추어 학생들이 보인 닮음 학습의 특징을 ‘닮음비 이해’, ‘삼각형의 닮음 조건 파악’, ‘합동과 닮음 개념 비교’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학생들은 알지오매스에 기반한 탐구 활동을 통해 도형의 닮음비와 넓이의 비, 삼각형의 합동 및 닮음의 뜻과 조건 등 닮음과 관련한 주요 개념의 의미와 이들 사이의 수학적 관계를 논하였으며, 이로부터 도형의 닮음에 대한 오개념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깊은 수학적 이해를 개발하였다. 이처럼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도형의 닮음 교수-학습에서 의미 있는 교수학적 성과를 얻는 데는 알지오매스 환경이 갖는 특징뿐 아니라 학생의 사고를 촉진하는 교사의 조정과 중재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재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학 이론을 바탕으로

        김연하,김민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1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 path through which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ssuming personal organismic factors and microsystemic factors based on the ecology model purported by Belsky (1980).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189 elderly peop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were depression, family support, social network, and familism value,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2%. Death anxiety increased with higher depression, higher familism value, larger social network, and lower family support. Spiritual well-being and elderly discrimination experience had indirect effects on death anxiety, and these effects were mediated by depression. Conclusion: Depression, family support, social network, and familism value were found to influence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and the strongest effect came from depression. To reduce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and friends. Moreover, support should be provided by establishing local systems, and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to alleviate depression. 목적: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노인의 죽음불안을결정짓는 요인들을 Belsky(1980)의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우울, 자아통합감, 영적안녕감의 개인유기체 요인과 미시체계 요인으로는가족지지, 그리고 외체계 요인으로는 사회적연락망, 노인차별경험, 가족주의가치관의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의 16개 구(區) 중 10개 구에 소재한 경로당을 이용하는 65세에서 85세 미만의 재가노인이었다. 연구 참여가 가능한 노인은 설문지의 내용을 읽고 이해하며 그에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로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후 설문에 참여하였다. 총 189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 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개인유기체 요인 중 우울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32, P<0.001). 미시체계 요인인 가족지지는 죽음불안에 대한 직접(β=–0.15, P=0.026), 간접효과(β=–0.06, P=0.022) 및 총 효과(β=–0.21, P=0.006)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외체계 요인들 중 사회적연락망(β=0.21, P=0.003)과가족주의가치관(β=0.23, P=0.009)은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인의 죽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유기체 요인중 우울, 미시체계 요인인 가족지지, 그리고 외체계 요인인 사회적연락망 및 가족주위 가치관이 확인되었다. 비록 자아통합감, 영적 안녕감 및 노인차별경험이 죽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노인의 개인유기체, 미시체계 및 외체계 요인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어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중재개발에 있어서 개인과 가정 그리고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