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진로의사결정과 졸업 후 전환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언아,김동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1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transition outcomesand the career decision of the special-class studentswith disabilities in regular high-schools 「자기결정력」이란 장애인들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며 평가하는 역량을 지칭하며, 이러한 역량이 고등학교 졸업예정 장애학생들의 졸업이후 전환성과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기결정력 형성에 어떠한 환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자기결정력이 직접적으로 전환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진로의사결정 과정이라는 매개과정을 거치는지를 아울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 6월 서울시 및 경인지역 내 15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정신지체 장애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으로 IQ자료를 수집하고, 부모의 경제적 배경, 부모의 관심과 지원정도, 교실환경요인 등을 측정하였다. 또한 종속변인으로 검사대상 장애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과 성공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였으며, 2005년 2월 학생들이 졸업한 이후 실제 전환성과를 추적 조사하여 자기결정력 검사점수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결정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성공적인 전환가능성, 유지가능성의 정도는 높게 나타나며, 전환성과는 더욱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자기결정력은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전환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주제어> 자기결정력, 진로의사결정, 전환, 전환성과

      •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 구조분석

        김언아,강용주,황수정,박치성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연구개발 Vol.- No.15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애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발표된 정부의 제 1, 2차 장애인 지원종합대책은 기존의 장애판정 및 등록체계를 개선하고 사례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장애인 수요자의 욕구와 능력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로 연계하는 근본적인 장애인 복지 인프라의 개선을 꾀하고 있다. 특히 사례관리지원팀과 통합고용지원팀을 신설하여 고용과 복지가 통합되는 One-Stop지원 서비스를 구축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는데, 통합고용지원팀은 2008년부터 공단 지사에 단계적으로 설치되어 지역사회 고용 서비스의 HUB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통합고용지원팀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공단지사와 고용지원센터 및 다양한 직업재활 관련기관과의 장애인고용 네트워크의 구축은 매우 필수적인 선결요건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단은 이미 2004년부터 보건복지부 산하 직업재활수행기관과 고용지원센터, 장애인 단체, 직업훈련기관, 지자체 등과 교류 협약을 체결하여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고용 서비스의 중복과 기관 간 상호 경쟁, 갈등 관계를 해소하고 지역장애인들에게 보다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력을 경주해왔다. 이러한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통해 많은 지역 내 기관자원을 확보하고 교류협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실제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그 구조와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이론을 바탕으로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구조적 특성과 기관 간 협력관계의 형태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네트워크 운영과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I.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협력단계와 직업재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가? 둘째, 각 협력 단계 및 직업재활과정 네트워크에서 중심기관과 매개기관이 존재하는가? 만약 있다면, 각 협력 단계 및 직업재활과정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셋째, 이러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따른 보다 효과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거시적 관점에서 네트워크의 구조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본 박치성(2006)의 연구 분석틀을 바탕으로 하였다. 조사 네트워크의 경계는 장애인구와 장애인 기관수가 가장 많은 서울지역으로 한정하였으며 공단이 발간한「장애인 고용네트워크 상세정보서」에 나타난 95개 기관 전체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현재 공단의 네트워크 구축 활동 6가지를 정보 수집 및 제공, 내담자 의뢰 및 접수, 정기간담회 및 워크숍 개최, 물적/인적 자원 공유, 공식계약, 공동사업 등의 6가지 협력 단계로 재구성하였으며, 재활관련 연구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접수 및 상담, 직업평가, 직업훈련, 직업배치, 적응 지도의 5가지 직업재활과정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6가지 협력 단계와 5가지 직업재활과정에 따라 각 기관이 최근 1년간 어떠한 기관과 교류를 가졌었는지를 조사하여 각 협력단계와 직업재활과정 별 네트워크의 밀도(density)와 연계중심성(degree centrality), 근접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그리고 네트워크 집중도(centralization)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변수를 통해 네트워크 내 모든 기관들이 얼마나 활발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특정한 기관의 타 기관과의 연계정도는 어떠한지, 어떠한 기관이 네트워크의 가장 중심에 위치하는지, 혹은 어떠한 기관이 네트워크 내 다른 기관들의 활발한 연계를 촉진 또는 매개하고 있는지를 양적으로 파악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은 UCINET VI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Netdraw을 통하여 협력단계 및 직업재활과정에 따라 소시오그램(sociogram)으로 네트워크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IV. 연구결과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의 분석 결과 각 협력단계별, 직업재활과정별로 차별적인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으며 각 네트워크마다 지역, 서비스 대상, 기관유형 등을 기준으로 하위네트워크도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 단계별 네트워크마다 중심기관과 매개기관이 파악되었으며 소시오그램을 통해 중심기관 및 매개기관의 제거 시 네트워크가 와해됨을 확인하여 중심기관 및 매개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계, 매개, 근접 중심성 모두에서 공단 지사의 주도적 역할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협력단계별 네트워크가 직업재활과정별 네트워크에 비해 참여기관의 수와 관계의 수, 네트워크 밀도, 집중도 등이 훨씬 높은 점 등이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즉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는 직접적인 서비스제공 보다는 공단에서 제시한 다양한 협력유형을 위주로 많은 관련기관이 참여하는 보다 긴밀하고 광범위한 네트워크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부적 지표에서 공단지사의 연계중심성 및 매개중심성에 비해 근접중심성이 타 기관과 큰 차이가 나지 않거나 더낮은 경우도 있어 네트워크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타 기관과의 업무조정이 요구된다고 보여진다. V. 연구의의 본 연구는 복잡하고 정교한 사회, 경제적 현상을 네트워크 개념으로 분석하는 네트워크 이론을 장애인 고용 분야에 처음으로 적용하여 장애인고용 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성을 실증적으로 밝힌데 의의가 있다. 또한 중심기관과 매개기관의 역할과 기능을 재조명하고 공식적인 파트너쉽의 형성을 통해 공단을 주축으로 하는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 거버넌스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함의점은 향후 통합고용지원팀이 원활하게 운영되고 보다 기능적인 장애인 고용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