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간 전이를 동반한 위의 간양 선암 1예

        권우일,박도중,이혁준,우호,한광,최국진,이건욱,Kwon Wooil,Park Do Joong,Lee Hyuk-Joon,Kim Woo Ho,Yang Han-Kwang,Choe Kuk Jin,Lee KuhnUk 대한위암학회 2005 대한위암학회지 Vol.5 No.2

        A hepatoid adenocarcinoma of stomach, a subtype of gastric cancr, is characterized by a histologic resemblance to a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alpha$-feto protein production. Another feature is early metastasis to the liver and lymph nodes, thus revealing a poor prognosis. We report a case of a hepatoid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with liver metastasis. A 52-year-old male visited our hospital with a chief complaint of indigestion. Gastroscopic examination showed a Borrmann type-II lesion on the lesser curvature of the antrum. The CT scan showed a suspected advanced gastric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The serum AFP level was 123 ng/ml. A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and a right hemihepatectomy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Pathologic examination confirmed the lesion to be confined to the submucosa. The gastric lesion was a hepatoid adenocarcinoma, and the hepatic lesion was a metastatic adenocarcinoma from the stomach. Therefore, he was classified as having stage IV (T1N1M1) gastric cancer. In cases of a hepatoid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eve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can be staged into the poor prognostic group. 위암의 한 아형인 간양 선암은 조직학적으로 간세포암종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하며 알파태아단백 생산을 특징으로 한다. 간양 선암의 또 하나의 특징은 간과 림프절로의 조기 전이를 함으로써 불량한 예후를 갖는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간전이를 동반한 위의 간양 선암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한 52세 남자 환자는 위내시경 검사상 Borrmann 제2형 병변이 위암이 의심되었다. 환자의 혈청 알파태아단백은 123 ng/ml로 증가되어 있었다. 근치적 위아전절제술과 간우엽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조직학적 소견상 위의 병변은 점막하층에 국한된 간양 선암이었으며 간의 병변은 위로부터 전이된 선암이었다. 결국 환자는 위암 4기(T1N1M1)로분류되었다. 위의 간양 선암은 조기병변에서도 불량한 예후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지원정책

        김양이 ( Kim Yang-e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6 장기요양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케어하는 가족들을 위한 개입방안과 정책적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에 대한 서비스로는 첫째, 단계별 문제행동과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이 우선되어야 하며, 치매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상생활기술을 훈련ㆍ교육하고 더불어 인지활동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전문가 없이도 인지기능이 유지되도록 지원해야 하며 치매노인이나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지원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치매노인의 인권을 보장하는 교육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개입 방안으로는 치매노인 가족에 대한 신체·심리·정서적 개입으로 수면장애와 화병과 같은 정신적 증상에 대한 개입과 고혈압이나 당뇨병, 퇴행성 관절질환에 대한 개입 그리고 자녀부부간의 갈등 및 그 자녀와의 역기능에 대한 개입 및 치매노인 가족 간의 갈등에 대한 개입과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정책적 방향으로는 치매특별 등급제도에 관한 시행령의 개정과 광역치매센터와 치매상담센터의 전달체계의 단일화 및 업무의 차별성이 있어야 하며 자치단체별로 치매노인 가족들의 자조모임이 구축되어야 하고 치매상담센터에 상담 전문가의 배치가 필요하다. 그 밖에도 주간 보호시간과 기간의 연장과 치매노인 인지활동 프로그램의 개선이 요구되며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가족휴가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단기보호시설의 확대와 인건비 및 수가에 대한 지원을 높이고 치매노인 부양으로 유발된 질병이나 악화된 질병에 대한 의료비 지원도 필요하다.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정책은 치매노인 가족의 애로가 반영되어야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n intervention plan and policy directions for families having an elderly dementia. The services that should be provided to the families taking care of an aged family member suffering from dementia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there should be education on problem behavior and its responses. To prevent the disease from further developing, a cognitive activity program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daily-life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helping the dementia maintain cognitive functions even without any expert’s assistance. Furthermore, there should be an education program which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support system that the dementia and his/her family can get and guarantees the patient’s human rights. Second, in terms of intervention for families having an elderly dementia, there should be physic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terventions on the families with the elderly with dementia such as intervention on mental symptoms(sleep disorder, Korean somatization disorder), intervention on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s, intervention on marital conflict in the family of the patient’s child and reverse functions with the child and intervention on family conflict. In addition, there should be consultation on the families with an elderly dementia. Third, regarding policy directions, the enforcement ordinance on the special dementia rating scale should be amended, and th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metropolitan dementia center and dementia consultation center should be unified, keeping differentiation in duties. Furthermore, each local authority should have a self-help group for the families having an elderly dementia, and a professional counselor should be posted in each dementia consultation center. Moreover, the daytime care time and period should be extended, and the cognitive activity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short-term care facilities for the settlement of a family leave system for the families having an elderly dementia patient, increase assistance to the labor costs and insurance costs and provide medical aid for the diseases arising from (or aggregated after) caring the dementia patient. The effects of the policy for the families having an elderly dementia can be finally maximized when it reflects what they really need and want.

      • 음장 가시화 방법과 응용

        김양한 ( Yang Hann Kim ) 한국감성과학회 1998 춘계학술대회 Vol.1998 No.-

        진실과 거짓 사이의 거리가 사람의 눈과 귀사이의 거리라는 다분히 회화적인 표현[1]은 시각적 인식과 청각적 인식이 갖고 있는 상대적인 확실성과 불확실성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실 소리의 특성 중의 하나인 불확실성은 많은 경우 전달된 정보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판단의 오류등을 일으키는 부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경험하듯이 우리는 소리가 발생하고 있는 위치, 방향 등을 쉽게아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경험을 통하여 알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리가 보통 할 수 있는 방법은 좀더 소리가 남직한 곳으로 위치를 옮겨가 보는 것이 될 것이다. 즉 음장의 입장, 혹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원의 입장에서 보면 소리를 감지하는 대상 혹은 센서가 좀더 직접음장(direct field) 효과가 지배적인 음장으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거나, 음원을 좀더 가까운 거리에서 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소리의 공간적 특성을 감지하고 이로부터 소리에 대한 판단 혹은 인식을 수정, 보완하여 간다. 이러한 개념을 좀더 확대하고 일반화하면 Fig. 1 [2] 같은 우화적인 그림과 같이, 제한된 정보를 통한, 측정되지 않은 정보에 대한 예측문제로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즉 코끼리와 등 모양만을 통하여 코끼리라는 동물의 모든 것을 추측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이러한 불확실성은 인간의 감각, 인지기능을 통하여 많은 경우에 소리에 대한 다양함과 풍부함을 제공하는 순기능의 역할도 한다. 음악 감상을 한다든가 또한 영상과 함께 어떤 소리를 들을 때 영상에 대한 인지 또한 보다 풍부하게 느끼는 것이 이러한 예에 해당된다 볼 수 있다. 근래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소리의 3차원적인 인식은 또다른 차원에서, 단순한 불확실성의 차원이 아닌, 즉 인간의 소리에 대한 주관적 인식면에서 Fig. 1과 같은 맵핑을 시도하는 문제로 볼 수 있다. 즉 양귀로 들리는 소리가 어떠한 맵핑을 통하여 인간이 느끼는 소리의 주관적인 느낌, 한 예로는 입체감등을 갖게 하는가 하는 것을 탐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과연 소리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의 어떠한 변화가 인간의 소리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가 관심의 대상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리의 가시화 방법에 대한 현재까지의 방법들을 소개하고 3차원 음장에의 적용방법 가능성을 살펴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